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러심리학
용기
인간관계
내 얼굴을 주의 깊게 보는 사람은 나뿐이다
(128p.)철학자- 인간관계에서 ‘나는 옳다‘고 확신하는 순간, 권력투쟁에 발을 들이게 되네.
청년- 옳다고 생각만 했는데도요? 아니, 과장이 너무 심하십니다!
철학자- 나는 옳다, 즉 상대는 틀렸다. 그렇게 생각한 시점에서 논쟁의 초점은 ‘주장의 타당성‘에서 ‘인간관계의 문제‘로 옮겨가네. 즉 ‘나는 옳다‘는 확신이 ‘이 사람은 틀렸다‘는 생각으로 이어지고, 궁극적으로는 ‘그러니까 나는 이겨야 한다‘며 승패를 다투게 된다네. 이것은 완벽한 권력투쟁일세.
청년- 으음
ㅡ
(133p.)청년- 인간관계의 거리와 깊이요?
철학자- 개인이 사회적인 존재로 살고자 할 때 직면할 수 밖에 없는 인간관계. 그것이 인생의 과제네. ‘직면할 수밖에 없다‘는 의미에서 말 그대로 ‘과제‘인 셈이지.
(145p.)청년- 결국 마지막은 ‘용기‘에 관한 얘기입니까? 그러고 보니 지난번에 선생님이 말씀하셨죠. 아들러 심리학은 ‘용기의 심리학‘이라고.
철학자- 한 가지 덧붙이자면, 아들러 심리학은 ‘소유의 심리학‘이 아니라 ‘사용의 심리학‘일세.
청년- 요컨대 ‘무엇이 주어지느냐‘가 아니라 ‘주어진 것을 어떻게 활용하느냐‘ 하는 것이로군요.
(190p.)철학자- 나도 그래. 남에게 미움받고 싶진 않지. ˝일부러 미움을 사고 싶은 가람은 아무도 없다˝라는 자네 말은 예리한 통찰이라고 할 수 있네.
청년- 보편적인 욕구죠!
철학자- 하지만 우리의 노력과는 상관없이 나를 싫어하는 사람이 있고, 자네를 싫어하는 사람도 있네. 이 또한 사실이지.
(190쪽)타인에게 미움받고 싶지 않은 마음은 인간에게 극히 자연스러운 욕망이며 충동일세. 근대철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칸트는 그러한 욕망을 가리켜 ‘경향성‘이라고 했지.
청년- 경향성이요?
철학자- 그래. 본능적인 욕망. 충동적인 욕망이라는 뜻일세. 그런 경향성에 이끌린 채, 다시 말해 욕망이나 충동에 이끌려 사는 것, 비탈길을 굴러 내려가는 돌멩이처럼 사는 것이 ‘자유‘일까?
(191쪽)돌멩이는 힘이 없네. 일단 비탈길을 굴러 내려가기 시작하면 중력이나 관성 같은 자연법칙이 허용하는 곳까지 계속 굴러 내려가지. 하지만 우리는 돌멩이가 아닐세. 경향성에 저항할 수 있는 존재야. 힘이 있네. 인정받고 싶은 욕구는 자연스러운 거야. 그렇다고 다른 사람의 인정을 받기 위해 비탈길을 계속 굴러가야 하는 걸까? 그렇게 완성된 모습을 ‘진정한 나‘라고 할 수 있을까?
(195쪽)청년- ......선생님은 지금 자유로우십니까?
철학자- 자유롭네.
청년- 남이 나를 싫어하지 않았으면 좋겠지만, 싫어해도 상관없다고요?
철학자- 그래. ‘나를 싫어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라고 바라는 것은 내 과제야. ‘나를 싫어하느냐 마느냐‘ 하는 것은 타인의 과제고.
과거 1000년의 도읍으로 번성을 누리던 옛 도시 외곽에 철학자가 한 명 살았다. 그 철학자는 세계는 아주 단순하며, 인간은 오늘이라도 당장 행복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남득이 가지 않은 청년은 철학자를 찾아가 진의를 따져 묻기로 했다. 번뇌로 가득한 그의 눈에는, 세계는 혼돈과 모순으로 가득한 곳이었다. 그런데 행복이라니? 터무니없는 얘기였다.
청년 - 그러면 다시 묻겠습니다. 세계는 아주 단순하다는것이 선생님의 지론입니까?
철학자 - 그렇네. 세계는 믿기 힘들 정도로 단순한 곳이고, 인생 역시 그러하다네. - P14
철학자- 내 대답은 같네. 세계는 단순하고 인생도 그러하지.
청년- 어째서요? 누가, 어떻게 봐도 세계는 혼돈과 모순으로 가득한 곳 아닙니까!
철학자- 그것은 세계가 복잡해서가 아니라 ‘자네‘가 세계를 복잡하게 보고 있기 때문일세.
청년- 제가요?
철학자- 인간은 누구나 스스로 의미를 부여한 주관적인 세계에 살고 있지. 객관적인 세계에 사는 것이 아니라네. 자네가 보는 세계와 내가 보는 세계가 달라. 누구와도 공유할 수 없는 세계일테지. - P18
철학자- 아직도 이해하지 못한 것 같군. 화를 내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분노라는 도구에 의지할 필요가 없다‘는 걸세.
화를 잘 내는 사람은 참을성이 없어서가 아니라 분노 이외의 유용한 커뮤니케이션 도구가 있다는것을 알지 못하는 걸세.
그래서 "나도 모르게 욱해서"라는 말이 나오는 거고, 분노를 매개로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거지. - P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