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둠을 뚫고 시가 내게로 왔다 - 소외된 영혼을 위한 해방의 노래, 라틴아메리카 문학 ㅣ 서가명강 시리즈 7
김현균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0월
평점 :

‘서울대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 서가명강
서가명강 시리즈 7번째 책으로 라틴 아메리카를 대표하는 시인들과 시어, 문학을 통해 ‘시’와 한 발자국 더 가까이.. '시'는 왜 편하게 즐길 수 없는 느낌이 드는 걸까? 시인들의 생은 왜 이토록 절절하고 힘겨운 걸까? 친절한 이 책은 책을 읽기 전 주요 키워드를 목차 안내전에 제시하고 있어 읽기 전 차분히 읽어보고 시작한다면 어려움 없이 읽어나갈 수 있다. 1부 라틴아메리카의 위대한 시인들을 시작으로 2부 시인들의 시인 루벤 다리오, 3부 파블로 네루다, 4부 단 3권의 시집으로 라틴아메리카 문학의 최정상에 선 시인 세사르 바예호, 5부 신성한 전통에 총구를 겨눈 반시인 니카노르 파라에 대해 이야기한다. 한 챕터가 끝나고 다음 시인으로 넘어가기 전 Q/A 묻고 답하기에서 앞에 이야기했던 시인들과 엮어 해봄직한 질문을 하고 답하는 형식으로 자칫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시와 문학, 그리고 우리나라 시인들의 연관성에 조금 더 관심을 기울여 읽게 되었던 글이기도 했다.
시는 무엇이며 시를 읽는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앞세대와 의미 있는 단절을 가져오며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는 #다리오 #네루다 #바예호 #파라 네 명의 시인이 추구했던 시와 삶은 저마다의 인생을 담고 있어서 시에 대한 느낌,감상도 짙은 여운으로 다가온다. 네루다, 바예호는 소설이나 시집으로도 읽었지만, 그동안 내가 읽고 생각했던 건 활자를 겉핥기 식의 조금 맛보기만 했던 것인가?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전공이 아닌 사람이 읽어도, 기본 지식이 많지 않아도 읽다 보면 절로 고개가 끄덕여지고 흥미가 생기고 재미있다고 생각되는 글이었던 건 76여 권에 달하는 국내외 참고문헌을 참고해 보다 쉽고 재미있게 우리의 삶에 '시'가 왜 존재해야 하는지, 읽어야 하는지를 이야기해주었던 글이었다. '시'가 어렵다고 생각된다면 한 번쯤 일독해보길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책을 자주 접하는 직업을 가진 탓일까, 이따금 나 자신에게 이런 질문을 던질 때가 있다. 나는 좋은 독자인가? 어떤 독자가 좋은 독자일까? _11p.
파스는 시인이면서도 30권이 넘는 다양한 주제의 에세이집을 펴냈는데, 그의 정확하고 아름다운 산문은 범접할 수 없는 아우리를 지니고 있다. 사실 스페인어권 밖에서 시론서 중 빼놓지 않고 인용되는 것은 파스의 글밖에 없다. 특히 시와 삶과 역사에 대한 빛나는 통찰을 담은 고전적 에세이 『활과 리라』는 시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반드시 읽어보아야 할 명저라 하겠다. _37~38p.
시라는 한자를 해자하면 "일정 음률에 따라 마음을 헤아려 노래하다"라는 뜻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 한자 조합을 "말로 지은 사원"으로 풀고 싶은 유혹을 느낄 때가 있다. ... (중략)... 시를 무기로 비뚤어지고 부조리한 세상을 변혁할 수 있을까? 시로 돈을 버는 것도 당장 현실을 바꾸는 것도 아닌데, 왜 시인들은 식은 새벽 방바닥에 엎드려 시를 쓴다고 끙끙대는 걸까? 이런 자의식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시인이 있을까. 이것은 어찌 비단 시만의 문제이고 시인만의 문제이겠는가. 어쩌다 문학 책을 펼치더라도 우리가 이 책을 왜 읽는지, 한 편의 시나 소설을 읽는 것이 우리가 꿈꾸는 세상을 만드는 데 무슨 소용이 있을지 고민하기 십상이다. ... (중략)... 혹 왜 시를, 그것도 라틴아메리카 시를 읽어야 하는지 의문이 든다면, "인간을 억압하는 모든 힘에 대한 감시체"로서의 문학의 역할에 대한 예리한 통찰이 담긴 이 글귀를 한번 되새겨볼 일이다. _43~51p.
시는 모름지기 모두가 함께 나누는 빵 같은 것이 되어야 하며 최고의 시인은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건네는 존재라는 네루다의 오랜 신념이 마침내 가장 적절한 시의 형태로 구현된 것이다. _193p.
여담이지만 바예호와 네루다는 혁명의 아이콘 체 게바라가 탐독했던 시인들이다. 체 게바라는 늘 노트에 시를 필사해서 읽곤 했는데, 1967년 볼리비아의 밀림에서 체포되었을 때 평소 그가 메로 다니던 홀쭉한 배낭 속에는 네루다, 바예호, 니콜라스 기옌, 레온 펠리페의 시 69편이 필사된 녹색 노트가 들어있었다. _263p.
"시인이라면 자신만의 사전을 지녀야 한다."
시에 대한 모든 통념을 부정하다
일반적으로 시에 대해서는 쉽게 다가갈 수 없는 난해한 것, 매우 숭고하고 고상한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시에 대한 이런 통념과 편견을 철저하게 부정한 시인이 있다. 바로 '반시'라는 개념으로 라틴아메리카 문학사에 확실한 족적을 남긴 니카노르 파라다. _275p.
#나는매주시체를보러간다
#크로스사이언스
#이토록아름다운수학이라면
#다시태어난다면한국에서살겠습니까
#왜칸트인가
#세상을읽는새로운언어빅데이터
에 이은 7번째 도서 어둠을뚫고시가내게로왔다
#서가명강
서울대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
서울대 학생들이 듣는 인기 강의를 일반인들도 듣고 배울 수 있다면?
‘서가명강’은 현직 서울대 교수진의 유익하고 흥미로운 강의를 엄선, 살아가는 데 필요한 교양과 삶의 품격을 더하는 지식을 제공한다고 한다. ※서가명강 시리즈는 계속 출간됩니다.
#어둠을뚫고시가내게로왔다
#김현균교수 #라틴문학 #인문학
#서가명강프로서포터즈3기
#서가명강07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
본 서평은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