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중독을 사랑해 - 환상적 욕망과 가난한 현실 사이 달콤한 선택지
도우리 지음 / 한겨레출판 / 2022년 10월
평점 :

#도서협찬 #우리는중독을사랑해
우리는 모두 중독자다. 우리는 그것을 알고 있다. 동시에 무방비한 상태다. 그런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현상을 파악하고 더 나은 방안을 모색하는 일일 테다. 그것에 결말이나 정답 따위는 없을 테지만, 우리가 손을 내밀어 준다. 같이 한번 뛰어들어 보자고. 이 지긋지긋하고 환멸 나는 중독의 세계로 가보자고. 잡은 손 놓지 말고, 계속 한번 살아 보자고. _#박참새 추천의글
갓생, 배민맛, 방꾸미기, 랜선 사수, 중고거래, 안읽씹, 사주풀이, 데이트 앱, #좋아요
"나의 너무 많은 것을 투사해버렸다"라는 도우리 저자의 글처럼 이 책은 대중적인 사회현상을 직접 겪으며 살아가는 젊은 도시인의 '중독'에 관한 사회보고서이자 우리의 이야기가 아닐까 싶다. 매 챕터마다 무릎을 탁! 치며 페이지를 넘기기에 바빴고, 조금은 생소하지만 깊게 파고드는 사회현상이나 저자의 이야기에 빠져들면서 '중독'이란 과연 무엇일까?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된다. 가볍게 시작하지만, 무언가에 꽂히게 되면 집요하게 파고드는 나만의 '중독'된 습관들. 그리고 유행하고 있는 현시대의 중독들에 대해 이토록 통찰력 있고 재미있으며 공동의 미래에 대한 이야기이다. 우리는 모두 중독자가 아닐까? 명쾌하고 실랄한 자본 없는 자본주의 중독 사회 보고서 일독을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인테리어는 주거 housing 기념의 일부일 뿐이다. 그런데 그렇게 많은 방 이미지들에 주거의 질에 대한 이야기는 지워져 있다. 아무리 좁은 원룸이어도 넓게 보이게, 로망대로 실현하는 노하우 수준에서만 이야기된다. 평수나 환기 시설이 최저 주거 기준에 미달하는 집이 넘치고, 성폭력 범죄에 대한 치안 비용을 여성 개인만 감당하는 문제 같은 건 러그나 포스터 뒤편에 그대로 가려져 있다. 가난은 더 이상 이전과 같은 방식으론 눈에 보이지 않게 됐다. 오늘의 집들은 모두 다른 시공간에 살고 있다. _83~84p.
우리 대부분은 아무리 배워도 날로 가속되는 기술 발전에 따라 일못러가 되고, 언젠가 모두 대체 가능해진다. 랜선 사수는 그런 시대의 과도기 혹은 우리의 불안감을 채우기 위한 임시 땜질이다. _104p.
당근 마켓을 도시인들의 사이버 구황작물이라고도 빗대본다. 수익이 주된 목적이더라도, 당근 마켓에선 너무 척박해진 주민·시민 간 사회적 거리가 조금 좁혀져 있는 건 사실이다. 잃어버린 반려견을 함께 수소문해 주고, 낯모르는 사람에게 '혹시··· 당근이세요?'라며 인사를 건네고, 무료 나눔을 보탤 땐 어쩔 수 없이 약간, 잠시, 덜 외롭다는 기분이니까. _132p.
콜포비아나 톡포비아를 호소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젊은 세대로 지목된다. 그것은 단지 면대면 대화를 꺼리거나 사회화가 덜 된 미숙한 탓이라기보다, 메신저 플랫폼을 통해 초연결 노동과 갑질, 폭력에 더 쉽게 노출되는 청년의 현실과도 이어진 문제다. _147p.
이제 SNS를 하는 사람이 관종이 아니라, 안 하는 사람이 오히려 별종이다. 페이스북, 유튜브, 틱톡 중에서 하나라도 하지 않는다면 술이나 커피나 담배 중 아무것도 안하는 사람이나 마찬가지다. 더구나 그 사람이 귀엽거나 예쁘거나 잘생겼거나 말발이 좋거나 직업이 특이하다면 대단한 금욕주의자처럼 보인다. '아, 아깝다. 저 정도면 팔로워 5만 명에 좋아요 100개쯤은 금방 땡길 텐데.' _202p.
#도우리 #한겨레출판 #하니포터 #하니포터5기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 #책추천 #사회정치 #인문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만 제공받아 주관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