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단 의심하라, 그 끝에 답이 있다
르네 데카르트 지음, 이근오 엮음 / 모티브 / 2025년 4월
평점 :
출판사 협찬 도서를 읽고 쓴 주관적인 리뷰

이근오 엮음/ 모티브 (펴냄)
철학자이자 수학자, 과학자이기도 한 데카르트가 영향을 끼치지 않은 영역은 없다. 철학과 과학의 경계를 허물며 서양 철학의 근간을 바꾼 분이기도 하다. 정신과 물질이라는 두 가지 실체를 가지고 인간을 설명했다. '생각하는 주체'로서의 인간은 그 이전에 신중심이던 사회를 중심이동시켰다.
인간 인식에 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 그는 감각을 절대적인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이성을 통해 감각이 제공하는 정보를 분석한다.
내게는 수학자로서의 데카르트, x축 y 축이라는 좌표계를 만든 분이다. 기하학과 대수를 연결하신 분. 데카르트를 단순히 '나는 존재한다'라는 단어로만 기억하는 분들에게
이 책은 상당히 접근성 좋은 지침서가 된다.
데카르트가 편지를 많이 쓰며 사유의 시간을 즐긴 것에는 그의 건강에 이유가 있다. 어려서부터 폐 질환을 앓았던 그에게 바깥활동보다는 내적인 사유, 내면의 문제를 인식하고 다루는 시간이 더 많았다. 성인이 되어서도 이런 습관은 마찬가지였다.
모든 것은 의심하라는 말은 신뢰하지 말라는 말이 아니다. 모든 것은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훈련을 하라는 말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이 책을 읽으며 우리는 어떤 교훈을 얻고 내 삶에 적용해 볼 수 있을까? 먼저 정보 과잉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가짜 뉴스의 유혹은 자극적이다. 사람의 뇌는 거짓에 더 솔깃하다고 한다. 우리가 절대적이라고 믿는 것이 모두 진짜일까?
데카르트는 심지어, 의심하지 않은 삶은 제대로 살아보지 않은 삶이라고까지 말한다.
단순히 계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를 알고 반성적으로 세상을 보는 태도. 인공지능의 시대에 더 필요한 자세라 생각한다.
생각하는 인간의 중요성이 더 강조되는 시대다.
책 각 챕터의 마지막에 질문지가 있다.
내 삶에 결정적인 질문을 하는데 왠지 뜨끔하다 ^^
감성과 이성은 서구사회를 끌고 나가는 두 가지 축이었다. 과학의 시대에도 우리의 이성이 꽁꽁 얼어붙는 경험을 했다. 코로나 팬데믹을 떠올려보면 얼마나 많은 루머와 가짜 뉴스가 유행했는가? 지금도 마찬가지다. 최근에는 산불에 관한 음모론이 슬슬 고개를 들고 있다.
왜 나는 생각이 많을까? 책을 통해 나에 대한 질문을 던져본다. 데카르트는 머릿속에서만 이루어지는 철학을 경계했다. 오히려 책보다는 사고의 훈련을 강조했던 철학자다. 책 마지막 문장에 으스스 소름 돋는다.
당신에 여태까지 어떤 질문이 가장 와닿는가?라는 질문 ( 그 질문이 바로 당신이 가장 마주하기 두려운 진실이라는 문장)
하ㅠㅠ 내가 가장 마주하기 힘든 질문은 무엇이었던가? 조용히 생각해 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