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학으로 읽는 옛집 -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왜 건축에 중독되었는가?
함성호 지음, 유동영 사진 / 열림원 / 2011년 11월
평점 :
한옥에 대해서 관심을 가졌던 게 언제부터인가.
강원도 여행을 갔을때 강릉 선교장을 방문했을 때와 몇 년전 전주 한옥마을에 갔을 때를 기억한다. 그 전에는 그냥 스쳐지나가고, 심한 추위를 타는 내게 한옥이란 '추운 집'이라는 강한 인식하에 별 관심이 없었다. 오히려 더 싫어했다고 볼수 있겠다. 전주 한옥마을을 돌아다니며 고고하게 고요히 서 있는 집들을 보며 이렇게 아름다운 한옥을 나는 왜 싫어했는가. 그때 한옥이 가슴속에 들어 왔다. 고요한 멋을 풍기는 한옥에서 살고 싶다는 생각을 강하게 했다. 아마 그때부터였을것이다. 아이들과 함께 어딘가를 방문하면 옛집이 있는 풍경이면 나도 모르게 걸음을 멈추고 집을 바라보았다. 아마도 마음속으로는 많은 사연이 담겨져 있을 옛집에게 말을 건네고 있었다. 한옥 건물과 흙으로 빚어져 담에서 이름모를 풀이 자리하고 있는 그런 옛담들의 모습까지 사진에 담고 있었다.
지금의 소박한 꿈이 하나 있다.
주말이면 시골에 조그만 땅 하나 사서 방 한 칸, 부엌 한 칸 이렇게 조그만 한옥 집을 짓고, 아기자기한 꽃들도 심고, 텃밭에는 우리가 먹을 야채를 기르고 살고 싶어한다. 그런 바람일까. 요즘 자꾸 건축에 대한 게 관심이 많아져 얼마전에는 양진석의 『친절한 건축이야기』를 읽은 적도 있다. 그 책에서는 서양 건축을 다루었지만 정작 내가 좋아하는 건축물은 우리나라 고유의 건물인 한옥이다. 창호지를 바른 방의 문도 정겹고, 닳은 마루바닥도 정겹기만 하다. 유려한 곡선을 자랑하는 지붕의 모습과 햇볕 가림과 비 가림을 위한 처마의 길게 내려앉은 모습까지도.
시를 쓰는 건축가,
건축가가 시를 쓴다는 게 전혀 어울릴것 같지 않지만, 집짓는 시인 함성호가 조선시대 성리학으로 유명한 학자였던 이들의 집을 찾아다니며 그들의 사상과 철학을 얘기하며 그들이 지었던 집을 우리에게 말해주고 있다.
조선 중종때의 학자이자 정치가였던 회재 이언적의 사랑채인 '독락당'을 보면 북송 때의 사마광의 「독락원기」에 나오는 시를 읽고 자신보다 4백년 앞서 살다 간 사마광의 생애의 자신을 동일시해 자신의 사랑채에 독락당이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다고 한다. 이언적이 가장 불우할때 지은 집이 독락당이고, 다시 복권되어 경상감사를 제수받고 금의환양하며 지은 집이 향단이다. (53페이지) 건축물과 그 주위의 옥계천과 함께 어우러져 있는 독락당의 모습은 아름다운 정원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조선시대를 통틀어 가장 많은 건축물을 남긴 철학자 퇴계 이황의 도산서당.
단순히 집을 소유한 건축주가 아니라 집을 짓는 데 있어 그의 성리학적 세계관을 건축 조영에 적용 시켰고, 직접 설계도를 그리는 등 탁월한 안목을 보여준 퇴계의 도선서당을 소개하고 있다.
퇴계가 가장 큰 스승으로 추종했던 주자의 무이정사를 모범으로 건축되었다고 한다. 동양철학사에 자연의 이성이 만물을 낳는다고 선언하고 그것을 건축이라는 도구를 통해 자연의 이성과 합일하는 인간의 모습을 구현하려 한 퇴계의 도산서당은 동양철학의 정원이라고 불릴만 하다고 말한다.
이외에도 은유와 상징의 집이라고 표현한 이언적의 양동마을과 향단, 남명 조식의 산천재, 해상의 물길을 자유자재로 움직였던 고산 윤선도, 생애 동안 5백여 권에 달하는 방대한 저술을 남긴 강진의 다산초당, 김장생의 임이정, 우암 송시열의 우암고택, 암서재, 윤증고택 등을 소개하고 있다.
삼인행필유아사(세 사람이 길을 가면, 반드시 그 중에는 나의 스승이 있다)라고 했던가. 밥집 노파에서부터 천재 승려, 그리고 유배객을 보고 도망가는 순박한 촌로에 이르기까지. 이들은 모두 다산이라는 한 시대의 사상을 만들어 내기 위해 준비된 스승들이었다. (198페이지 중에서)
건축가가 한옥에 대해서 말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아도 조선시대의 성리학자들을 말하는 게 상당히 어려웠을거라고 보는데 저자는 직접 철학을 공부하고 학자들의 옛집을 철학과 연관시켜 우리에게 소개해 주었다. 옛집의 아름다움과 철학이 보기좋게 잘 어우러져있었다. 책을 보는 이로 하여금 그 집을 가보고 싶게 만들고 옛집에 반해 우리 한옥의 아름다움을 일깨워주고 있다.
시를 쓰는 건축가가 철학으로 읽는 옛집으로 우리 독자들에게 말을 건넸듯, 나 또한 자신의 철학을 담은 건축물을 지은 조선의 철학자들과 그들이 지었던 옛집에게 말을 건네는 좋은 시간이었다. 시간을 내어 저자가 소개한 철학자들의 옛집을 방문해 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