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녕한 죽음 - 두려움을 넘어 평온한 마지막을 준비하는 지혜
구사카베 요 지음, 조지현 옮김, 박광우 감수 / 생각의닻 / 2025년 6월
평점 :



삶에 대한 조언서나 경험담은 많이 공유되지만 상대적으로 우리가 현실적으로 맞이해야 하는 죽음에 대해선 그 정보나 방식에 있어서는 적다는 느낌을 받게 될 것이다. 아무래도 예민하고 무거운 주제이자 키워드, 혹은 개인마다 서로 다른 현실과 관점론으로 인해 그럴 것이며 이에 책에서도 좋은 죽음이 무엇이며 삶의 마지막을 어떤 형태로 맞이하거나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해 말하고 있어서 새로운 관점으로 다가오는 조언서일 것이다. 물론 미리 걱정하거나 부정적으로만 느껴진다면 그 의미를 조금 내려놓고 접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안녕한 죽음> 사람마다 태어나는 순서는 있어도 죽음에는 순서가 없을 것이다. 누구나 행복한 삶을 영위하고 싶지만 자신의 뜻대로 안되는 경우가 많고 죽음의 종류나 유형에 있어서도 다양하다는 점을 안다면 그럼에도 왜 우리가 요즘 시대를 살면서 죽음에 대해 더 나은 가치 판단과 생각 등을 해나가야 하는지, 이 책은 그 의미에 대해 진지한 자세로 표현하고 있어서 괜찮을 것이다. 또한 안락사나 존엄사 부분의 경우 사회적 이슈나 문제로도 귀결되고 있고 이로 인한 논쟁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는 점을 보더라도 사람들이 죽음에 대해 심각하게, 혹은 매우 진지한 자세로 임하고 있다는 점도 체감하게 될 것이다.

<안녕한 죽음> 어쩌면 매우 철학적인 주제이기도 하며 죽음에 대해 표현하는 의미나 방식에 있어서도 서로 다른 입장 차이가 명확하게 존재할 것이다. 그럼에도 삶에 대한 적극성과 긍정의 마인드도 좋지만 때로는 삶을 마지막에 대해 생각하거나 먼저 이에 다가가는 이들의 조언과 이야기에 대해서도 일정한 관심을 갖는다면 자신의 현생에 있어서도 도움 되는 부분도 많을 것이며 이는 나이나 성별, 세대 등의 개념과는 무관하다는 점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최근에는 사회적 변화와 인식의 개선 등으로 인해 죽음에 대해 연구하며 표현하는 사람들이 늘어났고 이는 긍정적인 방향으로도 적용이 가능해서 많이 좋아진 모습으로 다가올 것이다.
그럼에도 여전히 막연하게 느껴지거나 두려움과 공포의 감정이 먼저 느껴진다면 이를 깊이 있게 생각하며 더 나은 가치 판단을 해보는 것도 현실적인 판단일 것이다. <안녕한 죽음> 사실 좋은 죽음이나 죽음을 준비하는 자세 등의 키워드 자체가 주는 거부감도 존재할 것이다. 하지만 누구나 닥칠, 그리고 경험하게 될 부분이라는 점에 있어서도 우리 모두가 알아야 하는 영역일 것이며 책에서는 어떤 형태로 죽음에 대해 알기 쉽게 그리고 현실적인 관점에서 소개하고 있는지, 함께 접하며 판단해 보자. 다소 무겁고 철학적인 의미가 강한 책이지만 배울 만한 메시지와 의미 또한 상당하다는 점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