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만과 편견 ㅣ 소담 클래식 3
제인 오스틴 지음, 임병윤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5년 5월
평점 :

제인 오스틴/ 소담출판사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은 2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끊임없이 사랑받아 온 고전이다. 수많은 시대가 지나고 세상이 바뀌었지만, 엘리자베스와 다아시의 이야기는 여전히 오늘날 우리 삶에도 적용해볼만하다.
수없이 회자된만큼 이 소설에는 다양한 인물이 등장한다.
주인공 엘리자베스는 단순한 연애소설의 여주인공이 아니다. 그녀는 자기 인식과 성장을 통해 세상을 다시 보는 법을 배우는 인물이며, 다아시 또한 자존심이라는 이름의 고립에서 벗어나 타인과의 진심을 배우는 인물이다.
『오만과 편견』은 결국 말한다. 사랑이란, 상대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서로를 더 잘 이해하는 것이라고. 그리고 우리 스스로 바뀌어야 한다고.
제인 오스틴 3부작인 『오만과 편견』 vs 『이성과 감성』 vs 『엠마』 를 비교해 보지 않을 수 없다.
주인공 엘리자베스가 주는 상징성은? 아마도 제인 오스틴이 창조한 가장 현대적인 여성상이 아닐까! 사랑보다 자신의 판단과 인격을 중시하는 태도가 인상적이다. 하지만 그녀 역시 편견에서 자유롭지 않으며, 다아시에 대한 오해를 통해 자기 성찰의 여지를 얻는다
대조적으로 언니 제인 베넷은 아름답고 온화한 성격. 사랑을 믿고 기다리는 전통적인 여성상으로 묘사된다.
돈과 계급, 그리고 감정 사이의 줄타기는 지금도 유효한 문제. 그런 의미에서 고전은 낡은 이야기가 아니라, 변하지 않는 감정의 구조를 들여다보는 창이다.
여성 인물의 자율성과 비판의 시선에 대해!! 제인 오스틴은 그 시대 여성들에 비해 독립적인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았다.
만약 내가 당대의 엘리자베스 베넷이었다면?이라는 생각도 해봤다. ^^
나는 아마도 주변의 시선을 지나치게 의식했을 것이다. ‘좋은 혼처’를 기대하는 엄마의 말에 침묵하고, ‘괜찮은 집안의 청혼’을 한 번쯤은 진지하게 고민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내가 엘리자베스였다면, 그녀처럼 말했을 것이다. 정중하지만 단호하게, 상대가 귀 기울이지 않더라도 내 신념을 표현했을 것이다.
“결혼이 여자의 유일한 생존 수단이 아니라면, 나는 나 자신을 잃지 않기 위해서라도 기다리겠다"라고.
내가 사랑하지 않는 이에게, 내가 존경하지 않는 이에게, 내 미래를 맡기지 않겠다고 말했을 것이다.
때로는 미움받고, 때로는 오해받더라도 나는 ‘착한 여자’가 아닌, '생각있는 여자'로 살고 싶었을 것이다.
제인 오스틴 그녀는 중산층 성직자의 딸로, 교육을 비교적 자유롭게 받음. 평생 결혼하지 않고 가족과 함께 지내며 작품 활동했다.
제인 오스틴은 소파에서 바늘을 들고 앉아 있으면서도 인간 사회를 완전히 해부했다.”
— 버지니아 울프
( 당대 여성작가들 중에 나는 메리 셸리의 작품을 훨씬 좋아한다 ㅎㅎ 결혼 이야기나 중산층 혹은 상류층 거실에서 일어나는 연애 혹은 결혼담, 러브 스토리에는 별 관심이 없다 ㅠㅠ ) 제인 오스틴은 당대 다른 여성 작가들보다 더 일상적이고 심리적인 세계를 다루었고, 낭만이나 고딕이 아닌 현실과 이성, 인간 내면의 오류에 주목했다. 다만 엘리자베스 베넷, 엠마 우드하우스 같은 인물들은 ‘사랑을 위해 자신을 버리는 여주인공’이 아니라, 자기를 이해하고 성장하는 여성의 원형이 되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엘리자베스의 ‘편견’은 왜 생겼을까? 우리도 비슷한 상황에서 같은 오해를 했을까? 아마 나라도 그랬을듯...
다아시의 '오만함'은 단지 성격의 문제일까, 아니면 시대의 산물일까? 둘 다 아닐까? ㅎㅎㅎ
이 소설에서 ‘진정한 사랑’이란 무엇인가? 오늘날에도 결혼을 둘러싼 사회적 기준은 얼마나 달라졌는가라는 질문을 던져볼 수 있다.
♣소담클래식판은 그 고전을 더 가깝고 선명하게 다듬어, 지금의 독자들에게 더욱 깊이 있게 다가온다. 세련된 문장 번역, 품격 있는 편집은 물론, 고전을 처음 접하는 이에게도 부담 없이 열 수 있는 문이 되어주는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