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결국, 아이디어는 발견 이다
박영택 지음 /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 / 2019년 4월
평점 :
품절
대부분의 사람들은 '좋은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려면 '창의성'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아이디어' 내는 것이 아주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해 포기하거나 자신은 아이디어가 없는 사람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런 것들은 모두 고정 관념이라고 한다. 아이디어는 언제나 새롭고 독창적인 것에서만 오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결국, 아이디어는 발견이다>의 제목처럼 아이디어는 '발견'하는 것이다. 발명품들이 세상에 태어날 때 무에서 유를 창조한 것이 아니다. 생활에서 필요에 의해 만들어지기도 하고 실험이 잘못되어 우연하게 생겨나기도 한다.. 이런 것들이 모두 창조가 아닌 발견이라고 할 수 있다.
창의력을 높이는데 6가지 발상코드가 있다고 한다. 창의적 발상의 보편적인 사고 패턴들을 제거하고 복제, 속성변경, 역전, 용도통합, 연결 등의 6가지이고 기업하기 쉽도록 '스마트 커넥션(SMART Connection)'이라는 별칭도 붙였다. 단순함을 위해 발상의 전환으로 필수적일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들을 '제거'하는 것이다. 광고 없는 구글 검색창, 줄 없는 줄넘기, 날개 없는 선풍기, 알코올 없는 술 등은 '제거'에 속한다. '요소 복제'는 시스템의 기존 요소 중 일부를 '복제'하는 것인데 이중 삼중 면도날, 바둑판 같은 플러그 소켓, 듀얼뷰 카메라, 세탁기 문 안에 또 다른 문, 위 아래 각각 돌아가는 세탁기 등은 같은 기능이거나 조금 다른 기능을 하기 위해 복제하고 있다. 세 번째 발상코드는 '속성 변경'으로 외부 조건에 따라 내부 소성이 변하는 경우를 말한다. 네 번째는 '역전'으로 사막 한가운데 세운 물의 도시나, 공중에 매달려 땅으로 향해 자라는 스카이 플랜터 등이 그 예다. 다섯 번째는 '용도 통합'으로 우리가 자주 먹게 되는 컵라면은 라면을 담고 있는 포장재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그릇으로도 사용한다. 마지막은 '연결'로 상관없는 것들을 묶어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데 아이들이 좋아하는 만화와 한자 공부를 합친 학습만화의 경우가 이런 예시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아이디어는 발견이다>에서의 창의성 발상코드를 통해 기존에 존재하고 있는 것들을 잘 관찰하고 조합하고 복제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창의성이라고 해서 어려운 것이 아니고 노력과 끈기로 많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