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를 봐
니콜라스 스파크스 지음, 이진 옮김 / arte(아르테) / 2019년 3월
평점 :
절판

"사랑에 빠지는 것은 두려운 일이에요.
그래서 '사랑에 빠진다'고 표현하는 거죠."
범인의 독백으로 시작하는 프롤로그,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복수일까?
격투기 경기로 엉망이 된 콜린은 비 오는 날 밤 집으로 향하다 도로에서 타이어를 교체중인 마리아를 보게 된다. 이전의 그였다면 그냥 지나쳤겠지만, 그는 달라졌고 비 오는 날 타이어를 제대로 갈지 못하는 여자를 두고 가지 못해 차에서 내리지만 마리아는 그런 그를 보고 놀란다. (완전 범죄자처럼 그려지고 있...) 여차여차 타이어를 갈고 무사히 각자의 갈 길을 가게 되는데...
엄청난 문제아, 집에서도 쫓겨난 탕아였던 콜린은 선생님이 되고자 뒤늦게 학업과 아르바이트, 그리고 자신을 폭력성을 통제하기 위해 훈련을 게을리하지 않는다. 그가 집에서 쫓겨나 어려웠을 때 그를 도와주었던 에번과 그의 약혼녀 릴리 캐릭터도 정말 독특하면서도 이런 친구가 있었기에 콜린이 마리아와 만나 사랑에 빠질 수 있었던 게 아닐까?라는 생각도 해보게 된다.
화목한 가정에서 자란 마리아는 변호사로 성공한 삶을 살고 있는 것 같지만 그녀의 내면은 공허하기만 하다. 자신을 사랑하는 줄 알았던 남자친구의 갑작스러운 이별 통보. 변호사로 흔들리지 않는 삶을 살고 싶었지만 직장 상사의 은근한 관심이 부담스럽기만 하다.
우연히 다시 만나게 된 이들 사이에 사랑이 싹틀 줄이야!! 그렇다, 그들은 사랑에 빠져버린 것이다. 콜린과 마리아의 시선으로 교차되어 진행되는 글은 서로를 바라보는 생각, 시선, 그리고 그들이 가까워지게 되는 계기와 미묘한 분위기까지 섬세하게 담아내고 있다. 콜린의 과거를 다 알고도 그에게 빠져드는 마리아는 짧은 시간에 이렇게나 그에게 빠져드는 자신이 당황스럽지만 그와 대화를 하면서 그가 점점 더 좋아지고 자신을 스토킹하는 미지의 인물이 마리아를 점점 압박해오면서 콜린은 무슨 일이 있어도 그녀를 지켜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콜린과 마리아 서로에게 점점 빠져들며 이보다 행복할 수 있을까? 싶은 순간 마리아를 스토킹하는 집요한 시선은 ‘내가 널 보는 것처럼 너도 나를 봐’ 라는 메세지를 던지며 마리아를 점점 압박해 오는데, 그 과정에서 콜린의 폭력성을 목격하게 된 마리아는 혼란에 휩싸이게 된다. 범인을 예측할만한 단서를 뒷부분에서 꽤 보여주고 있지만 이야기가 끝나는 마지막 장까지 긴장을 놓을 수 없었던 <나를 바>는 니컬러스 스파크스가 그린 로맨스는 다르다! 고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다. 영화로 만들어지면 참으로 좋겠습니다!
#나를봐 #니컬러스스파크스 #이진 #arte
그는 그녀를 도우려 애썼다. 그는 옳은 결정을 했고, 법을 준수했고, 경찰에 신고했으며, 심지어 지방검사보에게도 얘기했다. 그때까지만 해도 그는 사회의 규범을 믿었다. 선이 악을 물리치고 승리할 것이며, 위험을 막을 수 있고, 사건의 발생을 통제할 수 있다는 순진한 생각을 품고 있었다. 법이 한 인간을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지켜줄 수 있다고 믿었다....(중략)... 그러나 규칙을 지키는 것도 위험할 수 있음을 그는 깨닫게 되었다. 규칙은 평균치일 뿐 구체적인 상황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었다. 사람들은 어릴때부터 규칙을 받아들이도록 학습되었기 때문에 맹목적으로 규칙을 따르게 되기 쉬웠다. 제도를 신뢰하게 되기 쉬웠다. 무작위적 가능성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게 되기 쉬웠다. 그것은 곧 앞으로 닥칠 수도 있는 일에 대해 생각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했고, 화창한 금요일 오후에 아무 걱정 없이 프리스비를 할 수있음을 의미했다. /P7~8
"그렇군요."
"그렇다고요?" 그녀의 입꼬리가 올라갔다.
"상대방이 나에게 질문을 하지 않고 생각을 말할 때 제가 애용하는 표현이에요." /p90
"남보다 앞서가고 싶지 않아요?"
"난 앞서간다는 게 무슨 뜻인지도 모르겠어요." 그가 말했다. "더 큰 집? 더 좋은 차? 더 멋진 휴가? 내 부모님은 그 모든 걸 다 갖고 있는데, 두 분 모두 정말 행복하다는 느낌은 안 들었거든요. 저 세상 밖에는 항상 더 많은 것이 있겠지만, 그 끝은 과연 뭘까요? 난 그런 식으로 살고 싶진 않아요."
"어떻게 살고 싶은데요?"
"난 균형을 원해요. 생계를 꾸러야 하니까 일도 중요하지만, 친구, 건강, 휴식도 중요해요. 내가 좋아하는 일들을 하고, 때로는 아무것도 안 할 시간도 필요해요." /p133~134
"등에 좀 발라줄래요?"
그녀가 고개를 끄덕였다. 입안이 살짝 말랐다. "그럴게요"
그녀가 로션을 받아 들 때 두 사람의 손이 스쳤다. 그녀는 손에 한 번 눌러 짠 뒤 그의 등에 천천히 바르면서 근육과 피부의 상호작용을 느꼈다. 그녀는 이상한 친밀감을 무시하려 애썼다. /p137~138
"난 '정상'이라는 게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모르겠어요. 사람들은 누구나 자기만의 '정상'의 정의를 갖고 있는 것 같아요. 그 정의는 문화에 의해, 가족과 친척에 의해, 성격이나 경험, 사건, 또 천 가지 다른 것들에 의해 만들어지죠. 어떤 사람에게 정상인 것이 다른 사람에게는 정상이 아니에요. 어떤 사람들에게는 비행기에서 뛰어내리는 게 정상이 아니라지만 어떤 사람들에게는 그게 없으면 인생은 살 가치가 없죠." /p234
너는 파괴자야! 너는 독이고 결코 무사할 수 없어 그게 어떤 기분인지 곧 알게 될 거야. 왜냐하면 이제 내가 주도권을 잡았으니까 이제 나는 살아 있는 무고한 자.
내가 너를 보는 것처럼 너도 나를 봐! /p344
본 서평은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