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전애인 My Ex, 2009
감독 : 삐야빤 추펫츠
출연 : 와니다 텀다나포른, 샤크릿 얌남 등
등급 : ?
작성 : 2011.09.27.

 

“아무리 잘나도 결국은 사람이라는 겁니다.”
-즉흥 감상-

 

  솔로 여러분들은 일단 옆으로 밀어두고, 지금 사랑을 나누시는 분들께 추천하고 싶은 공포영화를 하나 발견했습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남성분들께 권한다는 것으로, 소개의 시간을 조금 가져볼까 하는군요.

  

  작품은 혼자서 흔들거리는 그네와 그 너머로 넘실대는 파도. 그리고 앞으로 펼쳐질 모든 이야기를 담은 회색 화면으로 시작의 문을 여는데요. 색을 찾은 화면 속에서, 창밖을 보며 서있는 남자와 그를 뒤에서 안는 여인을 보입니다.
  그렇게 그녀가 임신했다는 사실을 알리는 것도 잠시, 정색을 하는 남자에게 새로운 애인이 생겼음이 밝혀지는데요. 그가 말하는 진정한 사랑에 대한 철학이야 어찌 되었건, 그의 직업이 유명한 배우이며 스캔들에 시달리고 있다는 것으로 본론으로의 장이 열립니다. 그리고는 별장에 요양 차 은신하는 그의 주변으로, 의문의 사건사고들이 꼬리를 물기 시작하는데…….

 

  이토준지의 만화 ‘시나리오대로의 사랑 シナリオどおりの恋’에서도 멋지게 표현되었지만, 남자 사람 여러분! 바람피우지 맙시다!! 사랑은 물질적인 것이 아니기에, 책임과 의무를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번 작품은 경고하고 있었는데요. 다소 짜증나는 부분이 없지 않았지만, 생각의 시간을 선물해준 작품이었다는 점에서 소리 없는 박수를 보내봅니다.

  

  제 기록을 읽어주시는 분들은 이번 작품을 어떤 기분으로 만나셨을까나요? 남자야 나쁜×이 하나니 구별할 필요가 없었지만, 여자는 누가 누군지 헷갈리셨다구요? 남자라는 동물은 다 똑같다구요? 네?! 그러니까 어쩌란 말이냐구요? 으흠. 하긴, 남자가 죽었다는 건지 살아도 사는 게 아니라는 건지 모호하게 마침표가 찍혀버렸습니다. 작품 안에서만 두 번 죽어야 마땅한데, 내레이션과 함께 쭉 뻗은 가로수의 길을 달리는 자동차의 모습이라. 그저 다른 전문가 분들의 의견이 궁금할 따름이군요. 아무튼, 두 번째 분의 의견에 대해서, 아아. 저 또한 남자라지만 동감해야겠지요? 남녀차별을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가 몸담고 있는 사회는 우먼파워가 상당하다보니 항상 조심해야겠습니다. 그리고 첫 번째 분의 의견에 대해서는 적극 동감합니다. 처음에는 울며불며 전화기에 매달리던 여자가 원흉의 시작인줄 알았는데, 아. 죄송합니다. 하마터면 만날 준비에 한창이신 분들께 실례를 범할 뻔 했군요.

  

  사실, 두 번째 이야기라 할 수 있을 영화 ‘전애인 2: 혼티드 러버 My Ex 2: Haunted Lover, 2010’까지 본 입장이라 그저 조심스럽게 감상문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살짝 속삭여보면, 이번 작품은 소설 ‘링3 루프 The Loop:ル―プ, 1998’를 읽었을 때랑 비슷했다고만 적어보는데요. 으흠. 알겠습니다. 마치 처음 만난 것처럼, 더 이상의 언급은 봉인하겠습니다.

  

  국적은 태국으로, 남녀 간의 사랑이 부른 비극을 표현하고 있었습니다. 유의할 점은 ‘귀신’이 등장한다는 것인데요. 약간 어설픈 CG와 짜증나는 인물설정을 제외하면 나름 괜찮은 작품이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너무나도 위대한 사랑의 힘이 남자의 생사를 조정하는 것이 아닐까 했는데요. 한 남자 때문에 죽어가는 여자들이라니. 아아. 그저 안타까울 뿐입니다.

 

  그럼, 두 번째 이야기의 감상문으로 이어 보기 위해, 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쳐볼까 하는데요. 음~ 감독의 다른 작품인 영화 ‘네크로멘서 Necromancer, 2005’도 한번 만나보고 싶어지는군요! 크핫핫핫핫핫핫!!

  

  덤. 오늘 저녁 7시 15분. 영화 ‘혹성탈출: 진화의 시작 Rise of the Planet of the Apes, 2011’을 보고 왔는데요. 음~ 괜찮았습니다!


TEXT No. 1647

[BOOK CAFE A.ZaMoNe] 
[아.자모네] A.ZaMoNe's 무한오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목 : 더 그레이브스 The Graves, 2010
감독 : 브라이언 풀리도
출연 : 질리언 머레이, 빌 모슬리, 토니 토드, 아만다 위스 등
등급 : R
작성 : 2011.09.04.

 

“이번에는 파리의 몸을 빌려 태어날 지어니.”
-즉흥 감상-

 

  ‘애프터다크 호러페스트 2010 이어달리기’라는 것으로, 다른 긴 말은 생략하고 소개의 시간을 조금 가져볼까 합니다.

 

  작품은 붉게 달군 쇠막대를 망치로 두들기는 것에 이어, 아기와 함께 언덕을 오르는 남녀 한 쌍으로 시작의 문을 엽니다. 그리고는 어느새 피칠갑을 한 남자가 미친 듯이 도주하지만, 으흠. 그만 유명을 달리하고 마는군요.
  그렇게 두 여인이 만화책 가게에서 마지막 기념 촬영에 한창인데요. 언니 쪽이 뉴욕으로 일자리를 찾아 떠나게 되었음을 알립니다. 그리고 고향에서의 마지막 밤을 화끈하게 보낸 두 여인이 여행길에 오르며 본론으로의 문이 열리는데요. 길을 잃었다는 것에 이어, 마침 들르게 된 마을에서 ‘해골탄광’을 소개받아 방문합니다. 하지만, 그것은 단순한 유흥이 아닌 죽음과 직결된다는 사실에, 그녀들은 살아남기 휘한 나름의 발버둥에 임하지만…….

 

  에. 뭐. 그냥 한번은 볼만했습니다. 거기에 주연보다 빛나는 조연의 등장이라니! 후속편이 나온다면 ‘손도끼 Hatchet 시리즈’같이 되는 것은 아닐지 모르겠군요.

 

  제 기록을 읽어주시는 분들은 이번 작품을 어떤 기분으로 만나셨을까나요? 조금 진부한 설정이라도 페이크다큐형식 중 하나인 ‘캠코더 시점’으로 끝까지 갔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구요? 진지함을 상실한 현대의 젊은이들을 위한 일침을 품고 있었다구요? 네?! ‘핑계 없는 무덤이 없다’는 속담이 있듯, 죽음에 이르는 심각한 어떤 사건은 나름의 사정이 있기 마련이라구요? 으흠. 무슨 말인가 싶어 가만히 생각해보니 제목의 의미를 가지고 말장난을 치신 것 같습니다. 아무튼, ‘진지함을 상실한 현대의 젊은이들’이라, 멋진 표현입니다. 하지만, 하나의 세상이라도 개인의 입장에서는 다른 세상이 될 수 있음을 저는 믿고 있습니다. 그리고 누구나 젊은 시절이 있다는 진리 앞에서는 대부분 ‘상실의 시대(?)’를 경험하셨지 않나 싶군요. 그리고 첫 번째 분의 의견에 대해서는, 동감입니다. 빛나는 조연과 함께 하다만 CG의 표현에 어이가 짜증을 내버렸을 정도이니, 이왕 시작한 거 끝까지 카메라의 시점이었으면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네? 제목은 사실 별다른 의미가 없다구요? 흐음~ 그렇군요. 제목 자체의 의미가 이야기의 중심에 있는 파리지옥(?)과 관련되어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이거 뒤통수를 맞은 기분입니다. 두 주인공의 이름이 ‘그레이브스’라니, 이거 정말 있는 성인가요?

  

  아무튼, ‘주연보다 빛나는 조연’이라는 언급에 대해 설명이 필요할 것 같은데요. 별다른 기대도 없이 작품을 마주했고, 영화가 시작하고 얼마 되지 않아 반가운 얼굴이 불쑥 나오는 것이, 오오! 토니 토드 님이 등장하셨습니다! 거기에 왠지 두 번째 이야기가 만들어져야할 것 같은 마침표에 그만 크핫핫! 웃어버리고 말았는데요. 음~ 토니 토드 아저씨! 당신은 언제 어디서 뵈어도 포스가 함께하시는군요! 크핫핫핫핫핫핫!!

  

  진정하고, 이렇게 해서 또 한편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었습니다. 영화는 토요일과 일요일만 만나기로 했으니, 오늘 밤에는, 그렇군요. 고민할 필요 없이 영화 ‘더 리즈 The Reeds, 2009’를 장전하며, 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쳐볼까 합니다.

  

  덤. 영화가 다 끝나고 추가영상이 있습니다. 비록 후속편을 암시하는 것은 아지만, 그냥 그런 것이 있다 이겁니다! 크핫핫핫핫핫핫!!


TEXT No. 1612

[BOOK CAFE A.ZaMoNe] 
[아.자모네] A.ZaMoNe's 무한오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목 : 사망사진 死亡寫眞: Ab-normal Beauty, 2004
감독 : 옥사이드 팽 천
출연 : 황완령, 양준일, 미설, 황완군 등
등급 : NR
작성 : 2011.08.30.

 

“왜 우리는 피할 수 없는 유혹을 느끼는가?
죽음에 대해,”
-즉흥 감상-

 

  ‘셔터 이어달리기’로 뚜껑을 열었다가 충격적인 진실을 알게 된 만남이었다는 것으로, 다른 긴 말은 생략하고 소개의 시간을 조금 가져볼까 합니다.

 

  작품은 복도를 따라 액자가 걸려있는 갤러리와 그런 회색의 공간을 배회하는 사람들로 시작의 문을 엽니다. 그리고는 누드화를 그리는 화실도 잠시, 진지하게 그림에 임하는 여인과 그런 그녀를 훔쳐보는 남자를 보이는군요.
  그렇게 여인이 이야기의 바통을 받는 것에 이어, 그녀는 자신의 여자 친구와 함께 사진을 찍으며 돌아다니는데요. 삶의 의욕을 잃어가던 어느 날. 사고현장을 목격하고는 ‘죽음’을 카메라에 담기 시작하는 것으로 본론으로의 문이 열립니다. 그런데 그날을 기점으로 그녀의 눈에는 이상한 것이 보이는 것이 이어, 그동안 마음 속 깊은 곳에 묻어두고 있던 과거의 기억이 떠오르는 등 일상이 무너져버리는데요. 그것을 겨우 극복했다 싶었을 때. 이번에는 또 다른 이의 ‘죽음의 기록’들이 그녀를 찾아오기 시작했는데…….

 

  이 작품은 ‘셔터2’라는 제목으로 국내에 소개되었었습니다. 하지만 원제목은 ‘사망사진’으로 ‘디 아이 시리즈’를 만든 ‘옥사이드 팽 천’ 감독의 작품이었는데요. 이점을 확실히 하신다면 별다른 배신감을 품지 않고 만남에 임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제 기록을 읽어주시는 분들은 이번 작품을 어떤 기분으로 만나셨을까나요? 감사합니다…라구요? 어쩐지 영화가 재미없다 싶었다구요? 네?! 죽음으로의 집착은, 필연적으로 마주하게 될 생의 마지막이자, 그 어느 누구도 답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라구요? 으흠. 그렇군요. 저는 터부시 되면서도 쉽게 지워지지 않을 기억의 잔상을 남기기 때문이 아닐까 했는데, 감사합니다. 아무튼, ‘셔터2’가 아니었음을 알았어도, 나름의 매력에 비해 그리 재미있지는 않았습니다. 그리고 첫 번째 분의 의견에 대해서는, 글쎄요. 저야말로 감사합니다! 크핫핫핫핫핫핫!!

 

  네? 다른 건 일단 그렇다 치고 영제목의 의미를 알고 싶으시다구요? 으흠. 그렇지 않아도 궁금하던 차였는데, 사전을 열어봅니다. 그랬더니 ‘Ab-normal’은 ‘비정상적인, 병적, 변태적’과 같은 의미를 품고 있음을 알게 되었는데요. 전체를 직역하면 ‘비정삭적인 아름다움’이라 할 수 있으니, 어떻게 보면 영제목이 작품에 대해 더 포괄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

  

  네? 더 이상 할 말 없는 거 다 알고 있으니, 즉흥 감상에 대해 풀이를 해달라구요? 으흠. 글쎄요. 죽음이라. 저야 ‘죽음’보다 ‘하고 싶은 일이 산더미’라는 유혹이 더 강한지라 잘 모르겠습니다. 아마 나름 행복하게 살고 계시는 분들 또한 저의 심정과 비슷하지 않을까 하는데요. 그러면서도 거부할 수 없는 마음속의 앙금은 역시 ‘죽음’이었으니, 그저 그것을 긍정의 에너지를 만들 수 있는 정신적 자원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도 언젠가 말했을 것인데요. 마이너스와 마이너스를 곱하면 플러스가 된다는 ‘- × - = +’ 공식을 좌우명 마냥 사용하며, 오늘 하루도 뜨거운 마음으로 임하고 있습니다.

  

  그럼, 영화 ‘에일리언 vs. 헌터 AVH: Alien Vs. Hunter, 2007’의 감상문으로 이어보며, 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칠까 하는데요. 거듭 강조하지만, 이번 작품은 영화 ‘셔터 Shutter, 2004’의 반종 피산다나쿤, 팍품 웡품 감독이 아닌 ‘디아이 시리즈’의 옥사이드 팽 천 감독의 영화 입니다!

 

  덤. 뭐랄까요? 당장의 재미는 없지만, ‘옥사이드 팽 천 이어달리기’는 어쩐지 하고 싶어진다 이말입니다! 크핫핫핫핫핫핫!!

 

TEXT No. 1604

[BOOK CAFE A.ZaMoNe] 
[아.자모네] A.ZaMoNe's 무한오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목 : 유령 Regreso a Moira, 2006
감독 : Mateo Gil
출연 : Juan José Ballesta, Natalia Millán, Jordi Dauder 등
등급 : ?
직성 : 2011.08.27.

 

“멈춰 서지도, 되돌아가서도 안 될 것이 있었으니.”
-즉흥 감상-

 

  ‘잠 못 들게 하는 영화 이어달리기’라는 것으로, 다른 긴 말은 생략하고 소개의 시간을 조금 가져볼까 합니다.

  

  작품은 하얀색으로 포근해 보이는 천을 올리자 잘록한 허리의, 여인의 황홀한 드러나더라는 것으로 시작의 문을 엽니다. 그리고 청년이 그녀의 몸을 조심스레 쓰다듬는 것도 잠시, 그녀가 더 이상 이승의 사람이 아님을 알리는군요.
  그렇게 문득 잠에서 깨어나는 노년의 남자가 이야기의 바통을 받는데요. 40년 전에 죽은 여인이 보냈을 것이라 추측되는 초대장을 들고, 오래전에 떠난 고향을 향해 차를 달리는 중이라는 것으로 본론으로의 문이 열립니다. 그리고는 시간을 돌려, 정체를 알 수 없는 언덕위의 ‘미녀’에 대해 정보를 교환하는 세 청년이 보이는데요. 담력훈련이라도 하려는지, 문제의 ‘마녀’가 살고 있는 집을 찾아갑니다. 그러던 중 우연히 사고로, 주인공 청년은 그녀와 사랑에 빠지게 되지만…….

 

  오우! 그렇군요! 그랬던 것이었습니다! 처음 이 작품을 만났을 때만해도 사실은 그저 그랬습니다. 그런데 감상문을 작성하기까지 웹툰 ‘화자, 2011’와 영화 ‘프롬 위딘 From Within, 2008’를 거치며 새로운 이해의 장을 펼쳐볼 수 있었는데요. 다른 분들은 또 어떠셨을지 궁금합니다.

  

  제 기록을 읽어주시는 분들은 이번 작품을 어떤 기분으로 만나셨을까나요? 뭐하러 스페인산 영화를 보며, 수고스럽게도 언급된 웹툰과 영화를 만나봐야 하냐구요? 요즘 질투의 도를 넘어선 안티들이 극성이니 조심하라구요? 네?! 미래를 바라보기보다 현재에 머물며 과거를 지향하는 이들을 향한 따끔한 일침이 일품이었다구요? 으흠. ‘따끔한 일침’까지는 모르겠으나, 마지막 분의 의견에 백번 공감합니다. 모근 것을 버리고 떠난 과거로부터의 초대장, 현재를 향해 달려오는 과거의 모든 이야기, 그리고 두 이야기의 초자연적인 만남과 함께 하는 마침표까지. 뭔가 생각할만한 공포영화를 찾으시는 분들께 조심스레 추천장을 내밀어보는군요. 아무튼, 안티라. 예전에는 말도 안 되는 딴지를 주시는 분들이 몇 있었지만, 요즘은 다들 조용하시니 심심하긴 합니다. 그래도 아시지요? 다리 거시는 분 보다 손잡아주시는 분들이 더 감사하다는 것을 말입니다. 아. 위의 ‘미녀’와 ‘마녀’는 오타가 아닙니다.

 

  네? ‘유령’이라는 한국제목에 대해 원어는 왜 저렇게 기냐구요? 으흠. 그걸 제가 어찌 알겠습니까? 그래도 용기를 가지고 ‘구글’에 문의를 해보니 ‘Regreso’을 ‘반환’이라고 하는데요. ‘Moira’는 미녀이자 마녀의 이름이었으니, ‘돌아온 모이라’가 아닐까 하는데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른 전문가 분들께 도움의 손길을 요청하는 바입니다. 네? 원제목을 영어로 번역하면 ‘Return to the Moira’가 되니 직역하여 ‘모이라에게로의 귀환’이 된다구요? 그래도 영어제목은 ‘1. 불안(의 원인이 되는 것) 2. 유령’의 의미를 가진 ‘Spectre’라고 되어있으니, 한국제목도 틀린 것이 아니라구요? 으흠. 감사합니다. 본의 아니게 공부의 시간까지 가져버린 것 같군요! 크핫핫핫핫핫핫!!

 

  다른 할 말 없는 거 다 알고 있으니, 위의 수수께끼 같은 즉흥 감상을 풀이 해달라구요? 수수께끼 같다면 저에게 답을 주시면 어떨까요? 개인적으로는 ‘과거’라고 답을 달고 싶은데, 다른 의견 있으면 감사히 받겠습니다.

 

  아무튼, 이렇게 해서 또 한편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었는데요. 개인적으로 ‘애프터 다크 호러패스트’보다 재미있었던 ‘잠 못 들게 하는 영화’! 혹시 이렇게 즐길 수 있는 묶음을 아시는 분 있으시면 알려달라는 것으로, 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쳐볼까 합니다. 아. 오늘 밤으로는 영화 ‘어트로셔스 Atrocious, 2010’를 장전중에 있는데요. ‘형편없이 끔찍하며, 극악무도’하다고하니, 으흠. 기대 해봐도 좋을까 모르겠습니다! 크핫핫핫핫핫핫!!

 

 

TEXT No. 1598

[BOOK CAFE A.ZaMoNe] 
[아.자모네] A.ZaMoNe's 무한오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목 : 셋방 있음 Peliculas para no dormir: Para Entrar A Vivir, 2006
감독 : Jaume Balagueró
출연 : Macarena Gómez, Nuria González, Adrià Collado 등
등급 : ?
작성 : 2011.08.26.

 

“이 세상에 ‘거저’는 없었으니.”
-즉흥 감상-

 

  ‘잠 못 들게 하는 영화 이어달리기’라는 것으로, 다른 긴 말은 생략하고 소개의 시간을 조금 가져볼까 합니다.

  

 작품은 어떤 속삼임과 함께 어둠에 잠긴 건물 내부와 물건들을 보이는 것은 살짝, 아기를 품에 안은 상처투성이 여인이 배회하는 것으로 시작의 문을 여는데요. 어디선가 푸른 불빛이 다가오자, 그녀는 아기와 함께 비명을 지르고 맙니다!
  그렇게 병원에서 나오는 여인과 그런 그녀를 기다리던 남자를 보이는데요. 기가 막히게 좋은 조건으로 방이 나왔기에, 길을 달리는 것으로 본론으로의 문이 열립니다. 그리고는 문득 깨어나는 그녀는, 그들이 어떤 외딴 곳을 달리고 있었으며, 결국 도착한 건물이 생각보다 낡았다는 사실에 실망하는데요. 시간의 흐름 속에서 뭔가 이상하다는 것을 직감하는 것도 잠시, 중개인이라 말했던 여인이 그들을 습격하고 감금하기에 이르는데…….

 

  워우~ 이거 무섭습니다! 안 그래도 독립을 하게 되면 기가 막히게 좋은 조건으로 나온 집을 구하고 싶었는데, 귀신보다도 사람이 더 무섭다는 것을 알게 해준 작품! 조심스레 추천장을 내밀어볼까 합니다!

 

  제 기록을 읽어주시는 분들은 이번 작품을 어떤 기분으로 만나셨을까나요? 임산부를 스턴건으로 기절시키는 장면은 너무했다구요? 시간을 되돌리는 장면에 순간 필름이 잘못 된 줄 아셨다구요? 네?! 재개발의 양면성에 대한 고발을 담고 있었다구요? 으흠. 그러고 보니 그렇군요. 보통 ‘재개발’이라고 하면 땅값이나 집값이 오르는 일종의 ‘횡재’에 ‘부자’라는 단어가 따라붙곤 합니다. 하지만, ‘단독주택이나 상가들이 밀집한 불량주거지를 아파트를 중심으로 한 새 주거지로 정비’하고, ‘주거환경이 낙후된 지역에 도로·상하수도 등의 기반시설을 새로 정비하고 주택을 신축함으로써 주거환경 및 도시경관을 재정비’하며, ‘토지를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도시기능을 회복하기 위하여 시행되는 사업’이라는 좋은 말씀에도 불구하고, 누구하나 잘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어본 기억이 없는데요. 그런 한편으로는 거주자의 이야기만 들어왔었는데, 이번 작품은 건물을 위해 30년을 바쳤다는 한 여인의 비통한 심정! 나 홀로 아파트를 지키기 위한 광기어린 발악이라니, 과연 신선하고 색다른 맛이군요. 아무튼, 저도 처음에는 겨우 구한 필름에 문제가 있나 싶었습니다. 그러면서는 탈출을 위한 ‘무의식적 기억의 되감음’이 아닐까 싶었지만, 글쎄요. 별로 도움이 안 된 것 같은 것이,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첫 번째 분의 의견에 대해서는, 동감입니다. 덕분에 ‘스턴건’과 ‘테이져’에 대해 공부의 시간을 가져볼 수 있었지만, 그 부분은 조금 심하다 싶더군요.

  

  네? 다른 건 일단 그렇다 치고 결말을 알고 싶으시다구요? 아쉽게도 정의는 승리하지 못했습니다. 다만 방을 구하기 위한 조건의 요약이 마치 경고처럼 느껴지는 것이 안타까울 따름이었는데요. 지금 혹시 집을 구하고 계시는 분들께는 살짝 비추천입니다만, 그럼에도 작품을 만나실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해, 자세한 언급은 피해볼까 합니다.

  

  아무튼, 이렇게 해서 또 한편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었는데요. 달리고 있는 시리즈의 남은 마지막 한 편인 ‘유령 Regreso a Moira, 2006’의 감상으로 이어보며, 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칠까 합니다.

  

  덤. 아아. 벌써 다음 주면 개학입니다. 방학기간동안에도 계속 출근했던 입장에서는 별반 다를 게 없지만, 그래도 은근히 긴장되는데요. 풀리지 않는 긴장과 피로를, 이번 주말에라도 말끔히 날려버리고 싶습니다!

 

TEXT No. 1596

[BOOK CAFE A.ZaMoNe] 
[아.자모네] A.ZaMoNe's 무한오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