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장순기대지장 舜其大知章】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순임금은 크게 지혜로우신 분이실진저 !
순임금께서는 무엇이든지 물기를 좋아하셨고 비근한 말들을 살피기를 좋아하셨다. 사람들의 추한 면은 덮어주시고 좋은 면을 잘드러내주시었다. 어느 상황이든지 그 양극단을 모두 고려하시어그 중中을 백성에게 적용하시었다. 이것이 바로 그 분께서 순舜이 되신 까닭이로다!"
- P131

플라톤의 철인"은 그자체가 너무도 신화적이다. 가족이나 사유재산이나 예술적 정취가 모두부정되는 그런 기하학적 이데아의 철인은 진정한 철인의 자격이 없다.
중원의 성인은 소박한 보통사람들이며, 일상의 오륜의 관계 속에서사는 사람들이다. 그러나 이들의 특징은 철인인 동시에 정치적 리더였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덕성과 권력을 한 몸에 지닌 인물들이었다 - P131

"호문"이라 해서 자신의판단을 흐리지는 않는다. 판단의 주체는 어디까지나 나 자신이다. 타인의 삶을 "물음"을 통하여 나의 것으로 만드는 덕성이 지도자의 가장중요한 요건이라는 것이다. 지나가는 어린이에게라도 배울 것이 있다.
면 서슴치 말고 물어라! 이것은 우리나라 조선의 개명한 북학파 사상가연암 박지원朴源, 1737-1805의 말이다. 요즈음 우리나라 정치인들은 너무도 물을 줄을 모른다. "물음"이 없고 자기주장만 있다. 그 "주장" 이라는 것도 너무도 저열한 인식의 소산이 대부분이다. 물어라! 물어라!
묻기를 좋아하라! 얼마나 지당한 공자의 말씀인가!
- P13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맛은 예술이나, 인품이나, 문학이나, 과학이나, 논리, 그 모든 것에 적용되는 것으로 매우 경제적인 스타일을 형성하는 심미적 감성이다.
도올학당 수다승철 TV 프로그램 김수미 편에서
맛과 멋은 서로 상통하고 절제없이는 절대로 생겨날 수 없다고 강연한다.
옷의 아름다움도 결국 절제의 미학이다.
맛과 멋은 중용에서 생겨나는 것이다.




제4장 (지미장知味①】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도道가 왜 행하여지고 있지 않은지, 나는 알고 있도다. 지혜롭다 하는 자들은 도度를 넘어서서 치달려 가려고만 하고, 어리석은 자들은 마음이 천한 데로 쏠려 미치지 못한다. 도道가 왜 이 세상을 밝게 만들지 못하고 있는지, 나는 알고있도다. 현명한 자들은 분수를 넘어가기를 잘하고 불초不肖한 자들은 아예 못미치고 만다. 사람이라면 누구든 마시고 먹지 않는자는 없다. 그러나 맛을 제대로 아는 이는 드물다.
- P1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자의 손자로서 역사적 존재성이 확실한 ˝자사˝라는 대사상가에 의하여 일관 의도를 가지고 지은 역저라고 보는 것이 도올의 결론이자 사계의 공통된 의견으로 본다.

제1장 천명장부터 제33장 무성무취장 3,560자로 이루어져 논어 13,700여 자에 비하면 그 양이 방대하지는 않다.




그런데 중용"에 대한 가장 큰 일반인들의 오해는 그것이 우리의 삶의자세에 있어서 어떤 행동규범상의 "가운데를 지칭하는 것이라고 하는 근거없는 통념에 관한 것이다. 나는 좌파도 아니고 우파도 아닌 중용의 길을 걸어가겠다고 호언하는 자는 결국 회색분자도 안되는 소인배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한 "중용"은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는 데문제의 핵심을 도피하거나, 적당한 타협을 유도하거나, 이것도 저것도아닌 우유부단한 머뭇거림의 비겁한 방편을 제시하는 그런 말장난에지나지 않는다. 공자나 자사는 그러한 "중용"을 말한 적이 없다. 대개그러한 "중용"의 개념은 서양철학에서 온 것이며,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윤리학 Ethica Nicomachea』을 가득 메우고 있는 언어에대한 피상적 이해로부터 온 것이다.
- P52

인격적 훌륭함이란 습관ethos의 축적된 결과로 생겨나는 것이다. 윤리적ethike 이라는말은 습관athos이라는 말의 형용사형이다. 즉 윤리와 습관은 같은 어원을 가지는 말들이다. 인격적인 또는 윤리적인 훌륭함은 습관을 통하여형성되는 것이다. 인격적인 또는 윤리적인 탁월함은 천성으로 생기는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 P56

그러나 중용은 고정적인 것이 아니다. 상황에 따라 그리고 사람에 따라 중용은 유동적일 수밖에 없다. 그래서 앞의 인용문에서 "탁월성은 이성적 선택과 결부된 품성의 상태"라고 말했던 것이다. 중용은 그 상황상황에서 선택proairesis을 요하는 것이다. 선택은 반드시 이성의 개입을 동반한다. 선택은 가볍게 하는 그런 성격의 것이 아니라, 목적과 심사숙고 bouleusis가 수반되어 있다.
- P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보후밀 흐라발(1914~1997)

 

- 49살에 첫 소설집 [바닥의 작은 진주]를 출간.

 

- '체코 소설의 슬픈 왕'으로 불림

 

- 체코에서만 무려 300만부 이상 팔려나가고, 30여 개국 언어로 번역, 출간

 

- 8편의 작품이 영화화

 

- 1997년 5층 창문에서 비둘기 먹이를 주려다 떨어져 사망

 

 

첫 문장

삼십오 년째 나는 폐지 더미 속에서 일하고 있다.

이 일이야말로 나의 온전한 러브스토리다"

 

 

 

 

뜻하지 않게 교양을 쌓게 된 나는 이제 어느 것이 내 생각이고 어느 것이 책에서 읽은 건지도 명확히 구분할 수 없게 되었다. - 9쪽

나는 근사한 문장을 통째로 쪼아 사탕처럼 빨아 먹고, 작은 잔에 든 리큐어처럼 홀짝대며 음미한다. 사상이 내 안에 알코올처럼 녹아들 때까지, 문장은 천천히 스며들어 나의 뇌와 심장을 적실 뿐 아니라 혈관 깊숙이 모세혈관까지 비집고 들어온다. - 10쪽

진정한 책이라면 어김없이 자신을 넘어서는 다른 무언가를 가리킬 것이다. - 11쪽

하늘은 인간적이지 않다는 것을 나는 책을 통해, 책에서 배워 안다. 사고하는 인간 역시 인간적이지 않기는 마찬가지라는 것도, 그러고 싶어서가 아니라, 사고라는 행위 자체가 상식과 충돌하기 때문이다.(...) 책은 내게 파괴의 기쁨과 맛을 가르쳐 주었다.-1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논어 제4편 이인 제사
논어 제5편 공야장 제오

2편의 강해가 실려 있는 제3권입니다.

˝자유로운 고전풀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그 자유를 구속하는 기존의 주석에 대한 치밀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논어의 주석은 엄청난 통시적 축적태이며, 그것은 동시에 각 시대에 있어서의 공시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전통적 주석을 총체적으로 조감할 수 있는 필로로기의 능력이 없는 사람은 함부로 논어를 말해서는 안된다.˝ -2001년 4월6일 아침 낙산재에서 도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