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 Painting, 1936 - Edward Hopper - WikiArt.org * 조세핀 호퍼 https://en.wikipedia.org/wiki/Josephine_Hopper


바흐에 관한 책을 찾다가 발견한 '호퍼의 빛과 바흐의 사막'(김희경)으로부터.


호퍼의 예술가로서의 여정은 41살 결혼 이후 급변하게 됩니다.

〈아침의 해〉 등 그의 작품엔 여성이 많이 등장합니다. 그중 대부분이 아내 조세핀 버스틸 니비슨입니다. 조세핀도 뛰어난 재능을 가진 화가였습니다. 그래서 호퍼의 그림 세계를 누구보다 잘 이해해 줬습니다. 직접 모델이 되어주기도 하고, 그의 전시도 적극 도왔습니다.

아내의 도움으로 두 번째 개인전에서 호퍼는 모든 작품을 판매했습니다. 긴 기다림 끝에 드디어 자신에게도 길이 열리는 것을 확인한 그는 마침내 직장을 그만두고 전업 화가가 됐죠.

하지만 이들의 관계를 ‘다정한 부부’라고 표현하긴 어렵습니다. 호퍼는 깐깐하고 고집이 센 성격을 갖고 있었습니다. 반면 조세핀은 밝고 활동적인 사람이었습니다. 너무 다른 성격 탓에 때론 심각할 정도로 격정적인 부부 싸움을 했다고도 전해집니다.

심지어 호퍼는 아내가 화가로서 활동하는 것도 통제했습니다. 자신의 내조에 더욱 집중할 것을 원했죠.

그 뜻에 따라 조세핀은 결국 호퍼의 모델이자 매니저이자 조력자로 남게 됐습니다. 조세핀이 호퍼처럼 뛰어난 화가가 될 수 있는 기회조차 갖기 어려웠단 사실이 안타깝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nd of the Jetty, Honfleur, 1886 - Georges Seurat - WikiArt.org


Hospice and Lighthouse, Honfleur, 1886 - Georges Seurat - WikiArt.org


Lighthouse at Honfleur - Eugene Boudin - WikiArt.org


The Honfleur Lighthouse, c.1858 - Eugene Boudin - WikiArt.org


[네이버 지식백과] 옹플뢰르 [Honfleur]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29165&cid=40942&categoryId=340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영 마에스트라, 가슴 먹먹한 피날레] https://www.newstnt.com/news/articleView.html?idxno=335990 이영애 배우가 지휘자를 연기한 드라마 '마에스트라'가 어느새 끝나 있었다. 초반 두 회 정도 본 후 잊고 있다가 마지막회만 찾아봤다. 마지막회에 나온 헨델-할보르센의 파사칼리아에 관해 '클래식 vs 클래식'(김문경)으로부터 발췌한다. 

https://youtu.be/6Qo-fjQ1arY 드라마 '마에스트라'에서 두 대의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가 파사칼리아를 연주한다. 


'1일1페이지 클래식365'(이채훈 저)도 헨델의 파사칼리아를 소개한다('1월14일' 편 참고).


https://youtu.be/MSLPExJObYw Passacaille in g minor Cembalo Harpsichord


[네이버 지식백과] 파사칼리아 [passacaglia]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56856&cid=40942&categoryId=33027



https://youtu.be/gUq6L0Xohvw Passacaglia in G Minor (after G.F. Handel's Keyboard Suite No. 7 in G Minor, HWV 432: VI. Passacaille) Jascha Heifetz, William Primrose 바이올린과 비올라를 위한 편곡이다.

때로 원곡보다 편곡이 더 유명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 곡은 건반으로 연주하기보다 바이올린과 비올라, 혹은 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편곡 버전으로 연주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할보르센J. Halvorsen(1864~1935)은 노르웨이 출신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지휘자이며 작곡가입니다. 교향곡 셋에 극음악도 다수 남겼지만 오늘날에는 ‘달랑 한 곡’ 헨델 <파사칼리아>의 편곡물로만 기억되는 작곡가입니다.

아름다운 ‘하이브리드 괴물’이라고 할 헨델-할보르센의 매력적 키메라를 두 사람의 연주자가 협연할 때면 무한한 사랑을 받는 앙코르곡이기도 합니다. - 13. 황금알을 낳는 8개의 코드 진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5장을 계속 읽는다. 

Hannah Arendt lecturing in Germany, 1955-Public Domain, 위키미디어 커먼즈

한나 아렌트가 초기 저작에서 분명히 했던 것처럼, 유대성과 유대주의가 항상 같은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스라엘 국가에 대한 그녀의 정치적 입장이 점점 성숙해지면서 확실하게 보여주었듯이, 유대주의나 유대성 모두 반드시 시온주의를 받아들이는 쪽으로 귀결되지는 않는다.

*Hannah Arendt, The Origins of Totalitarianism(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1951, 한국어판: 《전체주의의 기원》, 이진우·박미애 옮김, 한길사, 2006), 66; Rachel Varnhagen: The Life of a Jewish Woman(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1974, 한국어판: 《라헬 파른하겐—어느 유대인 여성의 삶》, 김희정 옮김, 텍스트2,0 13), 216-228.

지정학적으로 흩어져 있다는 게 핵심이 아니다. 핵심은 새로운 정치적 정의의 개념화에 봉사할 수 있는 흩어진 삶scattered existence에서 일군의 원칙을 도출하는 것이다.

팔레스타인 민족을 파괴로부터 보호하지 않고서는 유대 민족을 파괴로부터 보호할 수 없다는 게 정치적 핵심이다.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생활과 살림 파괴는 그 파괴를 자행했던 이들에 대한 파괴 위협을 증대할 뿐이라는 게 진실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폭력적·비폭력적인 판본을 두루 갖고 있는 저항 운동에 지속적인 토대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런 논점을 이해하기 위해 헤겔을 열심히 공부한 우등생일 필요는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년 팔레스타인 전쟁이 발발했을 때 읽기 시작한 '주디스 버틀러, 지상에서 함께 산다는 것'(양효실 옮김)을 계속 읽는다.  5장 '유대주의는 시온주의인가?'를 시작한다. 


[가자 휴전은 아직 난망…"하마스, 이스라엘에 영구적 철군 요구"] 2024. 1. 25. 10:56 https://v.daum.net/v/20240125105626628

[Theodor Herzl at the Second Zionist Congress in Basel, 1898] By לשכת העיתונות הממשלתית - Public Domain, 위키미디어 커먼즈

헤르츨의 저서 ‘유대 국가’ Title page of Der Judenstaat (1896) By see below - Public Domain, 위키미디어 커먼즈


헤르츨 - Daum 백과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25h0491b

사회 정의를 위한 유대인들의 싸움 안에서 출현한 이스라엘 국가폭력에 대한 비판(유대인만을 위한 사회 정의 투쟁과는 다른)은 적법한 비판에 포함된다. 1897년 스위스 바젤에서 열린 국제 시온주의 대회에서 헤르츨Theodor Herzl이 건국을 제안하자, 시온주의에 반대하는 유대인의 움직임도 같이 일어났다. 그리고 그때부터 그런 움직임은 결코 멈추지 않고 지속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