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의학 교실 - 논리를 쉽게 만화로 풀다
네모토 유키오 지음, 이주관 외 옮김 / 청홍(지상사) / 2019년 9월
평점 :
품절
우리나라에서는 '한방'이라고 하는데 몽골에서는 '몽골의학', 중국에서는 '중의학', 일본에서는 '한방' 등으로 불린다. 이렇게 지역과 역사, 문화적 배경에 따라 각각 다르게 발전해 왔지만 일본 한방은 약 2천년도 더 앞서 중국 대륙에서 그 기초이론이 고안되었다고 한다.
<한의학 교실>은 일본 한의학을 바탕으로 한 한방 이야기 책이다.
한의학은 서양의학과는 달리 몸 전체의 균형을 진찰하는 의학으로 환부만 부분적으로 진찰하지 않는다. 인체를 하나의 통일된 것으로 생각하고 전신의 균형을 고치고 치료한다. 한의학에서 기본 개념에는 '기'라는 것이 중요하다. 기운, 기력, 끈기, 기분, 원기 등이 모두 기와 관련된 단어들로 몸이나 마음이 상태를 나타내고 인간의 신체에서 기는 대단히 중요한 것이다. 기는 선천의 기와 후천의 기로 나뉘는데 선천의 기는 선천적으로 부여 받은 생명의 근원 에너지이고, 후천의 기는 대기로부터 만들어지는 후천적 생명활동 에너지이다.
한의학에서는 신체에 관련된 세 가지 기본 개념을 가지고 있는데 신체개념, 기혈수론, 장부경락론이 그것들이다. 신체개념은 인체는 자연계의 구조와 같으며 자연계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기혈수론은 전신을 순환하며 이로 인체가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장부경락론은 전신을 도는 기와 혈의 통로와 장기들을 말한다.
한의학에서 사용하는 한약은 생약을 조합하여 만든다. 생약은 천연에 존재하는 식물, 광물, 동물 등이 원료인데 이런 것들을 찌고, 태우고, 건조시켜 술에 담그는 등의 방법을 이용해 약효성분을 증강시키거나 독성을 줄여 약으로 만든다. 한의학에서는 약선이라고 해서 식사요법 전체를 가리키기도 한데 일상 생활에서 먹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이다. 약선은 한약과 침구, 안마, 기공 등 한의학의 치료를 보조하여 치료 효과를 높인다. 감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목의 점막을 촉촉하게 하는 무즙이나 배 주스가 효과적이라고 한다. 무를 갈아 소량의 생강을 첨가하여 뜨거운 물을 부어 마시거나 목과 어깨가 으슬으슬할 때는 발한 효과가 있는 칡탕이 좋다고 하는데 이런 것들이 약선의 한 종류다. 변비에는 식이섬유가 많이 함유된 현미, 우엉, 고구마, 톳, 곤약, 요구르트 등을 많이 섭취하고 하루에 한 번 변을 보지만 변이 딱딱하면 기상 후에 찬 우유를 마시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