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킬 박사와 하이드 인디고 아름다운 고전 시리즈 24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지음, 정윤희 옮김, 규하 그림 / 인디고(글담)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한 사람 그리고 두 얼굴, 『지킬 박사와 하이드』 ♡

 

 

 

 

 

『하나, 책과 마주하다』


지킬박사와 하이드는 동일인물로 한 사람이지만 두 얼굴을 가진 이중적 성격의 인물이다.

손바닥만한 크기에 포켓북, 그리고 인디고만의 일러스트 느낌이 가득한 「지킬박사와 하이드」는 어렸을 때 다들 동화책으로도 많이 접해봤을 것이다.

오랜만에 읽어보니 느낌이 좀 색달랐다. 전에는 그저 내용을 읽는 것으로 단순히 섬뜩하다고만 생각했는데, 그의 생각까지 어느정도 읽혀지니 이전에 읽었을 때와는 느낌이 달랐다.


으스스하게 안개 낀 우중중한 날씨의 런던, 엔필드와 어터슨 변호사가 한 집을 지나간다. 그리고 어터슨 변호사는 엔필드에게 그 집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된다.

한 사내가 골목에서 부딪힌 여자아이를 무참히 짓밟았다는 것이다. 표정변화없는 그의 얼굴은 보기만해도 오금이 저렸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그 사내는 아무렇지않게 거액의 돈을 주는 것으로 해결했다. 그 사내의 이름은 하이드이다.

하이드는 계속해서 범죄를 저질렀다. 아무런 양심의 가책도 못 느끼는 것마냥.

태연한 태도를 유지했던 지킬 박사. 본인이 하이드로 변할 때 그 스스로 통제하기란 쉽지않다. 꼭 한 사람 몸에 두 사람의 영혼이 사는 것 같기때문이다.

지킬박사는 하이드에게 굴복하지 않으려고 나름 투쟁적이지만 결국은 무력함을 느끼고만다.


여기서 우리가 책에서 봐야 할 대목은 하이드가 범죄를 저질렀을 때의 정말 심경변화가 없는지, 하이드로 분했을 때 지킬박사의 마음이 같이 공존하고 있는 것 같지않은지,

그 외 지킬박사가 나름 내면의 투쟁을 버릴 때 등 그런 부분을 생각하며 읽으면 더 깊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모두가 선과 악, 이 두 가지의 감정을 가진 채 태어난다. 즉, 누구나 이중적인 인간으로 살 수 있다. 어떻게 내가 그 감정들을 통제할 수 있느냐의 문제인 것 같다.


인간의 의식이라는 자궁 속에서 너무 다른 선악의 쌍둥이가 한 탯줄에 묶여서 투쟁해야 한다니, 이건 인류에게 내려진 가혹한 형벌이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티리콘 - 노먼 린지 일러스트판
페트로니우스 지음, 강미경 옮김, 노먼 린지 그림 / 공존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천 년 전의 로마이야기, 『사티리콘』

 

 

 

 

 

『하나, 책과 마주하다』


로마인들의 이야기를 다룬 「사티리콘」, 2000년 전의 이야기지만 현대사회의 모습과는 별반 다를 게 없다.

주요 등장인물의 이름들은 우리나라말로 바로 표기한 것인데 그들의 이름마다 다 뜻이 있다.

즉, 그 뜻을 아는 전제하에 이야기를 읽다보면 그들이 성격이 이름처럼 그대로 드러난다.

떠돌이 검투사인 엔콜피우스는 이 책에서 주인공이자 화자역할을 한다. Encolpius, 동성애적 뉘앙스의 '포옹'을 뜻한다고 한다.

여성스러운 미소년인 Giton은 '동료'를 뜻하며 엔콜피우스의 친구인 Ascyltos는 '정력가'를 뜻한다.

노예출신의 자유민 졸부인 Trimalchio는 '세 번 축복받은 사람'을 뜻한다. 그 외 인물들 또한 뜻을 지니고 있다.

주요인물들의 성격을 서술한 이유는 이야기 초반에 엔콜피우스와 아스킬토스가 싸울 때, 그들의 대화를 들어보면 그들의 이름과 똑같은 성격이 드러난다.

이야기의 배경상황은 로마의 황금기 시대이다. 전쟁 종식 이후 전체적으로 모든 게 안정되면서 부가 넘쳐나는 시기였다.

하지만 평화는 지속될 수 없는 법, 넘쳐나는 부로 인해 내부에서는 물질 전쟁이 일어났다.

새로운 부유층의 등장으로 상류 사회라는 것이 자리잡혀지고 극심한 빈부격차의 심화, 그리고 모든 것이 돈과 권력에서 움직여졌다.


지금의 시기와 크게 다를 게 없는 2000년 전의 로마.

지금도 모든 것이 돈과 권력에 의해 움직이는 세상이 아닌가. 그리고 그 모든 것이 계속해서 자식들에게 세습되고 있다.

전에 책에서 읽은 적이 있는데 우리나라는 자수성가하지 않는 이상 부모와 비슷한 형편으로 산다고 읽은 적이 있다.

가진 자들에 의해 움직여지는 세상, 그러기에 어떻게든 가지려고 하는 돈과 권력, 그리고 자연스레 이어지는 돈과 권력의 세습.

딱 이 두가지는 이전 기사들만 봐도 딱 알 수 있다.

며칠 전 뜨거운 감자로 오르락내리락했던 '서영교의원 친딸 채용'사건, 지난 달 모 변호사의 소유로 된 오피스텔만 해도 120여 채라는 기사!

이 두 사례만 봐도 딱 답이 보이질않는가.

가진 이들이 계속해서 더 가지게되는 이 패턴으로 인해 중산층은 어느새 희미해지고 있다.

경제성장에 있어서 가장 이상적인 형태가 두터운 중산층을 기반으로 한 형태인데 중산층이 붕괴한다면 결국은 경제가 불안정해질 것이고

경제 성장·분배에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그리고 앞으로 이 문제는 꼭 해결해야 할 대한민국의 숙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녀들의, 프랑스식, 연애 - 세상에서 가장 섹시한 인류 프랑스인들의 성과 사랑
곽미성 지음 / 21세기북스 / 2016년 6월
평점 :
품절


♡ 자유로운 프랑스여자들의 연애관, 『그녀들의, 프랑스식, 연애』

 

 

 

 

 

 

『하나, 책과 마주하다』

 

나는 프랑스에 관한 책이 꽤 많은 것 같다. 일단 여행서적부터 시작하여 패션이야기를 담은 에세이까지!

『프랑스 여자는 늙지 않는다』 http://blog.naver.com/shn2213/220615624615
『파리의 잡화점』 http://blog.naver.com/shn2213/220368864437
『파리에 미치다』 http://blog.naver.com/shn2213/90170143016
『You're so French』 http://blog.naver.com/shn2213/220457854800

올린 리뷰를 보니 4권밖에 없지만 이외에도 4-5권 정도가 더 있다.

여기에 한 권 더 추가요! 이번에는 프랑스의 연애에 관한 책이다.

 

며칠 전, 시청광장에서 퀴어축제가 열렸는데 역시나 반대하는 이들과 충돌이 빚어졌다는 소식 또한 들려왔다.

사랑을 해야하는 상대는 꼭 이성에게만 국한된 것일까? 동성은 안 되는 것일까?

나는 원래 개방적인 성격이나 보수적인 성격도 있는 편이긴한데 동성간의 사랑문제에 대해서는 개방적인 쪽에 속하는 것 같다.

내가 지금 이성에게 느끼는 두근두근한 감정을 동성애자들은이성이 아닌 동성과 느낀다는 것 뿐인데 그건 물리적으로 어떻게 할 수 없는 일이다.

물리적으로 어떻게 바뀔 수 있다면 좋겠지만 사랑이란 감정은 타고난 것이기에.

많이 바뀌었다고 하지만 아직은 보수적인 우리나라에서는 동성간의 사랑을 이해하기란 쉽지않을 것 같다. 특히 어른들 입장에서 말이다.

그나마 프랑스에서 생각하는 동성간의 사랑에 대한 인식은 매우 개방적이라 할 수 있겠다.

그들은 그렇게 서로 사랑하고 있음을 인정하고 책임지기때문이다.

 

프랑스식 연애, 잠자리에 대해 얘기하고 싶지만 이건 블로그에 전체공개로 쓸 수 없는 내용이기에%EA%B9%9C%EC%B0%8D

 

사랑을 선택하는 기준?

금기도 없고 편견도 없다. 중요한 것은 마음.

그들은 마음의 문제에 대해 더 진지하고 로맨틱하다.

파리의 모두는 그렇게,

로맨스를 꿈꾸며 살아간다.

 

파리지엥들이 생각하는 21세기적 이상형에 대해 아는가?

'천상 여자'와 '드센 여자'가 있다. 전자는 고분고분하다면 후자는 자기 의견을 명확하게 말하는 정도라 할 수 있겠다.

남자부모님에게 인사를 드리러 간다고 가정해보자.

우리나라같으면 딱 전자여야 남자부모님께 점수를 딸 수 있을 것이다.

프랑스는 후자다. 그저 '네, 네.'거리는게 오히려 속내를 알 수 없으니 호감을 얻을 순 없다고한다.

요즘 부모님들은 그나마 젊은 세대에 사셨던 분들이니 우리도 곧 프랑스처럼 후자에 속하지 않게될까?

 

또한, 프랑스인들은 의외로 동거가 많다. 굳이 결혼이라는 제도적인 절차를 거치지않는다.

제도에 얽매일 필요없이 그저 오랫동안 둘이 사랑하면 되기때문이다.

 

꼭 해야 할 이유도 없고, 안 하기를 고집할 이유도 없다.

결혼이라는 것은 '지킬 것이 많은' 부르주아 문화.

관계를 지탱하는 힘은,

결혼이라는 제도가 아니라 둘만의 내밀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웃으면서 죽음을 이야기하는 방법
줄리언 반스 지음, 최세희 옮김 / 다산책방 / 201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 죽음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나요, 『웃으면서 죽음을 이야기하는 방법』

 

 

 

 

 

『하나, 책과 마주하다』

 

살면서 죽음에 대한 생각을 해본 적이 있는가?

줄리어 반스의 신작 「웃으면서 죽음을 이야기하는 방법」에서는 그녀가 생각하고 있는 죽음에 대한 생각을 들을 수 있다.


반시(줄리어 반스의 애칭)의 어머니는 죽음에 대해 무덤덤하셨다. 오히려 본인 장례식에는 의식같은 건 없었으면 좋겠다고했다.

"하긴 그 나이엔 그럴 만하지. 내 나이쯤 되면 연연하지 않게 될거야. 뭐니 뭐니 해도 난 인생의 단맛은 다 봤으니까. 중세를 생각해봐.

그 시대엔 사람들의 예상 수명이 얼마나 짧았었니? 한데 지금은 일흔, 여든, 아흔까지도 살고 있으니……

사람들은 죽음이 무서워서 신앙을 갖는 것뿐이야."

반대로 아버지는 현대식으로 죽었다고한다. 여기서 말하는 현대식은 의학이 생명을 연장시켜줌을 의미한다.

헌데 어머니는 본인의 죽음은 덤덤하셨지만 예전 외할아버지가 죽었을 때 아버지의 시신을 보겠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는 공포를 느꼈다고한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은 신에 대한 두려움을 갈음한다. 그러나 신에 대한 두려움(인생의 위험 요소와 기원이 밝혀지지 않은 천둥벼락에 속수무책인 우리의 성정을 고려해보건데, 전적으로 분별 있는 초창기의 신조)은 최소한 타협의 의지를 남겨두었다. 성서에도 구약이 있고 신약이 있으며, 노동당에도

구 노동당과 신 노동당이 있듯이, 옛날 신을 새로운 신으로 바꾸었다. 우리는 그의 우상을 지렛대로 떠내서, 경주마들에 싣고 보다 화창한 곳으로

끌고 갔다. 죽음에 대해선 이렇게 할 수가 없다. 죽음에게 있던 자리에서 내려오라고 하거나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가 없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갖고있지 않는 이가 누가 있을까? '난 두렵지않아!'라고 떵떵거려도 마음 한 켠은 분명 두려움이 자리잡고 있을 것이다.

저자는 그 예로 아서 케스틀러의 「죽음과의 대화」의 한 장면을 예로 들었다.

왜 죽음을 두려워하냐는 질문에 케스틀러는 '난 한 번도 죽음을 두려워한 적이 없습니다. 다만 죽어가는 것을 두려워했을 뿐이죠'라고 말했다고 한다.

저자 또한 죽기 전 온전하지 못한 정신과 제대로 몸도 가누지 못했던 부모님처럼 될까봐 두렵다고 말한다.

그럼 반스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어떻게 떨쳐낼 수 있다고 하는걸까? 바로 죽음에 대한 생각을 놓지않는 것이다.

그렇게 하는 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이라 말한다.


죽음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나이가 들고나서 생각해보게 되는게 죽음이라 한다.

인문서를 많이 접해봐서 그런지몰라도 나도 꽤나 죽음에 대해 많은 생각을 했다.

두려움은 마음 한 켠에 있기 마련이다. '만약 내가 지금 죽는다면……?'

나는 내가 그 죽는 순간의 두려움보다 남은 가족들이 나의 죽음을 너무 슬퍼하여 아무것도 하지 못할까하는 두려움이 더 큰 것 같다.

탄생이 있으면 죽음 또한 있기마련이다. 그 사실에 대해 받아들이는 게 중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두 도시 이야기 마카롱 에디션
찰스 디킨스 지음, 이은정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웅진) / 2015년 3월
평점 :
절판


친한 동생에게 무슨 책을 선물할까 고르다 선택한 『두 도시 이야기』
찰스 디킨스 작가의 작품이니 고민할 필요가 없었다. 또한 마카롱 에디션이라 더욱 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