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형의 집 / 유령 / 민중의 적 / 들오리 동서문화사 월드북 203
헨릭 입센 지음, 소두영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걸.작.들.

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레바퀴 아래서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0
헤르만 헤세 지음, 김이섭 옮김 / 민음사 / 200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퇴근길 지하철,
혼잡 속의 고요함 안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블루 드레스 - 법과 삶의 기묘한 연금술
알비 삭스 지음, 김신 옮김 / 일월서각 / 2012년 10월
평점 :
품절


"관용의 정신은 친숙하고 쉽게 납득할 수 있는 것을 받아들일 때가 아니라 '낯설고, 특이하고, 심지어 위협적'이라 생각되는 것을 받아들이기 위한 합리적인 공간을 제공할 때 그 진가를 알 수 있다.", "관용은 나에게 편안한 사람들과 편안한 삶의 방식을 공유할 공간을 내주는 것이 아니라, 나에게 불편한 사람들과 불편한 삶의 방식을 함께 할 공간을 찾아 내주는 것이다."

"헌법의 목적은 개인이 감당하고 견뎌야할 '불행'을, 구제할 수 있고, 또 국가가 구제해야만 하는 '부정의'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문장을 얼마간 다듬고 부연했습니다)

이상 알비 삭스의 판결문,
Prince v President of the Cape Law Society and Others (CCT36/00A), 2000,
Minister of Home Affairs and Another v Fourie and Another (Doctors for Life International and Others, Amicus Curiae); Lesbian and Gay Equality Project and Others v Minister of Home Affairs and Others (CCT60/04 ; CCT10/05), 2005,
Volks NO v Robinson and Others (CCT12/04), 2005
에서 각 발췌.

원문은 다음과 같고, 남아공 헌법재판소 홈페이지(http://www.constitutionalcourt.org.za/)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The test of tolerance as envisaged by the Bill of Rights comes not in accepting what is familiar and easily accommodated, but in giving reasonable space to what is “unusual, bizarre or even threatening”.
"The test of tolerance is not how one finds space for people with whom, and practices with which, one feels comfortable, but how one accommodates the expression of what is discomfiting."
"The purpose of constitutional law is to convert misfortune to be endured into injustice to be remedied."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명상록 원전으로 읽는 순수고전세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지음, 천병희 옮김 / 도서출판 숲 / 200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한 자의 고유한 특징으로 남는 것은 자신에게 일어난 것과 자신을 위하여 운명이 지은 것을 사랑하고 반기고, 자신의 가슴속에 자리잡고 있는 신성을 더럽히거나 무수한 상념들로 어지럽히지 않고, 신에게 순종하고 진리에 어긋나는 말을 하지 않고 정의에 어긋나는 짓을 행하지 않음으로써 그 신성을 편안하게 간직하는 것뿐이다. 그는 자신이 소박하고 겸손하고 유쾌한 삶을 살고 있다는 것을 모두들 믿어주지 않아도 그들 중 누구에게도 화내지 않으며 삶의 목표에 이르는 길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그는 순결하게, 조용하게, 떠날 각오를 하고, 자신의 운명과 사이좋게 지내며 삶의 목표에 이르러야 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쁨에 찬 가난
Lothar Hardick ofm 지음, 성글라라 익산 수도원 옮김 / 프란치스코출판사(프란치스꼬회) / 2005년 3월
평점 :
절판


"누구에게도 부당한 일을 하지 말라! 그러나 다른 이가 네게 부당하게 대하면 너는 하느님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참아 받음으로써 네 죄가 사해지기를 구하라. 왜냐하면 하느님께 대한 사랑으로 변명이나 대꾸함 없이 단 한 번 부당한 취급받는 것이 백 명의 불쌍한 이를 배불리 먹여주는 자선보다 낫고, 대낮에 도깨비에 홀릴 정도로 오랫동안 단식하는 것보다 더 낫기 때문이다. 자신을 멸시하고 육신에 단식과 철야 기도, 편태(鞭笞-회초리)의 무거운 짐을 지우면서도 이웃에게서 단 한 번이라도 부당하게 취급받기를 싫어한다면 무슨 소용이 있는가? 모욕과 수치는 우리 안에 숨어있는 교만을 들추어내고 우리를 단련시키는 용광로와도 같다."

-『복자 에디지오 금언집』에서 재인용


무슨 부귀영화를 누리겠답시고 저는, 오늘도 생각과 말과 행위로 많은 죄업을 짓고 있네요.

새해에도 건강하고, 행복하고, 무엇보다 평화로우시길 빕니다. Pax et Bonu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