랄랄라 하우스
김영하 지음 / 마음산책 / 2005년 8월
구판절판


독서에도 일정한 훈련과 의식적인 노력이 분명히 필요하다. 그리고 그런 노력은 분명한 대가를 받는다. 소설은 춤과 같아서 처음에도 즐겁지만 배우면 배울수록 더 큰 즐거움을 준다. 아는 작가가 많아지고 출판사나 번역자에 따라 책을 고르는 요령들을 터득해감에 따라 취향은 분명해지고 만족감도 커진다. 처음에는 도대체 무슨 책을 사야할지 알 수 없던 대형서점이 자기 방 서재처럼 친숙해지는 순간이 온다.-208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J뽀스 2006-08-03 14: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도대체 무슨 책을 빌려야 할지, 어디서 찾아야 할지 알 수 없던 도서관이 자기 방 서재처럼 친숙해지는 순간"에 느끼는 편안함과 충만함
 

 


 





















DJ뽀스의 추천작 : 연애중독(러브홀릭), 내 나이 서른 하나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Laika 2005-12-09 17: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플라나리아 읽고 연애중독 읽었고, 이제 블루 혹은 블루 읽으려고요.. 읽을수록 야마모토 후미오라는 작가가 궁금해집니다..

로드무비 2005-12-10 09: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두 분도 플라나리아 계원이셨네!^^

DJ뽀스 2005-12-11 00: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두 분도 야마모토 후미오 작품 좋아하신다니 기쁘네요.
계원들의 성화에 힘입어 이 작가 작품 많이 소개되었으면 좋겠네요. ^^:
 
플라나리아
야마모토 후미오 지음, 양윤옥 옮김 / 창해 / 2005년 2월
구판절판


"공짜보다 비싼 건 없는 법이야." (사랑 있는 내일)-77쪽

(옮긴이의 말 中 - 하야시 마리코의 심사평)

연애소설을 쓰는 사람에게 야마모토 후미오의 등장은 경악이었다.

연애소설 작가는 등장인물에게 미남 미녀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뭔가 매력 한 가지는 주고 싶어한다. 그런데 그녀의 주인공들은 특히 내놓을 만한 장점이 하나도 없다. 사랑이면 사랑, 일이면 일에 남달리 적극적인 이상적 여성상에 이 작가는 크게 가위표를 쳐버린다.

더구나 <플라나리아>의 주인공이 보여주는 '항상 의지 전혀 없음'을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당혹스러운 것이다.-319쪽

(옮긴이의 말 中)

미모와 세련됨, 당당한 커리어를 가진 성공한 인간은 암에 걸린 인간에게 도덕적이고 상식적인 동정을 베풀며 그걸로 일종의 축제 기분을 만끽할 수 있고 '나는 다시 태어나도 나로 태어나고 싶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담에 다시 태어날 때는 플라나리아가 되게 해주소서'라고 별님에게 빌어보는 인간의 메울 길 없는 상실감은 더욱더 깊어질 뿐이다. -321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Laika 2005-11-16 18: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머, 저도 오늘 플라나리아 밑줄 그으러 이렇게 서재에 들어왔는데, 어쩜 이렇게 통했죠...그래도 밑줄은 그을께요..^^

DJ뽀스 2005-11-17 15: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라이카님이랑 책이나 영화나 통하는 게 많아서 참 좋아요. 생면부지의 사람인데도 말이죠. (괜히 친한 척 ㅋㅋ) 라이카님은 어떤 부분에 밑줄 치셨는지 무지 궁금하네요.
 

 

 

 

 


읽고 또 읽자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이 것뿐!
(백수의 변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청춘, 덴데케데케데케~
아시하라 스나오 지음, 이규원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5년 1월
장바구니담기


일본 근대화의 정신적 지주인 후쿠자와 유키치가 말했다는 일곱 가지 교훈으로,

세상에서 가장 즐겁고 멋진 일은 일생을 바쳐 할 일이 있다는 것이다.
세상에서 가장 비참한 것은 인간으로서 교양이 없다는 것이다.
세상에서 가장 쓸쓸한 것은 할 일이 없다는 것이다.
세상에서 가장 추한 것은 타인의 생활을 부러워하는 것이다.
세상에서 가장 존귀한 것은 남을 위해 봉사하고 결코 보답을 바라지 않는 것이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은 모든 사물에 애정을 갖는 것이다.
세상에서 가장 슬픈 것은 거짓말하는 것이다. -17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