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jiminohhavenith.com/?lang=en


아래 옮긴 글은 '계절과 음표들'(최대환)이 출처. 이 책에는 글렌 굴드가 나오지만 우리 나라 출신으로 독일에서 활동하는 여성 피아니스트 Jimin Oh-Havenith (한국 이름 오지민)의 연주로 골트베르크 변주곡을 듣는다. 그리고 나쓰메 소세키의 '풀베개'가 언급되어서 - 굴드가 '풀베개'를 좋아했다고 - 올해 새로 나온 역본 포함 '풀베개'들도 찾아둔다.







굴드는 유명세를 즐기는 유형의 사람은 아니었지만, 음악적 성과와 삶의 방식에 대해 가까운 이들의 조건 없는 인정과 지지를 필요로 했던 사람이었습니다. 그러기에 종종 자기 자신이 초래한 고독과 관계의 단절을 깨려 노력하기도 했지만 매우 서툴렀기에 힘겨워하는 순간들이 많았습니다. 그럼에도 그는 자신의 예술이 고독 없이 열매를 맺을 수는 없다는 확신을 뼛속까지 가지고 있었습니다. 바자나가 전해주는 굴드의 다음과 같은 말은 고독이 굴드에게 무엇을 의미했는지를 한마디로 요약합니다.

고독은 창의성을 길러준다. 사람들과 함께 있으면 그것이 흩어져버린다._『뜨거운 얼음 : 글렌 굴드의 삶과 예술』 463쪽


바자나는 굴드가 언젠가 기차에서 만난 자신의 팬 한 명으로부터 나쓰메 소세키의 매우 담백하며 독특한 소설인 『풀베개』(송태욱 옮김, 현암사, 2013)를 알게 되고 평생 이 책을 좋아했다는 재미있는 일화를 전해줍니다. 굴드는 예술을 위한 예술이 아니라 도덕적, 윤리적이며 영적인 차원으로 향하는 예술을 지향했다고 하는데, 그런 그는 이 소설에서 일체의 과장과 허영과 화려함이 없는 이상적인 예술가이자 지성인의 모범을 보았는지도 모릅니다.

‘행복한’ 고독은 쉽지 않은 과제이지만, 그만큼 보람 있는 삶의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굴드가 연주하는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을 들으며, 조금씩 내 안에 ‘고독의 기예’가 자라나길 희망해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담대한 프랑스 문학세계, 공쿠르상 수상작 展  https://www.nl.go.kr/NL/contents/N50601000000.do?schM=view&id=45819&schBcid=normal0202 작년에 한 전시소식. 


'보부아르, 여성의 탄생 '(케이트 커크패트릭 저/이세진 역)으로부터


The Table, 1947 - Yiannis Moralis - WikiArt.org


글을 쓸 수만 있다면..女작가들 부엌 화장실 가리지 않아 https://v.daum.net/v/20160204155752473 






1955년 1월 9월에 보부아르는 마흔일곱 살이 되었고 "진짜 중년"이 됐다고 느꼈다. 생일은 죽음을 떠올리게 했고 아직도 죽음을 생각하면서 평정심을 유지하기란 불가능했다.

그해에 보부아르는 공쿠르상 상금으로 몽파르나스 묘지 남동쪽 라스파유 대로에서 갈라지는 작은 거리 빅토르 쇨셰르에 집을 샀다. 자신이 태어난 집에서 도보로 9분밖에 안 걸렸고 르 돔과 라 쿠폴도 가까웠다. - 13장 가톨릭 금서, 《레 망다랭》 1950~1958년 "나의 글쓰기가 독자들의 자유에 호소하기를, 그들에게 새로운 상상의 가능성을 열어주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ill Life, 1934 - Yiannis Moralis - WikiArt.org


 '옮긴이의 말'에 올해 백수린 작가가 번역한 신간 '둘도 없는 사이'가 언급된다.





이 소설은 2차 대전 독일 점령하에서 레지스탕스 운동을 했으며, 대부분 좌파였던 당시 프랑스 지식인들이 격변하는 전후의 상황에서 겪는 갈등과 환멸을 구체적으로 잘 보여준다.

『레 망다렝』이 출판되었을 때, 프랑스 독자들은 당시 연예인과 같은 인기를 누리고 있던 철학가, 작가들의 모습을 소설에서 발견하고 더욱 흥미를 느꼈다고 한다.

한편, 소설의 제목인 ‘레 망다렝’은 원래 중국의 관료들을 가리키는 단어인데, 특권층 지식인들을 폄하하여 칭하는 표현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 책은 제목이 의미하는 것처럼 평화를 위하며 계급 없는 세상을 꿈꾸는 주인공들은 대의에 반하는 행동을 하기도 하며 자신도 의식하지 못하는 특권의식에 사로잡힌 모습도 있다. 이런 특징은 이 소설이 참여 문학 계열의 소설이 보여주는 단순한 선악구도에서 벗어나 참여를 더욱 현대적인 관점에서 조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내내 남자들에게 모욕을 당하면서도 그저 참고 견디고 있는 『레 망다렝』의 여자 주인공들은 페미니스트 작가들의 당당한 여주인공들의 모습에 익숙해진 독자들을 당혹하게 만들기에 충분한 것으로 보인다. 출판되었던 당시에도 여주인공들의 묘사에 대해 불만이 제기되었는데, 이에 대해 보부아르는 자신의 주위에 있는 여성들을 그대로 묘사한 것이라고 말했다. 어쩌면 보부아르는 프랑스의 가부장적 사회에 의해 ‘만들어진’ 여성들을 소설에서 제시함으로써, 1944년에야 처음으로 여성이 투표권을 갖게 된 프랑스 사회의 문제점을 폭로하고 있는 지도 모른다.

『레 망다렝』은 출판되자마자 호평과 악평을 동시에 받은 소설로 유명하다. 폄하적인 의미에서 ‘전형적인 여성 소설’이라는 악평을 받기도 했으며, ‘다음 세대가 이 소설을 통해 인류가 과거에 했던 일과 할 수도 있었던 일을 배우게 될 것’이라는 호평을 받기도 했다.

〈뉴욕 타임스〉는 66년간 간직되어 왔던 보부아르의 미출간 작품인 『Les Inséparables(‘영원한 동반자들’ 정도로 해석)』이 2020년 10월에 출판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보부아르와 21살에 사망한 단짝 친구 자자Zaza와의 우정 이야기인데, 너무 사적인 이야기라서 작가가 생전에는 출판을 꺼렸던 작품이 이제야 빛을 보게 되었다고 한다. - 옮긴이의 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부아르, 여성의 탄생(케이트 커크패트릭 저/이세진 역)'의 '13장 가톨릭 금서, 《레 망다랭》 1950~1958년 “나의 글쓰기가 독자들의 자유에 호소하기를, 그들에게 새로운 상상의 가능성을 열어주기를.”'로부터


[네이버 지식백과] 레 망다랭 (죽기 전에 꼭 읽어야 할 책 1001권, 2007. 1. 15., 피터 박스올)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876773&cid=60621&categoryId=60621


Simone de Beauvoir By Erol Karacabeyli - Own work, CC BY 4.0, 위키미디어커먼즈




《레 망다랭》의 어떤 부분은 — 올그런이 받은 편지가 보부아르 사후에 공개되고 보니 — 현실과 너무 흡사했다.

《레 망다랭》

"오, 벌써 침대에 누웠군요." 브로건이 말했다. 그는 얼룩 하나 없는 시트를 팔에 안고 당황한 표정으로 나를 내려다보았다. "시트를 갈려고 했는데." "그럴 필요 없어요." …… "안!" 그의 억양에 내 마음이 움직였다. 그는 나에게 몸을 던졌고 나는 처음으로 그 사람 이름을 불렀다. "루이스!"

보부아르가 올그런에게 보낸 편지

"내가 거기 자러 갈 때 침대 시트 가는 것 잊지 마세요. 처음에, 그 첫날밤, 당신이 시트를 안고 와서 내가 이미 침대에 누운 걸 보고 당황해하던 그 표정은 영영 잊지 못할 거예요. 나는 바로 그 순간 당신을 정말로 사랑하게 됐고 결코 멈추지 못하게 된 것 같아요."

편지가 공개된 이후 일단 이러한 유사성이 확인되자 독자들은 또 다른 예들은 없는지 생각했다. 현실과 상상을 연결하는 선을 어디다 그어야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y Dinkum - Own work, CC0, 위키미디어커먼즈


떠날지라도 떠나지 못할지라도 https://v.daum.net/v/20170727210607519 2017년 여름의 이 기사에서 소설가 장강명이 보부아르의 '미국여행기'(백선희 역)를 추천했다.


올그런 - Daum 백과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16a1844a


소설 '결혼의 연대기'(기에르 굴릭센 지음, 정윤희 옮김)로부터





"시몬 드 보부아르의 책을 읽고 있었어. 왜 진작 그 책을 읽지 않았는지 모르겠어."

"예전에 읽은 거 아니었어?"

"대충 훑어보고 구석에 처박아 뒀었지, 꼭 읽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았으니까. 시몬 드 보부아르는 생명력이 넘치고 자유로움이 가득 찬 글을 썼어. 사랑과 헌신에 대해서 얼마나 솔직담백하게 풀어내는지 몰라. 물론 독자가 아니라 장 폴 사르트르에게 쓰는 글이기는 하지만. 글 전체의 초점이 그에게 맞춰져 있고, 두 사람의 관계에 대한 글들이 대부분이야. 미국에서 쓴 글이 있는데, 그건 넬슨 알그렌을 만났을 때 적은 건가 봐. 당신이 알고 있을지 모르지만, 두 사람이 모종의 관계였었거든."

"넬슨 알그렌이 누군지 기억이 안 나."

"그 사람도 작가야. 두 사람 사이의 문제들이 갑자기 사라지기는 했지만, 정확히 둘 사이의 문제가 뭐였는지는 나도 잘 모르겠어. 다만 아침 일찍 넬슨 알그렌과 어떻게 관계하게 되었는지를 언급하고 나서부터 상황이 바뀐 것 같아. 아마도 시카

고에 갔다가 오두막 같은 데서 잠자리를 한 모양이야. 그런 상황이 상상이 가? 자신과 부부처럼 지내던 사르트르에게 다른 남자와 잠자리를 가졌다고 편지를 썼다니까. 절대 가까워지리라고 생각하지 않았던 넬슨 알그렌과 급작스럽게 다정하고 가까운 사이가 되었다는 이야기까지 전부 다 편지에 썼더라고."

"두 사람 관계는 그런 식이었나 봐?"

"응, 하지만 다른 편지를 보면 두 사람이 서로 질투하는 게 눈에 보일 정도야. 서로 질투 같은 건 하지 않기로 약속했지만, 글을 보면 그런 감정이 다 드러나 있어. 상대방이 다른 사람과 사랑에 빠지면, 나머지 한 사람도 사랑할 다른 상대를 찾아 나서게 마련이잖아. 마치 서로를 능가하기 위해서 애쓰는 사람들처럼 말야. 하지만 넬슨 알그렌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았어. 시몬 드 보부아르가 넬슨 알그렌에게 꽤 깊은 감정을 갖게 되고, 그 관계에서 충만함을 느끼면서 사르트르에게 쓴 편지를 보면 정말로 모든 게 손바닥 뒤집히듯 변했다는 걸 느낄 수 있어.

그 관계에서 도저히 벗어날 수 없지만 그런데도 두 사람 사이에 아무 문제가 되지 않는 거야."

"그래서 뭐라고 답장을 보냈어?"

"누가?"

"사르트르라는 사람 말이야."

"나도 모르겠어. 그 당시에 사르트르가 보낸 편지는 책에 없었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