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자 마흔, 버려야 할 것과 시작해야 할 것 - 공허함을 성장으로 바꾸는 심리학 수업
정교영 지음 / 포르체 / 2019년 9월
평점 :

마흔에 관련한 도서를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요즘이다. 남자보다 여자의 마흔을 이야기하는 책들이 많은 걸까? 아마도 결혼을 하며 가정에 자신의 시간 대부분을 가정을 위해 보냈던 3,40대 여성들은 남편은 사회적으로 바쁘게 살아가고, 아이들은 커서 손길이 덜 가게 되니 그제야 자신을 들여다볼 수 있는 시간이 생겼지만 사회적인 경력단절로 일을 하고 싶어도 도전할 수 있는 일은 많지 않고 나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막막한 시기가 40대가 아닐까 싶다. 아내, 엄마, 며느리... 그리고 나. 그 안에 내가 설렘은 어디쯤 있을까?
나는 행복하게 살 의무가 있다.
지금 당장 희생의 마법에서 빠져나올 것
사실 기혼자로서의 마흔은 짐작만 할 뿐이다. 친구, 지인들, 동생들의 결혼생활과 육아를 보고 듣고 이야기해서 짐작으로 읽었던 <여자 마흔, 버려야 할 것과 시작해야 할 것>은 기혼 여성들이 입장에서 쓰인 책이다. 사실 보고 들은 것만으로도 이런저런 할 이야기는 많으나 미혼의 입장으로 읽었을 땐 크게 공감하긴 조금 힘들었다. 인생의 중반부로 접어든 마흔,이라는 부분의 글을 읽는다면 이제 무엇을 해야 하나...라는 흔들리는 마음을 짚어보는 글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5~6p.
인생은 하나의 흐름을 타는 것이고, 롤러코스터처럼 끊임없이 오르내림을 반복하면서 우리는 성장한다. 인생의 전환기 마흔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내리막이었던 길은 오르막길로, 혹은 오르막이었던 길도 내리막길로 바뀔 수 있다. 다만 당장은 큰 그림이 보이지 않아서 절망스럽고 불안할 수밖에 없다. 나는 오히려 이러한 위기감과 불안을 좋은 징조라고 본다. 지금까지의 삶을 돌아보라는 신호로 받아들이면 새로운 세팅의 기회가 생긴다.
32p.
우리가 오늘 하루, 지금 이 순간을 어떻게 대하느냐가 내 인생의 남은 페이지를 결정짓는다. '오늘 안되면 내일부터 하면 되지.'라고 느긋하게 생각할 수도 있다. 오늘은 내 남은 인생의 첫날이기도 하지만 내 인생의 마지막 날이 될 수도 있다. 오늘 당신에게 주어진 두 번째 인생의 첫 페이지를 장식할 단 한 줄의 문장은 무엇일까?
123p.
혹시 당신도 신뢰할 수 있는 누군가가 자신을 이끌어 주길 기다리고 있지는 않을까? 아직은 때가 아니라면서 나를 일으켜줄 만한 '특별한 계기'만을 기다린다면 그 환상에서 깨어나야 한다. 인생은 무수한 보기 앞에 자유 의자로 한 선택이 아닌 삶을 어떻게 '나만의 삶'이라 말할 수 있을까.
156p.
결국 삶은 우리에게 말한다. 원하든 원하지 않든 너의 길을 가라고 말이다. 더 이상은 나이 핑계 대면서 꿈을 꿀 자격이 있는지 없는지 논할 필요가 없다. 마흔이 넘어서도 다시 꿈꾸고, 목표를 이루어가며 살 수 있다는 것을 믿는다면 말이다.
166p.
우리는 저마다 나름의 이유로 열심히는 살고 있지만, 안타깝게도 그건 내가 원하고 바라는 삶과는 거리가 멀 때가 많다. 미래의 안정과 편안함이라는 막연한 목표를 위해 현재를 희생하는 삶을 살아온 것이다.
221p.
우리는 계속 성장한다. 아이들만 성장하는 것이 아니다. 오래된 기억과 관습, 고집스러운 우리의 신념, 습관과 싸우느라 아이들보다 아주 조금 더디게 클 뿐이다. 나이가 들수록 새로운 경험에 오픈된 마음을 가지기가 쉽지 않다. ... (중략)... 지금의 쾌락을 핑계로 성장을 거부하거나 회피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자문해 보아야 한다. 당장의 쾌락을 챙길 것인가, 성장을 통해 행복한 삶을 살 것인가.
본 서평은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