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스토예프스키가 25세 때(1846년) 쓴 처녀작.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12-24 00: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2-25 21:55   URL
비밀 댓글입니다.
 

올해는 바빠서 제대로 활동도 못했는데
요런걸 주네요~
이웃님들 덕분입니다^^;


댓글(19)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별이랑 2017-12-22 17:2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북프리쿠키 님의 서재 이야기는 저도 즐겁게 읽고 있는데, 2017년 북플 마니아 인증 스템프네요 ㅎㅎㅎ
축하드려요~

북프리쿠키 2017-12-22 17:31   좋아요 2 | URL
별이랑님 감사드립니다.
저도 늘 별이랑님의 달콤쌉싸름한 글들 애독중이예요~연휴 맞이해서
책탐하시길^^

겨울호랑이 2017-12-22 17:2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북프리쿠키님의 좋은 글로 많이 격려와 자극을 받은 2017년이었습니다. 2018년에도 잘 부탁드려요^^:

북프리쿠키 2017-12-22 17:41   좋아요 4 | URL
점점 책 선택이 호랑이님 닮아가듯이 저에겐 독서와
글쓰기, 그리고 진심이 담긴 겸손함까지도 저에겐 멘토십니다~^^

겨울호랑이 2017-12-22 17:52   좋아요 1 | URL
에고.. 북프리쿠키님.. 멘토라니 과찬이세요. 그저 같이 성장해가는 이웃일 따름입니다^^:

AgalmA 2018-01-05 12:01   좋아요 3 | URL
맞아요. 두 분 점점 비슷해지시는데ㅎ 북프리쿠키님이 과학, 수학까지 더 읽어나가시면 두 사람 혼동될 듯ㅋ
아, 북프리쿠키님은 결정적으로 연의가 등장할 수 없으니 변별되겠음요ㅋ

북프리쿠키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서니데이 2017-12-22 17:3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북프리쿠키님, 2017년 스탬프 받으셨군요. 북플 마니아 되신 것 축하드려요.
즐거운 크리스마스, 기분좋은 주말 보내세요.^^

북프리쿠키 2017-12-22 17:43   좋아요 2 | URL
서니데이님도 축하드려요^^
예전에 비해 활동이 뜸해졌지만 솜옷처럼 보드랍고 따뜻한 글들 잘보고 있습니다. 메리크리스마스^^

서니데이 2017-12-22 20:4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북프리쿠키님, 2017 서재의 달인 축하드립니다.^^

북프리쿠키 2017-12-22 21:14   좋아요 2 | URL
감사합니다.서니데이님도 축하드려요^^

2017-12-22 21: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2-23 10:4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2-23 01: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2-23 10:4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2-23 12: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2-23 14: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2-23 14: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깐도리 2017-12-23 17:4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북프리쿠키님 2017년 서재의 달인 축하합니다.^^

북프리쿠키 2018-01-21 19:01   좋아요 0 | URL
으아~이제서야 보게 되었네요 깐도리님.
감사드립니다. 올 한해도 좋은 책들 많이 읽으시고,
행복하십시오..!!
 

수전손택 누님의 <타인의고통>을 읽고
보스니아내전을 찾아봤어요.

지옥과 다름없는 전쟁의 한복판 사라예보에서
사무엘베케트 <고도를기다리며>
연극을 올렸다지요.

요즈음은 어떤가요?
20세기동안 20개가 넘는 나라에 침공을 해서 800만명의 목숨을 앗아간
미국이라는 나라.
눈앞에서 산산조각난 부모와 아이들을
두눈으로 보고 자라온 그들이
현재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상상해 본적 있나요?

지금 누님이 살아계셨다면
트럼프 땀좀 흘렸을텐데 아쉽습니다

‘삶을 지배하는 것은 고통‘이라는
베케트의 말처럼,
‘삶은 아비규환, 그 자체다‘라는
요조의 말처럼,
고통을 이해하는 길이
삶의 본질에 한걸음 다가서는 게 아닐까요.

이 책이
타인의 고통을 잘~들여다보는 시간이
되었음하네요^^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17-12-21 16:5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앗, 전쟁의 기술과 권력의 법칙꺼정...?!
반갑네요!!! 나도 쫌 아는데. ㅋㅋ

북프리쿠키 2017-12-23 10:51   좋아요 0 | URL
오옷..텔라님도 이런 책을 읽으세욤..? ㅎ 제목이 여자분들께 별로 안 땡기지 싶은데..(하하..이것도 차별적 발언이라면 용서하소서..^^;)

유혹의 기술도 사고 싶은데..매물이 잘 안나오네욤...ㅋㅋ

2017-12-21 17: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2-23 10:53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7-12-21 17:3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평화를 기다리며... 전쟁의 고통에 지배하는 사람들의 간절한 마음일 것입니다.

북프리쿠키 2017-12-23 10:55   좋아요 0 | URL
싸이러스님 서재의 달인 축하드립니다.^^;
늘 해박하고 품격있는 글들 써주셔서 제 눈은 호강합니다 ㅎㅎㅎ
내년도 올해처럼 좋은 글 많이 써주시고,
늘 건강하고 행복하시길..!!
 

4.

[우리는 지나치게 겉모습을 보고 행복을 판단하며,
가장 있을 것 같지 않은 곳에 행복이 있다고 상상하여,
있을 수 없는 곳에서 그것을 찾는다.
쾌활함은 아주 모호한 행복의 표시일 뿐이다.
쾌활한 인간은 흔히 타인을 속이려고 애쓰며, 자기 마음을 딴 데로 돌리려고 애쓰는 불행한 인간일 뿐이다. 모임에서 아주 잘 웃고 활달하며 기분이 청명한 사람은 거의가 다 자기 집에서는 우울하고 잔소리가 많다. 그리하여 그들의 하인은 주인이 사교장에 모인 사람들에게 제공한 즐거움의 대가를 치러야 한다.

진정한 만족은 명랑하지도, 흥겹거나 쾌활하지도 않다.
사람들은 몹시도 달콤한 그 감정을 소중히 여겨, 그 감정을 맛보면서 생각하고 음미하면서도 그것이 증발해버리지나 않을까 두려워한다. 진정으로 행복한 사람은 거의 말을 하지 않으며 웃지도 않는다.
이를테면 그는 행복을 그의 가슴속으로 껴안는다.
떠들썩한 놀이와 기쁨뒤에는 싫증과 권태가 숨어있다.
반면 우울은 즐거움의 벗이다.
연민과 우울은 가장 달콤한 즐거움을 동반한다.
엄청난 기쁨은 웃음보다는 눈물을 자아낸다.

(.........)

세상 사람들은 온통 가면을 쓰고 살고 있다.
거의 자기 자신으로 존재하지 않기에, 자신에게로 돌아가야 할 때에도 그는 항상 자기 자신에게 낯설고 편하지 못하다.
자신이 누구인가 하는 문제는 그에게 아무 의미가 없으며, 오로지 자신이 어떻게 보이는가 하는 것만이 문제이다.]- <에밀> p.419~410쪽





나는 행복하다. 행복하다. 행복하다....수많은 익명의 사람들에게 나의 행복함을 보여주려는 그 행위, 그 욕망은 다자이오사무. <인간실격> 주인공 요조의 ‘익살‘을 떠올리게 하는군요

[사람은 주먹을 꽉 쥔 채 웃을 수는 없는 법이다]
-<인간실격 p.10>

[정말이지 산뜻하고 깨끗하고 밝고 명랑한 불신이 인간의 삶에는 충만한 것으로 느껴집니다. 그렇지만 저는 서로가 서로를 속이고 있다는 사실 따위에는 그다지 관심이 없습니다. 저도 익살로 아침부터 밤까지 인간을 속이고 있으니까요]-<인간실격-p.27>

다자이 문학의 한 특징이 되고 있는 요설체 - 쉬지 않고 떠들어대는 -는 도스토예프스키의 <지하로부터의수기>를 연상한다. 물론 전후관계는 반대가 되겠지만요

[나는 하다못해 나 자신 앞에서만큼은 완전히 솔직해질 수 있을까? 곁들여 지적하자면 하이네는 믿을 만한 자서전이란 거의 있을 수 없다고, 인간이란 스스로 자신에 대한 거짓말을 늘어놓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 예를 들어 루소는 저 고백록에서 틀림없이 자신에 대한 거짓말을 늘어놓았고 심지어 허영심에 사로잡힌 나머지 머리까지 굴려가며 거짓말을 늘어놓았다는 것이다.
나는 하이네의 생각이 옳다고 확신한다]-<지하로부터의수기.민음사> .p.65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12-10 15: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2-14 20: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2-21 00: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2-23 10: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2-10 16: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2-14 20: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자기만의 방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0
버지니아 울프 지음, 이미애 옮김 / 민음사 / 200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여기에 쓰게 될 첫번째 문장은 바로
글을 쓰는 사람이 자신의 성을 염두에 두면 치명적이라는 것입니다.
순전한 남성 또는 순전한 여성이 되는 것은 치명적입니다.
인간은 남성적 여성이거나 여성적 남성이어야 합니다.
여성이 어떤 불평을 조금이라도 강조하거나,
정당한 것이라 하더라도 어떤 대의를 변호하는 것, 어떤 식이건 여성으로서의 의식을 가지고 말하는 것은 치명적인 일입니다.
여기서 ‘치명적‘이란 비유적인 표현이 아닙니다.
의식적인 편향성을 가지고 쓰인 것은 필연적으로 살아남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비옥해질 수 없지요. 그런 작품은 당장 하루 이틀동안은 빛나고 효과적이며 강력한 걸작처럼 보일지 모르나, 해 질 무렵이면 시들어 버립니다.
다른 사람의 마음속에서 자라날 수 없는 것이지요.창조적 예술이이루어질 수 있으려면 먼저 마음속에서 여성성과 남성성이 협력해야 합니다.
마음속에서 반대되는 성들이 결합하여 신방에 들어야 하지요. 작가가 자신의 경험을 온전히 충실하게 전달하고 있다는 느낌을 줄 수 있으려면 마음 전체가 활짝 열려 있어야 합니다.
자유가 있어야 하고 또 평화가 있어야지요. 바퀴가 삐걱거리거나 빛이 깜빡거려서도 안 됩니다.
커튼을 완전히 내려야지요. 작가는 일단 자신의 경험이 끝나면 드러누워서 자기 마음이 어둠속에서 결혼식을 거행하도록 두어야 합니다.
그는 어떤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보거나 질문을 던져서도 안됩니다.- <자기만의 방. 157~158쪽>


감정의 붉은 빛이 아니라 진실의 흰빛으로 쓰여진 울프의 글. 남성인 나를 끌어당기고, 담담히 공감시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