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저 좋은 사람
줌파 라히리 지음, 박상미 옮김 / 마음산책 / 2009년 9월
평점 :
단편집은 잘 안 읽는 편이다. 얇다는 것이 이유긴 하지만 그보다 각 편마다 완성도가 제 각각이라는 점이 마음에 안 들어서다. 좋은 작품 하나 건지려고 쭉정이 몇 개를 거쳐야 한다는 것이 내 성미에 안 찼다. 이 말을 하는 것은 이 책을 보면서 그 생각이 편견이라는걸 알았기 때문이다. 줌파 라히리의 단편집인 이 책은 각 작품마다 완성도가 비교적 골랐는데, 그러고 보니 작가마다 작품에서 차이가 나는 것은 장편이나 단편이나 마찬가지란 생각이 들었다. 단지 장편은 곧바로 비교가 어려운 반면, 단편은 한 권에 몰려 있으니 그 차이가 금방 눈에 들어온 것일 뿐, 크게 보면 똑같다는걸 몰랐던 것이다.
이 단편집을 집어 들면서 제일 걱정되던 것은 1. 이 책이 정말로 괜찮은 걸까? 와 2 . 각 단편마다 완성도에는 얼마큼 차이가 나려나 하는 것이었다. 일단 첫번 째 수록편인 <길들지 않는 땅>을 읽으면서 단편 치고는 괜찮다는 것에 안심이 됐다.--난 이 작가의 전작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기에 이 책에 대해서도 별 기대를 안 하고 있었다.-- 두번 째 고민이던 완성도는 다른 작품들을 읽어 보니 판가름이 났다. 9개의 단편이 뚜렷하게 눈에 뜨이는 수작도 없지만 그렇다고 처지는 작품도 없었던 것이다. 다행이었다. 그것은 다른 말로 하면 줌파 라히리가 어느 정도의 수준에 올라 왔다는 것을 의미했다. 말하자면 꾸준히 전교 1등을 하는 사람을 연상 하시면 된다. 기분 나는대로 성적이 올라갔다 내려 갔다 하는 보통 학생과 달리 성적이 일정하다는 것은 어떤 경우에도 지금보다 더 내려갈 일은 없다는 걸 뜻한다. 대단하다 싶었다. 단지 인도출신작가라는 희소성에 기대는 것이 아닌 자신만의 확고한 세계를 갖고 있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니까. 거기가 탄탄한 글발, 그녀가 잘 쓰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같은 여성으로써 좀 우쭐한 기분이 들었다. 그렇다. 난 좋은 글을 쓰기 위해 노력하는 여성들을 보면 기분이 좋아진다. 우리가 우리만의 이야기를 설득력있게 들려주기 위해서는 여성 작가들의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녀들이 그것을 인식하고 있건 아니건 간에, 그리고 그녀들이 그것을 제대로 하고 있건 아니건 간에, 무엇보다 노력하고 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난 늘 뿌듯하다. 이런 시도들중에서 가끔 히트작이 나온다는걸 ,그리고 이런 시도들이 전통이 된다는걸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그녀가 전작의 성공에 안주하지 않고 여전히 노력하고 있구나 라는걸 알게 된 것이 이 책을 읽은 가장 큰 수확이었다. 그리고 거기까지가 내가 그녀에 대해 감탄한 것이었다. 만약 다른 작가였다면 이 정도의 수확만으로도 앞으로 그녀가 어떻게 발전되어갈 지 기대된다면서 거품을 물었을 것이다. 이 정도의 고른 완성도를 내어 놓는 것만도 무척 드문 일이기 때문에, 기대되어야 하는 것이 당연했다. 그녀의 사상이 알토란같이 성숙했을때 어떤 글을 쓰게 되려나 흥분이 되야 마땅했다.
그러나, 책을 덮으면서 오히려 난 이제 그녀에게 기대할 것이 무엇이 남았을까 의문이 들었다. 분명 문장이나 글을 쓰는 솜씨 면에서는 이미 경지에 오른 사람이었지만 발전 가능성이 없었던 것이다. 쉽게 말해 그녀가 다른 작품을 쓴다면 여기서 들려준 것과 다른 이야기를 들려 줄거란 생각이 들지 않았다. 그걸 파악해 내는 것은 별로 힘들지 않았다. 이 책안에서도 벌써 뚜렷하게 보이는 것이었으니까. 완성도만 비슷한게 아니라 이야기 마저 비슷했으니 말이다. 예를 들자면 각 단편마다 다른 소재인데도 톤이나 상황을 다루는 태도가 한결 같다든지( 나약하고 외로운 주인공들), 남자를 주인공으로 하면서도 여자를 주인공으로 할 때와 톤이 별반 다르지 않고 ( 그러다보니 분명 이름은 주인공이 남자였는데 여자처럼 생각하고 말을 한다), 주인공들의 배경들이 놀랍도록 닮은 꼴인데다 ( 인도에서 이민을 온 부모를 둔 명문대 출신), 그들이 운명이라고 생각 되는 것에 끌려 다니는 모습마저 비슷했다. 분명 9개의 단편이었음에도 마치 쌍동이를 보듯 구별이 쉽지 않았다. 아무리 잘 차려진 밥상이라도, 그 밥에 그 나물이라면 지루하지 않겠는가? 질릴 것이다. 질리기 이전에 이미 흥미를 잃겠지만서도...
소설은 문장만으로 판가름이 나는 세계가 아니다. 상상력, 개성, 세상을 해석하는 통찰력, 사람을 이해하는 깊이, 무엇보다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돕는 휴머니즘, 인간의 불행을 다독이는 페이소스, 그리고 아주 사소한 하나일지라도 우리 인류가 나아갈 길을 제시해주는 비전에 개방성과 성숙성...그런 것들이야말로 소설을 빛나게 해주는 양념들이다. 하지만 줌파 라히리는 자신의 세계를 뛰어 넘기엔 너무 범생이었다. 세심한 관찰력에 멋진 글발과 문장을 이어가는 지성은 있었지만, 인상적인 작품에 특징적으로 등장하는 독창성이나 기발함과 통쾌함, 인간의 애환을 볼 줄 아는 인간애, 빛나는 우연성, 기타등등 창조적인 면이 부족했던 것이다. 단지 그녀에게 줄기차게 많던 것은 과거, 과거, 과거뿐이었다. 불평을 하면서도 부모의 나라인 인도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으며, 벗어나려 저항 해보지만 성공한 적이 없던데다, 많은 것을 가졌음에도 여전히 불행했다. 그렇다보니 이 책에 가장 많은 것은 자신이 불행하다는 자의식이였다. 그것만은 이 책에 차고 넘쳤다. 마치 우리가 바라는 것은 타인의 불행이라는걸 안다는 듯이.
거기다 눈살을 찌프리게 하는 순종주의... 인도 작가인 아룬다티 로이와 즉각적으로 비교가 됐다. 인도에서 자라났음에도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여인상을 빼어나게 그려내던 로이와 달리 그녀가 서구의 페미니즘 세례속에서 자라났음에도 여전히 순종적인 여인을 그려낸다는 것은 아이러니했다. 불평등에 대한 인식도 있고 반항도 해보지만, 과거의 틀을 깨 부수기엔 그녀는 너무 착했다. 희생적이 되기엔 너무 이기적이었고. 하여 의사나 변호사나 박사가 되지 못하면 세상 결단나는 줄 아는 안정 지향적인 사람들의 모습을 보면서 그들이 불행하다고 난리를 치는데, 놀랍지도 않았다. 어찌보면 우리와 다를게 없다는 점이 이해하기 쉬울지 모르나, 비판적으로 보자면 왜 아직도 거기서 벗어나지 못한거요? 묻고 싶었다. (구시대의 틀을) 벗어 던져도 세상이 결단나지 않더라는걸 보여준, 아니 그걸 넘어서 새로운 세상을 보여준 < 하얀 이빨> 을 쓴 제이디 스미스, 똑같은 이민 2세대지만 세상을 통찰하는 면에서는 오히려 어린 스미스가 더 어른스럽고 당차단 생각이 들었다. 내가 제이디 스미스를 좋아하는것도 무리는 아니었다. 거기에 최근에 읽은 다른 여류작가 유디트 헤르만과도 비교가 되던데, 비록 완성도적인 면에서는 줌파 라히리가 우세하겠지만, 기대된다는 점에서는 헤르만을 따라오지 못했다.
그런걸 보면 좋은 작품을 쓴다는 것은 학력이나 배경, 연륜과 지식과는 별로 상관없는 문제지 싶다. 그저 인간으로써 인간의 조건에 대해 얼마나 많이 생각하고 이해한 사람인가와 타고난 재능의 문제일 뿐... 하여, 그녀가 범생이인 자신의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했음을 여실히 목격하게 된 이 책 < 그저 좋은 사람 > 완성도가 높아 실망은 하지 않겠지만 잔상 역시 남지 않는 그저 그런 책을 읽고 싶다시는 분들에게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