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나를 찾아라 (양장) - 법정 스님 미공개 강연록, 2판
법정 지음 / 샘터사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무소유의 삶을 살고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았던 법정 스님은 종교를 떠나 존경을 받았다. 그런 법정 스님이 2010년 3월에 입적했다. 법정 스님이 입적하기 전 많은 책을 출간했지만 이젠 법정 스님의 신간을 읽을 순 없지만 이렇게 미공개 강연록과 같은 책을 읽을 수 있어 다행이다. <진짜 나를 찾아라>는 법정 스님이 1980년부터 2003년까지 전국 곳곳에서 열린 법정 스님 초청 강연을 글로 모은 강연록이다. 법정 스님의 강연은 그대로 녹음해 풀어놓으면 훌륭한 한 편의 글이 될 내용이다. 교훈과 유머와 위로와 격려까지 어느 하나 빠지는 것이 없다. 1981년 9월에 춘천에서 있었던 강연에서 법정 스님은 현대인의 사유에 대해 이야기했다. 현대인들은 자신만의 언어가 없기 때문에 자신만의 사유가 없다고 했다. 유명한 사람이 한 말이라고 하면 그 말의 의미도 모른 채 가져다 쓴다. 고독의 깊이를 깨달으려면 홀로 있는 시간이 필요한데 우리는 너무 많은 것에 의존한다. 침묵의 바다에 들어가 때론 진정한 고독의 깊이를 깨달을 수 있어야 한다.


1994년의 한 모임에서 남이 가진 것과 자기가 가진 것을 비교하지 마라고 했다. 비교는 우리가 가진 것을 소중하게 생각하지 못하게 하고 불필요한 열등감과 시샘을 낳는다. 사람은 저마다 특성이 있고 각자의 역할과 몫이 있다. 한 사람 한 사람은 자신만의 그릇을 가지고 있고 그 그릇은 비교의 잣대로 판단할 수 없는 고유한 것이다. 이런 사실을 알고 있으면서 현실에선 작아지기도 한다. 유명인들이나 지인들의 SNS를 보며 자신만 제외하고 모두들 화려하고 행복하게 사는 것 같이 보인다. 그러다보면 남들과 자신의 생활을 비교하게 되고 자존감이 낮아지기도 한다. 계속 남들과 비교하며 살아간다면 자신의 그릇을 채우기보다는 남의 것을 부러워하며 텅 빈 상태로 남게 될지도 모른다. 자신이 가진 고유의 빛을 발하며 살아가려고 노력해야 한다. 그것이 우리답게 산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주와 반 고흐 영혼의 시화전 - 윤동주 전 시집과 반 고흐 그림 138점
윤동주 글, 빈센트 반 고흐 그림 / 스타북스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민족시인이라고 불리는 우리나라 윤동주 시인의 시와 인상파 화가이자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화가 빈센트 반 고흐의 그림이 만난 <동주와 반 고흐 영혼의 시화전>은 어쩜 이리도 잘 어울리는지 시 한 편 한 편을 읽으면서 느꼈다. 시화는 전혀 이질적인 것이 아니고 오히려 잘 어울려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동주와 반 고흐는 비슷한 감성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2025년은 윤동주 시인이 서거한 지 80주년이 되는 해로 반 고흐와의 시화전은 추모전이라고도 할 수 있다. <동주와 반 고흐 영혼의 시화전>은 영혼과 정서가 가장 닮은 두 예술가가 시대를 넘어 한 공간에서 만나 감동을 준다. <동주와 반 고흐 영혼의 시화전>의 첫 번째 시는 '자화상'이다. 시 '자화상'에서 윤동주는 고백적 시적 화자 자신을 성찰하는 사람의 상황을 우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고 있는 시다. 이 시엔 반 고흐의 자화상이 한 페이지에 있다. 이 자화상은 반 고흐가 친구이자 화가인 폴 고갱에게 헌정한 그림이다. 두 사람은 친구가 되어 서로의 자화상을 교환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다른 자화상과는 다른 분위기를 자아낸다. 깔끔하고 정돈된 반 고흐의 모습이 보이고 그림의 색감 역시 반 고흐의 다른 그림이나 자화상과는 달리 영적인 느낌도 든다.


많은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윤동주의 시의 시 중에 하나가 '별 헤는 밤'일 것이다. 시 '별 헤는 밤'은 가을 밤에 쏟아지는 듯한 별을 보며 그리움과 부끄러움과 극복의 의지를 보여주는 시다. 이 시엔 반 고흐의 '론강 위로 별이 빛나는 밤'이라는 그림과 함께 읽을 수 있다. 시 '황혼이 바다가 되어'라는 시에서는 그림 '생트마리 바다 풍경'이 보인다. 시에서는 황혼이 바다가 되어 수많은 배가 물결에 잠긴다고 하는데 그림에서도 파도에 출렁이는 배들이 모습을 볼 수 있다. 시인 윤동주의 시들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유명한 시들도 많지만 잘 알려지지 않았던 수많은 시들도 <동주와 반 고흐 영혼의 시화전>에서 읽을 수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반 고흐의 그림 역시 유명한 그림부터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윤동주의 시와 잘 어울리는 그림들을 감상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렌즈 싱가포르 - 최고의 싱가포르 여행을 위한 가장 완벽한 가이드북, ’25~’26 최신판 프렌즈 Friends
박진주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싱가포르를 여행해 본 많은 사람들이 싱가포르는 여행하기 좋은 나라라고 한다. 싱가포르는 동양이지만 색다른 매력을 가진 나라고 다양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싱가포르는 여행을 즐길 수 있는 것들이 많다. 특히 화려한 싱가포르의 밤엔 리버 크루즈를 탈 수도 있고, 나이트 사파리를 가거나 화려한 바에서 야경을 즐길 수도 있다. <프렌즈 싱가포르>는 싱가포르 여행 가이드북으로 짧고 굵게 즐길 수 있는 주말여행 코스처럼 기간별 추천 코스와 아이와 함께하는 가족 여행 등 테마별 추천 코스가 있다. 이 추천코스들은 싱가포르의 매력을 듬뿍 느낄 수 있으며 정해진 여행 기간 알차게 싱가포르를 여행할 수 있게 한다. 싱가포르의 물가가 아시아 국가 중 최고 수준이라고 한다. 그런 값비싼 입장료나 물가가 여행지에서 부담스러울 수 있지만 싱가포르를 알뜰하게 여행할 수 있는 비법도 알려준다.

싱가포르에 간다면 반드시 경험해봐야 할 베스트 관광지도 소개한다. 싱가포르 하면 떠오르는 싱가포르를 상징하는 대표 아이콘도 알려준다. 또 싱가포르에 가면 먹어봐야 할 대표 음식도 있다. 싱가포르만큼 다양한 음식문화를 지닌 나라가 또 있을까 싶을 정도로 싱가포르의 음식은 다민족 국가답게 중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인도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서민적인 음식에서부터 고급스러운 분위기와 요리를 즐길 수 있다. <프렌즈 싱가포르>에서는 싱가포르 여행을 위한 다양한 정보들이 있다. 싱가포르 기초 정보부터 시작해 싱가포르 날씨 캘린더, 싱가포르 입국 정보, 싱가포르 내 교통 정보, 싱가포르 MRT, LRT 노선도, 싱가포르 출국 등 다양한 정보가 가득한 가이드북으로 여행이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트러버의 고기백과사전 - 세상 모든 고기러버들을 위한 레벨업 가이드북
황재석.김지윤 지음 / 브레인스토어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매 끼니마다 고기를 반찬으로 먹어야 한 정도의 미트러버는 아니더라도 고기를 싫어하진 않는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음식으로 삼겹살이나 불고기, 갈비, 떡갈비 등이 모두 고기로 만들어진 음식들이다. <미트러버의 고기백과사전>은 미트러버들을 위한 가이드북이다. 꼭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요즘은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에 상당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먹방이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우리나라에도 음식에 관해 전문가적 지식을 가진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 고기에 대한 지식과 함께 맛평가 등을 콘텐츠로 하는 인플루언서들도 많다. 고기라고 하면 대부분 소와 돼지로 나뉘고 가금류와 기타 고기도 <미트러버의 고기백과사전>에서는 읽을 수 있다. 우리나라 소고기를 한우라고 한다. 현재는 주로 누렁소만 한우로 남아 있는데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조선 소는 누렁소, 일본 소는 흑색으로 표준화하도록 규정했고 누렁소만 우량종으로 선호되기 시작했다. 흑우, 칡소, 백우와 같은 한우의 다른 종들도 농가에서 사육이 조금씩 늘고 있지만 누렁소와의 경쟁에선 밀린다.




삼결살은 한국인의 서민 음식으로 소울푸드에 가깝다. 하지만 물가가 오르면서 더이상 삼겹살이 서민 음식이 아닌 상황이 되어 이젠 수입산 삼결살을 먹기도 한다. 삼겹살을 고를 때 오돌뼈가 있는 고기를 선택해야 하고 일반적으로 우리가 맛있다고 느끼는 고소하고 쫄깃한 맛의 비결은 오돌뼈다. 소고기, 돼지고기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한국인이 많이 먹는 고기는 닭고기다. 치킨은 다양한 맛으로 진화하고 있고 치킨뿐만 아니라 백숙이나 전기구이통닭 등 다양하다. 또 인기를 끄는 고기가 오리고기와 양고기다. 육포나 소시지 또한 고기로 만든 식품으로 식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고기를 먹을 때 소스나 양념장에 찍어 먹는 것이 규칙처럼 느껴지지만 고기를 먹을 땐 소금만으로도 충분히 맛을 느낄 수 있다. <미트러버의 고기백과사전>에서는 다양한 고기에 대한 이야기와 고기를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방법 또한 알려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림을 맛있게 먹는 7가지 방법
송주영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미술은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미술뿐만 아니라 예술이 부담스럽거나 어떻게 이해할지 몰라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미술은 일부 사람만 유희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림도 잘 알고 보면 그렇게 어려운 분야만은 아니다. <그림을 맛있게 먹는 7가지 방법>에서는 미술 감상의 즐거운 미각이 되살릴 수 있게 한다. 우리나라의 영어 이름인 '코리아(Korea)'는 '고려'에서 나온 단어라고 한다. 고려시대엔 이미 외국인들과 교류가 활발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서양 화가 루벤스의 그림에서도 한복 입은 남자의 모습이 보인다. 이 그림을 보고 많은 사람들이 조선인 남자라고 믿었지만 점점 시간이 지나면서 많은 자료들이 발견되고 알려지면서 조선인이 아니라 중국 상인이라는 것이 밝혀진다. 그림이라는 것은 물감을 사용해 그리기에 시간이 지나면 색이 옅어지거나 물감이 깨지기도 한다. 그래서 현대에서는 명화에 미술 복원 작업이 실시된다. 렘브란트 그림을 포함해 17세기 유화들 표면이 검게 변하는 것은 아마씨 기름 속에 있는 납백 성분이 황화수소와 결합하면서 황화납이 되는 과정 때문이다. 보존 처리를 하면 황변되고 어두워지기를 반복한다.




폴란드의 화가 조지스와프 벡신스키의 인생도 그림도 비참하게 보인다. 벡신스키의 그림은 기괴하다. 많은 작품들이 인간의 모습이 아니라 해골의 모습으로 등장한다. '무제'라는 작품은 남녀로 보이는 두 사람이 안고 있지만 해골의 형상이다. 이런 벡신스키의 작품의 영향은 전쟁이다. 폴란드는 제2차 세계대전에 독일의 공격을 받았고 폴란드엔 아우슈비츠 수용소가 만들어졌고 벡신스키는 전쟁에서 수없이 죽어가는 사람들을 보았다. 벡신스키는 자기 그림에 대한 해석과 해독을 거부했지만 우리는 그림을 보고 제2차 세계대전을 떠올린다. 영국 16세기 후반부터 17세기 초반 사이에 임산부 초상화가 잠시 유행했지만 이 시기 이후부터 임산부 초상화는 찾아보기 힘들어졌다. 힘든 가사노동을 피할 수 있었던 상류층 엘리트 여성일지라도 출산으로 인한 죽음을 피할 수 없었다. 신분이 낮았던 여성들의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은 상상 이상이었을 것이다. 오늘날 많은 여성에게 임신과 출산은 과거처럼 위험하거나 두려운 것이 아닌 개인의 행복한 선택이 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