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잃은 세대를 위하여 - 거트루드 스타인 자서전, 오테르 자서전 1
거트루드 스타인 지음, 권경희 옮김 / 오테르 / 2006년 11월
평점 :
품절


 
<<한번은 분노한 남자가 아버지를 흙바닥에 질질 끌며 과수원으로 끌고 갔다.'멈춰라!'드디어 늙은이가 괴로워서 소리쳤다.

"멈춰! 난 내 아버지를 이 나무 너머로 끌고 가지는 않았다."

 

"우리가 태어날 때부터 가진 기질을 씻어 버리기는 어려운 일이다.우리 모두는 시작할 때는 좋다.왜냐하면 젊은 시절에는 우리 자신의 죄보다 다른 사람의 죄가 더 크게 쓰여 우리는 다른 사람의  죄와 맞서 격렬하게 싸우면 되기 때문이다.하지만 우리가 나이가 들고 우리가 지닌 죄가 죄의 전부라는 것을 알게 되면 그러면 다른 사람들과의 죄와의 싸움은 사라진다.">>

                                                             --거트루드 스타인,세 사람의 생애중에서--

 

처음엔 약간의 혼란이 있었다.분명 앨리스라는 여자가 거트루드 스타인의 자서전을 집필한 줄 알고 읽기 시작했는데, 서술자가 종종 바뀌는 듯한 느낌을 받아서 말이다.
역자의 실수일까? 어쩌다 이렇게 큰 실수를...하면서 어리둥절해 하고 있는데 알고 보니 거트루드 본인이 동성 애인이었던 앨리스를 대신해 집필한 본인의 자서전이란다.

귀엽고 깜직한 발상이네, 하면서 둘 사이의 진실한 사랑이 아니라면 가능 하지 않았겠구나 싶다.

남의 머리속에서 나온 것처럼 쓰고 있는 것을 보니 평소 둘 사이에 거의 거짓이 없을 만큼 가깝지 않다면 불가능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스타인인 동성애자라는 것을 알지 못한채 책을 읽었기에 한동안은 감을 못잡았다.
한번도 직선적으로 둘이 어떤 관계라는 암시가 이 책에는 안 나온다.
자신의 성적 취향에 대해 난처해 할 사람은 아닌 듯 한데도 직선적으로 밝히지 않는 것을 보니 그 당시엔 그런 것을 드러내놓고 말하지 않는 분위기였는가 보다.
하지만 사실, 1차대전 전후 유럽이라지만 동성애를  이 정도로 묵인할 것이라는 것도 예상치 못했다
스타인의 책에 의하면 그 둘의 관계를 문제 삼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기 때문이다.
스타인이 천재고 탁월한 감각이 있는 사람이기에 봐준 것인지, 아님 당시의  예술인들 사이에선 다른 이의 성적 취향에 대해 관대했던 것인지,그도 아님 스타인이 일부러 난처한 사건들은 빼버린 것인지는 모르 겠지만서도...

 자신을 " 천재작가 " 라고 칭하는 스타인,잃어버린 세대라는 말을 만들어 낸 남성같은 카리스마를 지녔다던 그녀의 책을 읽은 것은 이번에 처음이다.

미국태생으로 지루한 것을 못 참는 천재였던 그녀는  파리로  건너가 피카소나 카티스를 비롯한 다양한 화가와 헤밍웨이를 비롯한 당대 작가들과 평생  교류를 하며 살았던 대단한 안목을 지녔던 여류 작가,자신이 천재었던 것만큼 다른 천재들을 끌어 들이는 힘이 있었나보다.
그래서 당대의 천재들과 천재에 가까운 사람들,그리고 그들의 연인들이 거의 다 이 책속에 등장한다.

단점이라면 그 덕에 너무 많은 사람들이 등장해 그 사람들에 대한 뚜렷한 특징들을 알기도 전에 지나간다는 것이라 할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영리한 여자의 영리한 글솜씨임에는 틀림 없지만, 만났던 사람들 모두를 자서전에 넣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았더라면 더 좋을 뻔하지 않았나 한다.

어쨌거나 그녀의 말대로라면 스타인은 사랑속에서 한 세상 멋들어지게 한 사람이었다.
가는 곳바다 그녀를 지지해주고, 도와주며, 예술인들과 다정한 사람들로 언제나 삶이 풍요로웠으니 말이다.게다가  충성스런 앨리스가 그녀의 반평생을 지켜 주었으니 애정면에서도 부족함이 없지 않았을까 한다.
그런데 만약 현재의 시점에 스타인이 자신의 자서전을 쓴다면 어떻게 쓸까?
최소한 자신의 동성애에 대해 한마디 정도는 하지 않았을까 ?
천재였지만 유대인이고 동성애자라 유럽 문단에서 소외를 당했다는 스타인.
이 책에서는 그런 소외는 전혀 나오지 않는다.
본인의 공과만 적은 자서전.아마 이 시대에 살았더라면, 이렇게 남들에게 보여 주고 싶은 것들만이 아닌 더 솔직한 음성을 남겼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을 해본다.
천재들의 뒷담화를 듣는 것도 쏠쏠한 재미 었음을 밝히는 바이나 ,생각 같아서는 좀더 자세히 남겨주셨으면 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이것은 스타인 본인의 자서전이니, 자신의 책에 무엇을 쓰건 그녀 맘이 아니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침대에서 내 다리를 주웠다 - 신경과의사 올리버 색스의 병상 일기
올리버 색스 지음, 한창호 옮김 / 소소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과거 이 저자의 책을 재밌게 읽었던 사람으로써 솔깃해서 집어 든 책.

그런데 이 책을 읽어 내려가면서 이 작가에 대해 한가지를 알아 냈는데, 그것은 바로 남에 대한 이야기를 너무도 적나라하고 날카로우며 예리하고 유머러스 하게 쓰는 사람이--한마디로 기깔나게 써대는 사람이-- 자신에게 일어난 일을 쓰는 것은 어설프더라 하는 것이었다.

남을 관찰하는 것은 뛰어나다해도 자신에게 벌어진 사실을 객관적으로 표현해내는 것은 또 다른 이야기인가 보다.

 

내용은 간단하다.

여행을 갔다가 다리를 다친 올리버는 수술을 한 다음 자신의 다리가 전혀 자신의 다리 같지 않다는 것을 알고는 경악을 한다.

그리고는 그것이 자신이 과거 경험했던 환자들이 종종 내 뱉곤하던 불평과 똑같다는 것을 기억해 내고서는 ,그것의 메카니즘을 곰곰히 생각해보는데...

 

일단.의사가 환자가 되면 ,최악의 환자가 될 가능성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됬다.

자신이 겪는 질병에 대한 경악에 더해서 과거 환자들이 했던 말들을 흘려 들었던 것에 대해 죄책감까지 느껴야 하니 말이다.

의사들은 한번쯤 환자가 되어야 한다면서 이 작가도 거품을 물더라.

자신이 환자가 되어 보니 과거 환자들이 말했던 것들을 무시하고 흘려 들었는데,사실 다 정직한 불평이었다고 말이다.

그것에 대해 언제나 환자만 해온 사람으로써 의사들에게 한마디 하자면...

그렇게 너무 자책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그 환자들도 의사가 되면 마찬가지일테니까.

 

두번째는 마취휴우증으로 자신의 신체 일부분의 감각이 없어지는 일을 겪으면서 당황하지 말라고,시간이 지나면 사라진다는 것을 의학적으로 자세히 알려 주고 있다.

솔직히,시간이 지나면 되돌아 온다는데 뭐 그리 엄살을 떨어내며 책까지 써야 했는가 싶다.

자신에게 벌어진 일이라서?

그가 다른 책에서 다루웠던 환자들을 한결 더 끔찍한 환자들 뿐이었다.

그저 한동안 다리가 자신의 다리 같지 않더라는 사실에 이렇게 난리를 피워대다니...

환자들이 가엾다.

이런 겁장이들이 환자들을 향해선 당신을 이해한다고 말을 할테니 말이다.

그리곤 좀 더 대범하시라고 다르치겠지?

남의 일일때는 얼마나 별거 아닌것 처럼 보이는 것인지를 새삼 깨달았다.

환자들에 대해 엄청나게 이해를 하려고 노력을 하는 사람인 이 작가마저 이 정도라면, 어쩌면 좋은 의사에 대한 환상은 접는 것이 정신 건강에 더 나을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대충 지루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만의 방
버지니아 울프 지음, 김익배 옮김 / 삼문 / 1995년 11월
평점 :
품절



난 버지니아 울프랑 아무래도 전생에 원한 관계에 있었는가 보다.

왜 읽을 때마다 조는 것일까.

작정을 하고,이번에는 기필코 감동을 받고 말리라는 단호한 결심으로 집어든 책이었다.

워낙 유명한 책이라 다를 것이라 믿었건만...

그런데,다시 졸더라.

 

내가 졸았던 것은 이 책에서 울프가 화를 내면서 주장하던 것들이 이젠 시대에 뒤처졌다는, 즉 과거만큼 울프의 주장이 타당성을 가지지 않는다는 생각때문이었다.

여자들이 남성들보다 열등하지 않다는 것을 증명할 필요가 이젠 없다.

편집적이여보일 정도로 조목 조목 여성이 열등하지 않다는 것을 설파하고 있는 울프는 보면서 그런 것에 에너지를 써야 했던 울프가 가여웠다.

그 에너지를 다른 곳에 썼다면 멋진 작품이 나올 수도 있었을텐데 말이다.

현대엔 그저 남자와 여자는 차이가 날 뿐이다.

그리고 그런 인간차는 당연한 것이고.

이분법적인 사고를 하면서 남자와 여자...이란 소리가 들릴 때마다 난 그냥 흘려 듣는다.

무시해도 좋은 대꾸할 가치마저 없는 헷소리고,과거 미개했던 시절의 이야기이며,시간 낭비에 불과한 논의기에.

그것은 이제 이 책도 마찬가지다.

여자들이 나서서 여성들이 열등하지 않다는 걸 굳이 증명해야 할 시대는 지나갔다.

그런 면에서 보자면 이 책이 더 이상 유용하지 않다는 것은 환호할 만한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안의 사막, 고비를 건너다
라인홀트 메스너 지음, 모명숙 옮김 / 황금나침반 / 2006년 11월
평점 :
품절



60을 넘긴 산악계의 전설 메스너가 평생  그리움처럼 간직했다던 사막으로 떠난 여정들을 그린 여행기.

자신의 머리속에 정보의 진공이 필요하다는, 그래서 전화기도 가지고 다니지 않는다는 메스너가 들려주는 고비라는 사막의 의미.

절룩이면서 조금은 살이 붙은 듯한 늙은 몸으로 사막을 혼자 걸었가면서 느끼고 생각했던 것들이 적혀 있다.

아마도 그는 자신의 삶을 반추하려 그곳에 간 듯하다.

다른 이들이 뭐라 하건 자신의 삶에 대한 솔직한 이야기를 멋있게 들려 주고 있다.

아직도 동생의 죽음에 대한 상실감이 그의 머리속을  헤집고 다니는 것을 보자니 놀랍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토록 오랜 시간이 흘렀음에도 잊혀질 수 없는 것들.가족.

구원이 아니라 자신이 늙었가는 것에 대한 통찰을 발견했다는 이 솔직하고 글 잘 쓰는 산악인의 글발은 여전히 읽을 만했다.

서정적이고 통찰력있으며 쉽게 서술해서 술술 읽힌다는 장점도 있고.

낙타,사막, 늙어 가는것, 떠나는 것, 비우는 것들에 관심이 많은 분들에게 좋은 듯.

어디 채우는 것만이 삶이랴...

이렇게 비우려 하고, 고통스럽더라도 자신과 맞서길 원하는 강인한 사람의 삶도 멋있는 삶인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콧 니어링 자서전 역사 인물 찾기 11
스콧 니어링 지음, 김라합 옮김 / 실천문학사 / 200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년전에 크게 유행했던 책들의 저자라서 이제 읽는 것이 좀 늦은 감이 있었다.

아내 헬렌과 함께 쓴 책도 읽지 않은 상태에서 어떤 사람일까 궁금해 집어 든 책.

결과는 실망이었다.

논문을 읽는 것 같았으니까.

40평생은 투사로,그 나머지 생은 농부로 자신의 철학과 신념대로 살았던 사람의 삶이 재미 없을 수 있겠다는 것을 알게 해준 책이다.

무엇보다 작가가 교수에 유명강사 출신에, 무엇보다 진실을 알리는 것만이 자신이 할 일이다 라는 생각으로 사신 분이시라 재미라곤 거의 없다는 것이 문제었다.

아고,아저씨.인생에는 유머감각도 필요한거 아닌가요?

어떻게 올곧게만 사나요.약간은 삐뚤어지기도 하고, 허튼 소리도 좀 하고.이상한 사람들에 대해 뒷담화도 좀 하고...

역시 범생이는 지루해,하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 책이었음.

물론 니어링의 철학과 신념에 대해 토를 다는 것은 아니지만, 대단하단 생각만 들었음.

즉, 따라하고 싶다거나 세계 모든 이들이 본받아야 한다거나 하는 생각은 들지 않았음.

아무리 좋은 이상이라해도 세상이 어디 과거로 돌아 가던가 하는 현실적인 생각 때문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7-08-02 19: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네사님의 취향에 공감합니다.
연이어 추천합니다.

이네사 2007-08-05 08: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아마 저처럼 지루한건 못참으시나 보네요.큭큭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