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소리 순례
사이토 하루미치 지음, 김영현 옮김 / 다다서재 / 2022년 1월
평점 :

#도서협찬 #목소리순례
두 살이 될 무렵, 내 귀가 듣지 못한다는 것을 알았다.
선천적인 감음성 난청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장애인 수첩에는 “감음성 난청에 의한 청각장애 (좌:100dB, 우:100dB)” “음성.언어 기능 장애”라고 기재되었다. _12p.
나에게 사진을 찍는 것은.
잃어버린 '목소리'를 다시 한 번 순례하기 위한 여행이었다.
언제부터인지 아빠가 작은 소리를 잘 듣지 못하게 되셨다. 때론 소리가 울리고, 귀에서 삐~소리가 나기도 한다고, 피곤하면 그 증상이 조금 더 심해지는 것 같다고 이야기하기도 하셨다. 집중해서 듣지 않으면 어떤 내용을 이야기하는지 잘 몰라 몇 번이고 물어보시기에, 가끔은 버럭 짜증을 내기도 했다. "이야기할 때 잘 들으면 되잖아요!" 그랬다, 그저 듣는 아빠가 처음에 하는 말을 흘려듣고, 말하는 사람이 귀찮게 몇 번이고 물어보는 거라고 생각했다. 이비인후과에서도 한 쪽 귀의 청력이 많이 떨어지셔서 보청기를 권했지만, 불편하다는 이유로 피하셨고, 그럭저럭 일상생활을 유지하고 계시지만 해마다 청력이 더 나빠지고 있는 걸 본인도, 가족들도 느끼고 있다. 아빠의 경우 노화로 인한 청력 저하로 언제고 누구든 겪게 될 일이고 나도 그 입장에선 제외될 수 없다는 걸 이제야 체감하고 있다.
소리를 듣지 못하는 세상을 살아가는 저자가 직접 세상과 부딪히고 경험하며 세상과 소통하고 살아가는 방법을 찾아가는 과정은 치열하지만, 타인의 말을 들을 수 없는 저자가 카메라를 통해 바라본 세상은 오히려 다양한 감각을 경험하며 살아가는 이들보다 더 '자세히' 보고 느끼며 살아가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소리가 존재하는 세상에서 듣지 못한다는 것, 침묵의 세계를 살아간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책을 완독하고도 정리되지 않고 떠다니는 생각과 지금 내가 경험 중인 현실 사이에 있었던 것 같다. 나와 다른 이를 온전히 이해할 수는 없겠지만, 그들을 향한 이해의 발판이 되어줄 이야기다.
‘수어’라고 쓰지만, 결코 ‘손’으로만 말하는 것이 아니었다.
‘손의 표현’과 ‘얼굴과 몸의 표현’, 이 두 가지가 어우러질 때 비로소 수어가 성립한다.
수어는 손뿐 아니라 말하는 사람의 표정과 몸의 흔들림, 나아가 말하는 사람을 둘러싼 공간까지 보는 언어였다. 자연이 들려주는 말을 듣고 찍는 풍경 사진처럼 그 사람의 손뿐 아니라 존재까지 듬뿍 녹여서 찍는 것. 그 방향이 내가 생각하는 ‘손으로 말하는 사람’의 상과 가까운 것 같았다._63p.
시간이란 시곗바늘처럼 일정한 속도로만 흘러가는 것이 아니었다. 바로 ‘지금’이라는 순간을 진심으로 살아가면, 순간이 영원처럼 농밀하게 눈앞에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직접 몸으로 느꼈다. _137p.
인생이든 사진이든 무슨 일이든, 단 한 사람과 마주해야 비로소 무언가를 시작할 수 있다. 한 명의 인간으로서 다른 한 사람과 마주하고 있다는 소박한 감동을 거듭하여 느끼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지 대화의 원초적 풍경이 일깨워주었다._139p.
사진은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하지만 돌이킬 수 없는 순간을 티 없는 풍경이 펼쳐지는 창으로 그 자리에 있게끔 하는 터무니없는 힘이 사진에는 있다. _162p.
#사이토하루미치 #김영현 #에세이 #까마어리앤의작은서재 #에세이추천 #다다서재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만 제공받아 주관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