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9평 반의 우주 - 솔직당당 90년생의 웃프지만 현실적인 독립 에세이
김슬 지음 / 북라이프 / 2019년 11월
평점 :

외국 영화를 보면 성인이 되면 독립!이라는 건 공식처럼 보였다. 왜? 굳이?라는 생각을 했는데... 시간이 흘러 생각해보면 결혼 유무를 떠나 독립은 빨리 할수록 정신건강에도 생활력을 기르는데도 유리하다는 생각이 들게 된다. 오랜 시간을 서울이란 공간에 살아 딱히 부모님으로부터의 독립을 생각하지 않았었고, 서울에서 자영업을 하던 기간 1년 정도?를 독립된 공간에서 오롯하게 자취생활을 경험했다. 하루 일과를 마치고 퇴근해 들어와 잠만 자고 출근하는 공간이었는데도 몇 평 되지 않는 그 작은 공간이 참으로 좋았던 경험이 있었다.
나를 닮은 방, 그 한 뼘 공간에서 펼쳐지는 내 인생의 재발견
나만의 세계에서 온전히 누리는 1인분의 기쁨
이십 대 중후반, 서른 즈음의 주변 지인들이 독립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거나 실제로 독립한 이들도 많은 편이다. 사실 먼 지방이 아닌 이상 같은 수도권에서 따로 나와 독립? 을 한다는 건 돈 낭비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지만 시간이 흘러 돌아보면 '독립'은 선택이 아닌 필수! 같아 권장하고 싶다. 독립이란, 가족으로부터 오롯하게 홀로 나와 내 삶을 내 몫으로 지켜가며, 선택하고 책임을 다하는 과정은 완전한 독립이 아니면 경험할 수 없는 일일 테니까. 김슬의 독립생활자 일기는 혼자만의 공간을 갖기까지의 나날과 과정에 대한 기록은 '독립'생활을 경험했거나, 진행 중인 이들에게 좋은 '메이트'가 되어줄 것이다.
월세 25만 원이 전세 대출금 7000만 원이 되고, '서울시'로 시작하는 주소가 신분증에 새겨지면서 사는 더 이상 '힘든데 고향으로 돌아갈까'라는 생각을 하지 않게 됐다. 내가 동경하고 선택한 도시에서 어떻게든 살아가고 싶었다. 죽이 되든 밥이 되든 혼자 해내지 않으면 내 삶을 내 몫으로 지킬 수 없을 것 같았다. 선택하고, 그에 책임을 다하는 과정이 독립의 전부일 테니까. _10p.
불안감 없이 오랜 시간 살 수 있는 집, 지금보다 넓고 쾌적한 환경에서 살고 싶다는 욕구는 누구에게나 있다. 하지만 정책이 향하는 곳은 한정적이고, 그것은 가끔 국가가 원하는 방향으로 살라는 압박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청약 당첨 확률을 높이고 싶으면 신혼부부가 되라는 식으로 말이다. _143p.
별 탈 없이 계속될 거라 믿었던 삶의 곡선이 갑자기 툭 곤두박질쳐버린다면 우리는 뭘 할 수 있을까. _158p.
나는 서른 살의 내가 이전보단 괜찮은 인간이었으면 좋겠다. 마흔엔 나름의 멋도 느껴지길 바란다. 청춘은 점점 멀어져 가고 화려한 파티는 끝났을지 몰라도 내가 나를 만들어갈 여지는 여전히 남아 있다고. 기깔나게 멋진 어른은 아니어도 좀 더 나은 어른은 될 수 있다고. 더 나중에도 그렇게 믿고 싶다. 그리고 누가 그랬다. 원래 축제는 뒤풀이가 더 재밌는 법이라고. _179p.
#9평반의우주
#김슬 #독립생활자
#에세이 #북라이프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
본 서평은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