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꽂이 투쟁기
김흥식 지음 / 그림씨 / 2019년 9월
평점 :

책꽂이 투쟁기라니, 매일 퇴근해서 거실에 흘러넘친 책들과 방에도 들어차기 시작한 책들을 바라보는 내 마음 같은 제목, 그리고 책표지에 홀린 듯 구입해서 바로 페이지를 넘기기 시작했다.
"이리 재미있습니다. 그래서 출판하는 삶은 즐겁습니다.”
출판 인생 30년 김흥식의 책꽂이와 책에 관한 이야기는 책 외에도 음악과 영화 이야기로도 흘러간다. 직업인이자 책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의 삶은 그의 인생에 어떤 책들을 남겼을까? 궁금한 마음에 넘기며 읽다 보니 그의 책꽂이와 도서에 관한 시대 흐름의 이야기가 흥미롭고 재미있다. 마흔세 살에 도서출판 서해문집을 세우고 30여 년 동안 천 여권의 책을 출판했다고 하니 그의 책에 대한 애정이 참으로 남다르다고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다.
출판 인생 30년 김흥식의 책꽂이 살펴보기
혹자는 고전을 읽어야 책 읽기를 하는 게 아닌가? 생각하거나 이야기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책도 개인 취향이 아니던가? 개개인의 취향이 다르듯, 개인의 책 읽기 취향도 다른게 당연한 것이라 이야기한다. 고전이라 꼭 읽어야 할 필요도 없으며 정독이 아니라 필요한 부분만 점프해 읽는 간독도 가끔은 할 수 있다고 이야기하는 저자의 글을 읽으며 앞으로의 책 읽기가 조금 더 즐거워질 것 같다는 생각도 해보게 됐다. 책을 좋아하는 이들에겐 그의 책에 관한 이야기가 흥미로울 것이고, 책에 관심이 없던 이들도 독특한 제본 방식과 책에 대한 저자의 다양한 이야기에 빠져들 것이다. 누군가에겐 종이뭉치에 불과할 책, 하지만 이 수많은 책들에 담긴 이야기를 알지 못하고 살아간다는 게 또한 얼마나 슬픈 일인지...."이리 재미있습니다. 책이...!"
012p.
책을 읽는 것은 결국 인간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 가는 과정일 것이다. 본질적으로 책을 다루는 존재는 인간일 테니까. 그래서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인간이라는 존재의 복잡다기한 본성을 확인하게 된다. 물론 그러한 사실을 확인한다는 것이 살아가는 데 꼭 도움이 된다고 말하기는 힘들겠지만, 그렇다고 손해도 아닐 것이다. 우리의 삶 또한 결국은 나를 포함한 인간과의 끊임없는 교류와 이해일 테니까. 그래서 책이란 것이 읽으면 읽을수록 더 많은 책을 찾는다는 점에서 중독성이 있다.
183~184p.
내가 서양 헌책에 관심을 기울이는 까닭은 두 가지다. 하나는 책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우리 젊은이, 후손, 시민들에게 알려 주고 싶어서다. 무엇을?
"서양에서는 이런 책을 이 시대에 이렇게나 많이 읽었어요. 게다가 책의 수준을 보십시오. 결국 지금 우리가 경제적으로 세계 몇 대 강국이라고 떠벌린다고 해도 그건 말 그대로 경제적인 부문에 국한된 것일 수 있습니다. 저들이 지금 경제적으로 어려울지 모르지만 근대 문명의 전통은 우리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앞서 있습니다. 그러니 절대 그들을 우습게 보면 안 됩니다. 이제 우리 지갑도 웬만큼 두툼해졌으니 문명의 두께를 키우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말 그대로 벼락부자일 뿐 지성과 품성, 철학과 사고 면에서 지성인이라고 자부하기는 어려울 테니까요."
263~264p.
그렇다면 중국은? 중국 서점에도 바구니가 있다. 그것도 한 종류가 아니라 휴대용부터 끌고 다니는 대형 카트까지 골고루 비치되어있다. 그래서 30권이 넘는 책을 골라도 아무 문제가 없다. 아! 그 많은 책을 골라 대형 카트에 실은 다음 끌고 다니다 계산대에 서서 계산하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질투심과 착잡함을 동시에 느끼게 된다. 누군가는 말할 것이다.
"책 많이 읽는다고 나라가 발전하는 것도 아니요. 돈을 많이 버는 것도 아니다. 게다가 중국인들은 인구가 우리 30배 가까이 되지 않느냐 말이다. 그러니 그 정도 읽는 거야 당연한 것 아닌가?" 글쎄, 그러면 얼마나 좋을까?
272p.
고전은 암초가 되어서는 안 된다. 고전은 등대여야 한다. 고전을 읽지 않았다고 해서 열등감을 느낄 필요도 없고, 부담감을 느낄 필요도 없다. 고전은 필독서, 즉 반드시 읽어야 하는 책은 아니라는 말이다. 물론 고전을 읽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 또한 필독서라고 주장하는 것만큼이나 지적 폭력이다.
277p.
"고전이라고 해서 한 글자도 놓치면 안 된다는 부담감을 털어 내십시오. 바로 그 부담감 때문에 고전을 암초로 여기게 됩니다. 저는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를 이틀 만에 읽었지만 누군가에게 권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그 책이 그토록 위대한 고전이라면 <돈키호테>에 숨어 있는 위대한 문명이 무엇인지 해석해 주는 책을 읽고 싶습니다. 저는 그곳에서 약간의 풍자와 시대정신은 찾을 수 있었지만 그 두꺼운 책에 담겨 있을 거라고 믿은 만큼의 무언가를 얻지는 못했습니다. 그 외에 무수히 많은 책들이 그랬습니다."
342p.
오늘날 책을 읽어야 할 까닭은 사막에서 바늘을 찾는 것만큼이나 귀한 반면, 책을 읽을 필요가 없는 까닭은 온 세상을 뒤덮고도 남을 만큼 넘친다. 그런데도 우리는 왜 책을 읽는가! 내 책꽂이가, 우리 책꽂이가, 나아가 인류 문명의 보관소이자 창조의 원천인 도서관 서가가 질문에 답해 줄 것이라 믿는다. 좁디좁은 곳에 파묻혀 자기 등조차 보여 주지 못한 채 꽂혀 있고 쌓여 있는 책들이 불쌍하다.
#책꽂이투쟁기
#김홍식
#서해문집
#그림씨
#인문 #책읽기
#도서에세이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