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별하지 않는다’로 돌아온 소설가 한강, 제주 4·3을 정면으로 바라보다 https://m.khan.co.kr/culture/culture-general/article/202109071506001#c2b

두 자매가 마을로 돌아왔을 때, 시신들은 국민학교 운동장이 아니라 교문 건너 보리밭에서 눈에 덮여 있었어. 거의 모든 마을에서 패턴이 같아. 학교 운동장에 모은 다음 근처 밭이나 물가에서 죽였어.

얼굴에 쌓인 눈을 한 사람씩 닦아가다 마침내 아버지와 어머니를 찾았는데, 옆에 있어야 할 오빠와 막내가 안 보였대.

칼질을 하다 손가락에서 피가 날 때마다 생각났다고 엄마는 말했어.

섬에서 수장된 수천 명의 시신이 해류를 타고 쓰시마섬으로 떠내려갔으리라고 추정하는 논문을 읽었어.

다음 차례로 쓰시마섬에 가야할지, 칠십 년 전 해안에 밀려왔거나 도중에 가라앉은 유해를 어떻게 찾을 것인지 막막하게 생각하던 즈음이었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Gramps and the Snowman, 1919 - Norman Rockwell - WikiArt.org


'2017 올해의 문제소설'에 실린 최은미의 '눈으로 만든 사람' 작품해설:이덕화 평택대학교 교수 - 가족 간의 유대와 그 허구성

Snowman, Ad Illustration, c.1950 - Haddon Sundblom - WikiArt.org


이 작품은 가족의 단란함 아래 숨어 있는 허구성을 서사화하고 있다. 작품의 바깥 구조는 가족의 단란함을 드러내고 내적 구조는 가족 간 혹은 현대 사회의 소통 부재에 의한 가족의 허구성을 드러내고 있다. - P326

바흐친의 말을 빌리자면 남편이나 가족에게 이해받지 못하는 소통이 단절된 독백적 상황이다. 밖으로 드러난 가족의 친밀함에도 인물들 간의 단절화, 비인간화된 불안한 현대 사회를 드러낸다. - P330

이 작품에서 먹고 마시고 배설하고, 성적 이미지를 통하여 축제를 연상하는 통합과 소통보다는 단절과 소통 부재를 보여주는 것 자체가 풍부한 음식 이미지가 보여주는 축제적 이미지의 뒤에 있는 허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 P3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개표방송을 보다가 잠들었다. 자리에서 눈을 뜨니 한 시 반 경, 일어나 개표현황을 체크한 후 보다 만 우크라이나에 관한 넷플 다큐 winter on fire (2015)를 튼다.https://www.netflix.com/kr/title/80031666

오래전부터 읽으려고 생각만 하고 엄두를 못 내던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 내 마음이 힘들까봐. 눈을 부릅뜨자. 정신을 차리자. 힘을 내자. 




댓글(2) 먼댓글(1)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작년의 오늘 / 대선과 우크라이나
    from 에그몬트 서곡 2023-03-10 10:36 
    아앗, 북플이 작년의 오늘 올린 페이퍼를 알려줬는데, 세상에, 벌써 일 년이! 또는 아직 일 년밖에......그리고 오늘 외신을 보니:[현지 시각 9일 새벽 러시아는 80여 발의 미사일을 우크라이나 전역에 퍼부었습니다. 지난달 16일 이후 20여 일 만의 대규모 공습입니다. 수도 키이우를 비롯해 제2의 도시 하르키우, 최후방 르비우 등이 공격당했는데 10명 안팎의 민간인이 숨지고 에너지 시설이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https://news.kbs.co.
 
 
다락방 2022-03-10 09:3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도 책장에 잠들어있던 저 책을 꺼내와야겠어요.

얄라알라 2022-03-10 11:2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체르노빌의 목소리]도 정서적으로 압도 당해서 간신히 읽었는데,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는 마음이 힘들어서 중간에 읽다 말았습니다. 상상하는 고통으로도 힘든데
오늘 뉴스에서는 심지어 산부인과도 폭격당했다고 하니....처절합니다
 

책 '가문비나무의 노래'의 독특함은 책에 실린 사진의 공도 크다. 사진가 도나타 벤더스는 https://donatawenders.com/  영화감독 빔 벤더스의 부인으로 우리 나라에서 전시회를 열고 내한했다고 한다.  


첫 개인전 여는 獨사진작가 도나타 벤더스https://www.yna.co.kr/view/AKR20120821145300005


빔 벤더스도 사진을 찍는다.




Table of Free Voices, Berlin, September 9, 2006 By Donata Wenders, CC BY 2.0, 위키미디어커먼즈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곡 2024-05-09 16: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문비나무의노래 신판 추가
 

작가 야마다 에이미는 이름만 알고 작품은 읽어본 적 없다. 다나베 세이코의 조제_호랑이_물고기 맨 뒤에 해설이란 제목으로 실린 글은, 읽어보면 해설이라기보다는 야마다 에이미의 독후감인데, 재미있는 부분이 있다. 


야마다 에이미가 어릴 때 엄마가 동생을 낳으러 가서 집을 오래 비웠을 때 아빠가 식사를 챙겨주셨다. 그런데 매일 '프랑스빵'만 먹여서 지겨웠다가(바게트나 크루아상?) 엄마가 동생 아기를 안고 돌아와 초콜릿을 주셔서 먹어보니 너무 맛있어 울었다고, 그녀에게 다나베 세이코의 글이란 바로 이런 초콜릿 같은 맛이라고. 


다소 마리앙투아넷스럽긴 해도, 야마다 에이미가 쓴 느낌이 맛깔스러워서, 다나베 세이코의 이 책에 상큼한 장식이랄까 그야말로 초콜릿 같은 달콤한 식후 디저트의 역할을 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ingri 2022-03-07 23:4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앗 야마다에이미 좋아해서 반갑네요.ㅎ

서곡 2022-03-08 00:30   좋아요 1 | URL
기회 되면 그녀의 소설을 읽어보겠습니다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