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간파력 - 보여주지 않는 것을 보는 힘
우에키 리에 지음, 홍성민 옮김 / 티즈맵 / 200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참으로 일본스러운 책이란 생각을 했다. 작고, 가볍고, 얇아 들고 다니기 쉬운 모양새를 가졌다. 들고 다니기 쉬우니 어느 때, 어느 장소에서든 꺼내어 읽기 쉽게 만들어졌다.
내용도 어렵지 않고 쉽게 읽힌다. 심리학적으로 어려운 단어도 있지만 쉽게 접할 수 있는 사례를 들어 이해가 빠르도록 했다.
사람들은 첫인상으로, 자신만의 직감으로 참 많은 실수를 저지른다고 한다. 나 역시 그렇지 않던가... 처음 만남에서 선하고 서글서글하게만 생각했던 사람이 그것과는 다른 면모를 많이 보이게 되는 경우가 얼마나 많았던지.
그렇게 사람들을 판단할 때 우리가 왜 그런 실수를 하게 되는지에 대해 심리학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것을 설명해 주는데, 하나하나의 예를 보며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우리의 뇌는... 우리가 생각하는 만큼 만능은 아니라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
(물론... 뇌는 만능이지만, 사용하는 우리의 잘못이 더 클 수도 있겠지만...)
스틴저 효과, 피그말리온 효과, 밴드왜건 효과, 모델링 효과, 프레이밍 효과 ...... 우와... 이렇게 나누어 각각의 경우를 발견해 낸 사람들도 대단하다! ^.^
어쨌든.. 군중심리라는 사람들의 심리를 이용하여 물건을 판매하고(밴드왜건 효과), 형이나 동생이 혼나는 모습을 보고 아, 저렇게 하면 안되는 거구나.. 생각하게 된다는 모델링 효과, 사람들은 기한이나 숫자가 한정된 상품이나 사람에게 끌리기 쉽다는 리액턴스 효과...
이러한 많은 덫을 피하여 제대로 된 사람을 가려내는 일.. 쉽지는 않겠지만 저자가 말한대로, 무엇이 문제인지 알고 있다면(무엇이 덫인지 알고 있다면) 그것을 쉽게 피할 수 있지 않겠느냐.. 이런 의견에 내심 동조를 하게 된다.
제대로된 사람을 찾아낼 수만 있다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