-
-
대도시의 사랑법
박상영 지음 / 창비 / 2019년 6월
평점 :
#대도시의사랑법 #박상영 #창비
영화 때문이었을 것이다. 동명의 원작 영화. 김고은과 노상현 주연으로 정신없이 한 시절을 보내는 청춘들을 보았기 때문이었다. 매일 술 마시고, 남자 만나고, 함께 살아가는 친구들. 우정이란 게 무엇인지, 사랑이란 걸 탐구해가는 청춘들의 아픔을 보는 것 같았다.
영화 <대도시의 사랑법>은 동명 원작 중의 「재희」편의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재희와 영의 첫 만남이 시작이다. 불문과 동기들이 보았다면 입방아에 올랐을 상황을 목격하고도 그를 단번에 이해한 인물로 비쳤다. 영이 마음을 트는 순간이 아니었을까. 술 마시는 게 일상인 재희는 남들과는 다른 성적 취향을 가진 영과 소울 메이트에 가까운 관계가 되었다. 재희가 머물던 방의 창 밑에 숨어있었던 남자 혹은 스토커 때문에 함께 살게 된 과정과 진정한 친구가 되는 과정을 담은 소설이라 하겠다.

영화는 좀 더 파격적으로 다가왔다. 화려한 조명, 그 안에서 춤을 추는 영과 재희의 모습, 배우들의 말투와 몸짓 때문이었을 것이다. 아무리 열린 마음을 가진 남자라고 해도 남자와 함께 사는 연인을 이해할 수 있는 건 드문 상황이다. 재희의 남자 친구의 마음을 이해하지 못하는 건 아니다. 재희는 남자 친구에게 룸메이트의 이름을 지은이라고 했고, 영에게 재희는 재호라는 이름으로 통칭했다. 영화에서 재희가 산부인과에서 훔친 자궁 모형을 들고 뛰던 장면은 지금까지 생생하다. 내일이 없는 것처럼 춤을 추거나 술을 마시던 재희와 영의 모습이 젊은 날의 성장통처럼 느껴졌던 건 비단 나뿐일까.
다양한 문학 작품이 출간되고 있다. 처음 퀴어 문학을 읽었을 때 얼마나 충격이었던가. 그러나 이제는 성적 취향이 다른 인간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다양한 방법으로 성 정체성을 드러내는 방법은 우리에게 새로운 경험을 하는 일인 것 같다. 이해와 포용을 기르는 작업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우럭 한점 우주의 맛」은 암 투병하고 있는 엄마를 간병하며 만났던 형을 떠올리는 내용이다. 엄마와 사랑하는 사람을 떠올리며 사랑이라는 그 미묘한 감정을 말한다. 고등학교 시절 골목에서 남자와 키스하던 장면을 보았던 엄마는 영을 인정하려 들지 않는다. 기도를 열심히 하면 영을 바꿀 수 있다고 믿는 모습이 보통의 엄마와 닮아있었다. 영화에서는 엄마가 영화 한 편을 보고 와서 아들을 이해하려 애쓰는 장면이 인상적이었다. 어떤 부모라도 그렇게 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엄마를 이해하는 과정 또한 엄마가 영을 이해하는 과정과 비슷하다. 둘의 간극을 좁히기는 무척이나 어렵다. 그렇지만 매우 닮아있다는 게 놀랍다.
동명의 작품 「대도시의 사랑법」은 규호와 함께 일본 여행을 가기로 했다가 만료된 여권을 들고 공항에 온 것부터 시작이다. 제주에서 형 때문에 올라온 규호는 간호학원을 다니며 클럽에서 바텐더로 일하고 있다. 클럽에서 만난 규호와의 연애는 규호의 배려와 노력 때문에 가능했다고 해야겠다. 규호가 외국으로 떠나고 다시 대도시를 향해 나아가는 모습을 그렸다. 씁쓸하지만 한 시절의 사랑은 여타의 사랑과 다르지 않다.
「늦은 우기의 바캉스」에서 영은 방콕에 왔다. 방콕에 와서도 규호를 생각한다. 규호가 떠난 후 영은 규호의 침대부터 버렸다. 방을 가로막던 침대는 규호의 분신과도 같았다. 하비비와 함께 지내면서도 그는 규호를 생각한다. 규호와 방콕에서 있었던 일들을 떠올리는데, 마치 규호는 영의 첫사랑인 것만 같다. 잊지 못할 첫사랑의 기억들 같은 거. 풍등을 날리는 풍경을 상상해본다. 소원을 적어 높이 떠오르는 풍등의 아름다움. 추억을 향해 날아가는 것 같다.
집착이 사랑이 아니라면 난 한번도 사랑해본 적이 없다. (55페이지)
K가 영에게 마지막으로 보낸 문자의 내용이다. 「재희」에서 이 문장이 몇 번 나오는데, 씁쓸한 사랑의 한 모습을 나타낸다. 잊을 수 없는 사람, 잊지 못하는 한 시절을 나타내는 것 같다. 사랑이 그렇잖은가. 잊지 못하는 첫사랑의 기억들. 그 기억을 떠올리는 순간을 사랑하지 않나. 문학 작품이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 같다.
영화를 보기 시작했을 때, 왜 이 영화가 사랑을 받았나 이해할 수 없었다. 하지만 영화를 볼수록 영화에서 내뿜는 관계성이 보이기 시작했다. 타인에게는 좀처럼 이해할 수 없는 관계겠지만, 누구보다 소중한 친구라는 걸 말하고 있었다. 특히 노상현 배우가 재희 결혼식에서 축가를 부르며 춤을 추는데 재희가 친구임을 강조하는 게 어렴풋이 느껴졌었다. 책 속에서는 좀 더 자세한 설명과 에피소드가 있어 그제야 영화 속 감정이 더 와닿았다. 너무 자세하게 설명하는 게 좋은 영화는 아니라는 것을 다시 한번 실감했다. 설명하지 않아도 느껴지는 게 있잖은가. 영화를 다시 한번 봐야겠다.
#대도시의사랑법 #박상영 #창비 #책 #책추천 #문학 #소설 #소설추천 #단편소설 #단편소설추천 #연작소설 #소설집 #한국문학 #한국소설 #책의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