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88 서울, 극장도시의 탄생 - 서울올림픽이 만든 88년 체제의 등장과 커튼콜
박해남 지음 / 휴머니스트 / 2025년 6월
평점 :


요즘 세대들은 잘 모를 수도 있는 1988 서울 올림픽, 당시에는 온 나라가 축제 분위기였고 이를 준비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말도 안되는 일과 논란도 많았음에도 단결해야 한다, 외국인들을 모시는 축제의 장을 위해 희생과 강요는 당연하다 등의 논리가 통했던 시기였다. 결국 성공적인 올림픽 개최와 진행, 이를 통해 전쟁에서 벗어나 재도약하는 새로운 모습을 알렸지만 지금의 관점으로 본다면 여전히 이해가 안되는 부분도 많았던 모습일 것이다. 그럼에도 왜 이런 지난 과거의 시간과 사건에 대해 제대로 된 인식과 이해가 필요한지, 책을 통해 접하며 참고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이는 지금 사회의 모습과 다양한 문제, 부정적인 요소를 보더라도 우리가 반면교사의 계기로 삼을 만한 요소가 많고 당시 국가와 정부의 주체가 되었던 이들이 어떤 형태로 나라와 국민을 인식하고 있었는지도 읽으며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지나친 정치적 비약이나 일반화는 경계해야 하나, 이 책은 사실과 사건을 중심으로 한 우리 현대사의 모습을 자세히 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개인마다 판단과 반응, 평가의 여지는 다를 수 있다는 점도 참고하며 접한다면 저자의 의도나 메시지에 대해서도 더 쉽게 알아 볼 수 있을 것이다.

<1988 서울 극장도시의 탄생> 지금의 한류 현상을 보더라도 우리의 대중문화나 예술 등의 가치는 이미 정평이 나있는 영역일 것이다. 결국 해당 분야에서 일했거나 일하는 분들의 노고라고 볼 수 있고 이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밀 수 있다면 앞으로의 미래가치도 탄탄할 것이다. 또한 이 과정에서 우리의 중심이자 수도로 볼 수 있는 서울은 어떤 역사를 가졌으며 그 한계와 특장점 등은 어떤 형태로 공존하고 있는지도 책에서는 자세히 전하고 있다. 이는 우리가 스스로를 되돌아 보게 하는 점도 매력적이지만 앞으로의 방향성이나 변화, 혁신의 사례를 논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는 가치일 것이다.
이 책도 단순히 보기에는 서울이라는 도시에 대한 소개나 서울 올림픽에 대한 역사적인 과정과 의미를 표현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런 긍정과 부정의 과정, 사례를 통해 앞으로는 어떤 방향성으로 나아가야 하는지도 함께 전하고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비교, 분석, 평가도 가능한 책이다. <1988 서울 극장도시의 탄생> 서울이라는 도시를 통해 사회학적인 접근도 가능하며 관련한 사회문제, 역사적인 의미, 그리고 문화 예술 분야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 볼 수 있는 가이드북, 이 책이 갖는 특장점일 것이며 어떤 형태로 소개하고 있는지도 가볍게 접하며 함께 판단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