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서 일기
앨리 모건 지음, 엄일녀 옮김 / 문학동네 / 2023년 7월
평점 :

ʙᴏᴏᴋ 𝚛𝚎𝚟𝚒𝚎𝚠
#사서일기 #도서협찬
#앨리모건 #엄일녀 옮김
만약 당신이 사서가 되고 싶어 이 책을 집어 들었다면, 미안하지만 도서관에 취직하는 '왕도'는 없다. 우리 모두 저마다 다른 방향에서 이 업계에 들어왔고, 대체로 많은 부분이 운에 좌우된다. (중략) 도서관에서 일하기 위해 미칠 필요는 없지만, 당신이 하는 일에 약간 미쳐야 할 필요는 있다. 책에 약간 미치는 것 또한 도움이 된다. _15p.
_
사람들은 도서관이 어떠해야 한다는 그림을 머릿속에 품고 있다. 그 그림이 약간 시대에 뒤떨어지거나 구식일지 몰라도, 대체로는 도서관이 무슨 일을 해야 하고 그게 무엇인지 우리 모두 잘 알고 있다. (중략) 지역 도서관들이 더 이상 필요 없게 되는 날은, 누구나 모든 이야기와 모든 자료와 모든 형태의 교육에 무료로 접근할 수 있는 날이다. 그 머나먼 날까지, 도서관은 기울어진 운동장을 평평하게 만들기 위해 존재한다. 도서관은 지역사회의 지식 저장고이자 진료소이다. 도서관은 지역사회의 두뇌이자 맥동하는 심장이며, 공기처럼 필수적이다. _387~388p.
한 편의 도서관 드라마를 보는듯했다. 이렇게 다양한 이야기와 소재들이 존재한다고? 지역사회의 구직구인, 학습장애 청소년, 노숙인, 실업자, 영유아, 싱글맘, 노인 등 다양한 이용자들을 만나며 저자의 삶도 조금씩 변화하기 시작한다. 무기력하고 위기에 빠져있던 도서관을 그 공간을 사랑하는 지역주민들과 함께 변화시켜가는 과정이 생생했던 이유는 저자가 직접 경험했던 일들을 @grumpwitch (성질 더러운 마녀)라는 트위터 계정에 소개하면서 언론과 전 세계 독서인의 관심이 쏟아졌고, 그것을 계기로 탄생한 에세이다.
어느 지역이나 도서관이 있지만, 그 도서관을 얼마나 이용하고 있으며 도서관의 이용 범위가 얼마만큼인지 알고 있었던가? (도서관 다녀온 지 꽤 되었네....) 지역주민 누구에게든 도서관 회원증만 있다면 무료로 책을 대여할 수 있는 공간. 『사서 일기』처럼 국내에도 다양한 도서관들에서 멋진 지역주민 행사들을 진행 중이라고 하니, 우리에게 열려있는 기회를 놓치지 말고 이용하자. 책을 애정 하는 이라면, 꼭 한 번쯤 읽어보기를 추천하고 싶다. (드라마화되면 정말 재미있을 듯!!)
우리의 목표가 최대한 많은 사람이 도서관을 이용하게 하여 정보 접근권의 빈부격차를 줄이는 거라면, 벌금은 정확히 그 목표에 상반되는 것이다. 부유층은 어깨 한번 으쓱하며 가볍게 무시하고, 취약계층과 차상위층과 빈곤층은 이미 세금으로 이용료를 다 지불한 - 제대로 돌아가는 세상이라면 - 장소에 들어가는 것을 머뭇거리게 된다._51p.
즐거움을 위한 책 읽기도 달리기와 비슷하다. 한동안 독서를 안 하다가 책을 집어 드는 습관으로 돌아가려면 노력이 이만저만 드는 게 아니라고 느껴질 수도 있다. (중략) 많은 사람들이 이 단계에서 포기한다. 내가 그랬다. (중략) '읽어야 한다'고 생각되는 책이 아니라, 일단 좋아하는 책을 읽을 것. _1449~150p.
읽어야 한다고 느껴지면 읽지 마시라. 그 길은 지루함과 좌절감으로 이어진다. _151p.
중요한 건, 즐거움을 위해 책을 읽을 때 너무 수준 낮거나 너무 유치하거나 너무 단순하거나 짧거나 시시한 책은 없다는 사실이다. 도서관의 그 누구도 당신을 평가하지 않는다. 성인이 그림책을 한아름 빌려 가면 집에 아이가 있겠거니 추측이야 하겠지만, 궁극적으로 우린 그저 책들이 움직이는 걸 보면 행복하고 누군가 책을 즐긴다는 생각만 하면 기쁘다. (중략) 책 읽기를 좋아하고 싶다면, 좋아하는 책을 읽으세요. _153p.
거의 다는 아닐지라도 적지 않은 수의 도서관 이용자들이 바라는 것과 다르지 않음을 깨달았다. 누가 자신의 얘기를 귀 기울여 듣고 있음을 아는 것. _166p.
도서관에는 생애 전환기에 있는 사람들을 끌어당기는 무언가가 있다. 그것은 익숙함 내지 친근함이 아닐까 싶다. 어딘가의 공공도서관에 생전 처음 가본다 하더라도, 그곳의 기본적인 사항은 익히 다 예상할 수 있으니까. 고정불변이 주는 편안함이 분명 있다, 더군다나 그게 공짜라면. _172~173p.
말하는 방식이 다르다고 틀린 말을 하는 것은 아니다. 틈새를 메우고 차이를 줄이는 것이 사서의 일이다. 우리는 정보 접근권을 가진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사이의 간극을 메운다. (중략) 의사소통의 간극을 메우는 일은, 이해하기 쉽게 종이에 정보를 적어놓는 것처럼 간편한 방법으로 해결될 수도 있다. _188p.
나는 도서관 마법이 서가 위에 놓은 것도 아니요 책 속에 깃든 것도 아님을 깨달았다. 진정한 마법은 도서관이 상징하는 가치에서, 그리고 그 가치에 숨을 불어넣는 지역공동체에서 생겨났다. 사람들이 없다면 - 고된 노동을 마다않는 사람들과 그들에게서 비롯된 참된 애정 없이는- 도서관은 그저 안에 책이 좀 들어있는 공허한 건물에 지나지 않고, 문자 언어를 위한 엄숙하고 삭막한 창고에 불과할 것이다. _364p.
#독파 11/1~11/15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 #독파 #독파앰배서더3기 #완독챌린지독파 #문학동네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만 제공받아 주관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