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뇨병이 좋아진다 - 약에 의존하지 않고 혈당치를 낮추다
미즈노 마사토 지음, 오승민 옮김, 이주관 감수 / 청홍(지상사) / 2019년 5월
평점 :
절판
부모님이 매년 건강검진을 받고 그 결과를 가족 모두가 모여 보기도 하는데 이유는 나이가 들수록 건강을 챙겨야 한다는 생각이 들어서이다. 건강은 자기자신이 건강의 위험을 인지하고 지켜야 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가족까지도 모두 건강을 지킬 수 있게 해야 한다. 식단조절도 혼자 하는 것보다 가족 모두가 하는 것이 그 효과가 더 크다고 하니 건강도 마찬가지로 가족이 함께 관리할 때 더 건강해 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건강을 위해 관심을 가지고 보는 병 중에 하나가 '당뇨병'인데 가족력은 없지만 서구화된 식습관과 여러 환경적인 요인으로 생겨날 수 있는 병이다. 게다가 당뇨병의 무서움은 너무 잘 알고 있습니다. 당뇨라는 병이 무서운 것이 아니라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신체 일부를 절단해야 하는 경우도 생겨 당뇨병은 조심해야 한다.
현재 당뇨병 치료에는 약물치료보다는 '식사요법'을 더 우선으로 바뀌고 있다고 한다. 탄수화물을 가지고 있는 쌀, 빵, 면류 등은 당질 덩어리로 혈당치를 상승시켜주는 주요 원인이다. 단백질도 과다 섭취하면 당신생이라는 현상으로 간에서 혈당으로 바뀌는데 이때 혈당이 상승 및 인슐린 분비를 일으키게 된다. 그런데 날마다 당질을 계속 섭취하면 췌장이 피로하게 되고 혈당치를 낮추기 위해 약을 먹으면 공복감을 많이 느끼게 되는데 이 공복감을 해결하기 위해 당질을 섭취하게 되는 반복적인 일이 생겨나게 된다.
<당뇨병이 좋아진다>에서는 '탈인슐린'시대를 선언하고 당질 중독을 고쳐 당뇨병을 호전시킬 수 있게 한다. 당질을 계속 섭취하게 되면 비만으로 직결된다. 비만은 또다른 병의 원인이 되고 늘어난 지방은 인슐린의 혈당치를 떨어뜨리는 효능을 방해한다고 한다. 그러면 당뇨는 더욱 심해지고 지방간, 간경화, 간암까지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당질제한을 하면 고효율로 에너지를 만들어내고 몸에 에너지가 생기는데 이렇게 만성피로감이 사라지고 덜 피곤한 몸으로 바뀌게 된다. 약에 의존하지 않고 혈당치를 내리는 비결을 18가지로 알려주는데 이런 것들은 모두 '당뇨'라는 병이 어떻게 생기는지 그 원인을 파악하고 원인을 이용해 더 건강해지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당질을 줄이기 전에 철분과 단백질을 보충하고, 주식을 단백질로 섭취하는데 계란이 가장 적합한 식품이다. 양질의 지방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가공식품을 먹을 때는 영양성분표시를 꼭 체크해야 한다. 마른 체형이라고 해도 서서히 양을 늘려야 하고 고령자는 단백질 섭취가 최우선이라고 한다. 그리고 당질제한에 대한 궁금증을 풀 수도 있어 당뇨를 예방하거나 호전될 수 있게 도움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