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룻밤에 읽는 근현대 세계사 - 18세기 산업혁명에서 20세기 민족분쟁까지 ㅣ 하룻밤에 읽는 세계사
미야자키 마사카츠 지음, 오근영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8년 11월
평점 :
품절

현재의 인류사를 이해하기 위한 키워드
18세기 후반부터 현대로 이어지는 역사의 흐름을 한 권의 책에 담았다. [현대사는 세계 각지에서 일어나 개별적 사건으로 이루어져 있어 연속성을 찾기 어렵다. 그러므로 각각의 사건을 연결해 보고 평가하면서 현재로 이어지는 변화의 방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근현대사의 주축이 되는 산업혁명은서구 국가들로부터 러시아, 미합중국, 일본으로 전해졌고, 유럽 국가들은 라틴아메리카와 아시아의 많은 나라를 식민지나 종속국으로 세계 시장에 편입시켜 자본주의 경제 체제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격변의 18, 19세기를 거쳐 신기술과 경제구조의 근간이 완성되는 20세기의 전 세계 패권이 어떻게 흘러갔는지 파악한다면 21세기에 우리가 직면한 다양한 과제들을 해결하는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책 제목에 혹, 하게 된다. 근현대 세계사를 하룻밤에 읽을 수 있다고? 책을 받아들고 목차를 넘겨보고 책 소개도 꼼꼼히 읽어본다. 역사는 중고교 시절에도 시험 볼 때 벼락치기 암기 말고는 관심분야가 아니라 찾아보지도 알려고 하지도 않았는데, 가끔 한 권씩 읽는 책들이 학생때는 몰랐던 재미(?)를 알게 해준다. 18세기 산업혁명에서 20세기의 민족분쟁까지를 다룬 <하룻밤에 읽는 근현대 세계사>는 인생의 경험에 따라 문제의식도 달라지기 때문에 자신의 체험을 살려 역사를 바라보면 된다고 한다. 그래도 근현대 세계사가 어렵다면 현대사를 풀어 가는 몇 가지 키워드를 참고해서 읽어보자.
1. 자본주의 경제 시스템
2. 국민국가 시스템
3. 도시의 팽창
4. 철도 등의 다양한 인공적 네트워크의 성장
5. 기술혁신에 의한 기술 체계의 변화
6. 그것과 상호관계에 있는 사회 시스템의 변모
19,20세기 역사는 이러한 요인들이 서로 뒤엉켜 여러 가지 마찰을 낳음으로써 많은 사건과 함께 움직여 왔다. 현대사의 구조는 사건이 잇따라 전개되지만 거기에만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많은 사건을 연결하는 여러 개의 ‘끈’을 시야에 넣음으로써 더욱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p7
예비지식이 없이 읽다 보면 과거에서 현재로 이어지는 내용들의 연결이 잘 안될 것이다. 글을 읽다 보면 시대별 흐름, 도표, 지도, 주석 등이 잘 설명되어있어서 1부를 조금씩 읽다 보면 2부의 20세기 전반에 일어나는 세계의 흐름이 조금씩 눈에 보이기 시작한다. 제목처럼 편하게 읽었다. 이해가 안 되면 안되는 대로 넘기며 읽었고, 다 읽는 데는 5일이 조금 넘게 걸린듯했지만 어렴풋하게나마 이해하는 시간이 되었다. 하나의 장이 끝나고 다음장으로 넘어가는 사이 COLUMN은 그 챕터에서 이슈가 될만한, 집중해서 봐도 좋을 글을 짧게 정리해주고 있어, 이 부분만을 찾아 읽어보는 것도 책을 읽는 포인트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하룻밤엔 다 읽을 수 없지만, 읽다 보면 어느새 나도 아는 세계사가 되어있을 것이다.
본 서평은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