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픔에서 더 배우고 성장한다 - 스트레스를 스트렝스로 바꾸는 방법 ㅣ 아우름 47
이서원 지음 / 샘터사 / 2021년 1월
평점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스트레스는 삶이라는 내 집에 수시로 찾아오는 대표적인 손님이다. 대개 예상도 못한 시간에 상상도 못한 모습으로 불쑥 찾아오기에 깜짝 놀라게 된다. 이 손님은 골치 아픈 손님이다. 왜냐하면 가라고 해도 가지 않고 자기 마음대로 내 삶에 쑥 들어와 안방을 차지하고 드러눕기 때문이다. _14p.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직장 생활을 하며 시작된 두통은 퇴사를 결심하기 직전 즈음까지 최고조에 달했고,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그 정도가 심해서 뇌 관련 병원 정밀검진도 받아보기도 했었다. 결과는 '스트레스'. 신기하게도 회사를 퇴사하고 쥐고 있던 마음들을 내려놓기로 마음먹고 나니 수시로 찾아오던 두통이 거짓말처럼 괜찮아졌다. 받아들이지 못하고 거부하게 되는 마음, 마음의 갈등으로 생겨나는 게 스트레스가 아닐까?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어중간한 상태에서 생기는 심리적인 갈등. 요즘은 아이들도 이런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하니....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스트레스를 안 받을 수는 없나요?"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스트레스 없는 사람이 있을까? 싶을 정도로 스트레스에 관심이 많아진 요즘. stress를 strength로 바뀌어 가는 과정을 이야기하는 저자 이서원의 글을 읽다 보면, 스트레스를 가져오는 현실을 부정하지 않고 받아들이며 현실을 있는 그대로 왜곡되지 않게 받아들이고 현실을 기반으로 스트레스를 줄이는 최적의 방법을 이야기한다. 살면서 피할 수 없는 스트레스, 피할수 없다면 울면서 받아들이더라도 웃으면서 보낼수 있기를... 스트레스에 담담하고 당당하게 대응하며 대처하는 과정들을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었던 책이다.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왜, 인간은 소명을 가지고 태어난다잖아. 거기에 부응해서 자기의 무언가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하잖아. 그런 거 없어! 태어난 게 목적이야! 목적을 다 했어. 그럼 지금 살고 있는 우리의 시간은 뭐냐고? 신이 우리를 예뻐해서 윙크를 하면서 보내준 보너스 게임이야. 네 마음대로 하고 싶은 걸 해. 애써 태어나서 살고 있으면 지금 하고 있는 일이 잘 됐든 안 됐든 '내일의 나는 더 나은 내가 될 거야.'가 아니라 오늘로도 충분히 한 거야." #신해철 _19p.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집단주의 문화가 세계에서 가장 강한 나라 가운데 하나인 우리나라는 관계에 살고 관계에 죽는다고 할 만큼 관계 중심 사회다. 스트레스도 따지고 보면 일에서 오는 것보다 일을 둘러싼 관계에서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내가 어떻게 할 수 있는 몸과 마음을 지나 관계의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한국에서 스트레스를 덜 받고 스트레스를 스트렝스로 바꾸며 살아가기 위한 필수 항복이라 할 수 있다. _64~65p.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아픔에서더배우고성장한다#이서원#인문#도서협찬#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샘터물방울15기#샘터물방울서평단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break-word; white-space: pre-wrap; color: #3d4444; background-color: #ffffff; text-align: center !important;">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만 제공받아 주관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