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중근이 들려주는 애국 - 불꽃처럼 살다 간 영웅
배정진 지음 / 세상모든책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초등학교 5~6학년을 위한 책입니다.
안중근 의사가 어떤 삶을 살았는지 그의 일대기를 그려낸 책이랍니다.

이 책은 안중근 의거 100주년 기념 도서입니다.
2009년은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한 하얼빈 의거 100주년을 맞는 해랍니다.
벌써 100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100년 전의 우리 나라는 심각한 위기 상황이었습니다.
이미 흘러간 과거의 역사에 대해서 생각해볼 때, 과연 나라면, 내가 그 상황에 있었다면 어떤 생각을 했고, 어떻게 행동했을까 궁금해질 때가 있습니다.
나라면 그렇게 적극적으로 행동할 수 있었을까?
그런데 그 100년전에, 적극적으로 행동한 분이 있었습니다.
안중근은 일제의 침략에 분개하고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한 후 체포되어 사형당했습니다.
이 책은 그런 과정 속에 있는 안중근의 성장과정과 생각 등을 자세히 볼 수 있는 책입니다.

이 책을 보며 가장 감동 받았던 것은 안중근 어머니의 자세입니다.
그저 아들의 죽음을 안타까워하며 마음 약해지는 모습이 아니라,
대의를 위해 애국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주는 모습이 대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린 시절 딱딱하고 재미없게 느껴졌던 책이 위인전이었는데,
이렇게 그림과 함께 구성한 책을 보니, 책은 내용도 중요하지만 겉모습도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초등학교 고학년 어린이들이라면 한 번 쯤 읽어야 할 책이라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줄어드는 아이 트리혼 동화는 내 친구 52
플로렌스 패리 하이드 지음, 에드워드 고리 그림, 이주희 옮김 / 논장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 시절 <이상한 나라 앨리스>를 보다가 버섯을 먹고 커지는 장면에서 정말 재미있어하던 기억이 납니다.
어린 아이들에게 일상적이지 않은 것에 대한 상상은 재미있는 일이지요.
갑자기 어느날, 커지거나, 작아지거나, 색깔이 변하거나......상상만으로도 흥미롭습니다.

이 책 <줄어드는 아이 트리혼>은 어느 날 트리혼에게 일어나는 일상적이지 않은 이야기랍니다.
어느 날 트리혼의 몸이 갑자기 줄어들었답니다.
늘 닿던 벽장에 손이 닿지 않아 이상하게 생각했는데, 옷이 너무 커져버렸습니다.
트리혼의 부모님은 그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그저 트리혼이 장난을 치는 줄 아신답니다.
어른들의 무관심에도 트리혼은 자신의 상황에 잘 대처하게 됩니다.
하지만 다시 원 상태로 돌아온 트리혼은 그 다음에 색깔이 바뀌었습니다.
그 상황에서 트리혼은 어떻게 할까요?

이 책은 여러 가지 생각을 하게 해줍니다.
첫 번째, 트리혼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고 잘 이겨냅니다.
도움을 받기 보다는 스스로 헤쳐나가는 모습에서 자립심을 배울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부모의 역할입니다.
아이에게는 심각한 문제이지만, 부모는 그것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거나, 그저 아이의 장난이라고 가볍게 여기기도 합니다.
하지만 아이에게는 심각한 문제라는 것을 이해하고, 고민을 들어주고, 함께 해결책을 생각해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입니다.
마지막으로는 가족의 모습입니다.
트리혼은 처음에 부모님께 자신의 상황을 이야기하지만, 부모님은 대수롭지 않게 넘어갑니다.
그래서 그 다음에 문제가 생겼을 때에는 "아무한테도 말하지 말아야지. 내가 아무 말 안 하면 아무도 모를거야."라고 혼자 생각했습니다. 그렇게 커나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가족의 모습은 서로의 속마음을 얘기하지 못하고 단절되게 됩니다.
적어도 가족은 서로 이해하고, 서로의 마음을 어루만져주는 관계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완벽한 가족은 없겠지요.
그런데 이 작가가 이렇게 마음에 안드는 부모의 모습을 책에 담은 것은 왜일까요?
그런 부모는 이 책을 읽고 뜨끔할 것입니다.
어쩌면 그걸 원한걸까요?

이 책을 읽으면서 트리혼은 자신에게 처한 상황에서 잘 극복했고, 커서도 독립적으로 잘 살아갈 수 있을거란 생각이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산티아고, 혼자이면서 함께 걷는 길
김희경 지음 / 푸른숲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카미노 데 산티아고......"
몇년 전만해도 산티아고 순례길은 생소한 단어였다.
유럽에 걷기 여행을 위한 길이 있다는 얘기는 얼핏 들었지만, 자세한 사항을 더 깊이 알아보고 싶다는 생각은 하지 않고 있었다.
처음 산티아고 순례길에 대해 들었을 때부터 그 곳에 가고 싶은 것은 아니었다.
사실 나는 독실한 종교인도 아니고, 순례자라는 명칭도 생소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요즘 걷는 여행 길에 대한 책이 많이 나오고,
그런 책들을 관심있게 읽으면서 든 생각은
그렇게 종교적인 사람만이 그 길에 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었다.
이 책의 제목처럼 혼자이면서 함께 걷는 길, 그것이 걷는 여행길의 매력인 것이다.

<나의 산티아고, 혼자이면서 함께 걷는 길>의 저자는 17년 째 직업 기자라고 한다.
동생의 죽음이라는 커다란 트라우마가 아니었다면, 생활 속에서 빠져나와 걷기 여행을 하게 되지 않았을거란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일상 속에서 떠나지 않으면 안 될 상황에 놓이게 되었고,
저자는 자신만의 속도로 산티아고 순례길을 걷고 돌아와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당장 그 곳으로 떠날 수 없는 나도 이 책을 읽고 많이 공감하게 되었다.
분명 내가 그 곳에 가면 나는 또 다른 사람들을 만나게 되고, 또 다른 느낌으로 그 곳을 보게 될 것이다.
나도 언젠가 그 곳에 가야겠다는 막연한 생각을 하며,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사람들이 화살표 하나만을 따라 걸어가는 길,
그 곳에서 갖가지 사연들을 만나 이야기 듣고, 이야기 하고, 걸어나가면서 생각에 잠길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낯선 곳에서 사람들을 만나고, 나 자신을 만나게 되는 여행, 어쩌면 그것이 진정 내가 바라는 여행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본다.

갑작스런 신종플루 비상사태와 한두달 정도의 시간을 내기 힘든 나의 현재 상황이
어쩌면 산티아고 여행에 대한 환상을 더 키우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언젠가는 가보고 싶다는 작은 희망이 현재의 나에게 힘을 준다.
그리고 이 책을 읽으며 그 곳에 있는 듯한 느낌에 빠져드는 시간도 의미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페포포 레인보우
심승현 지음 / 예담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파페포포 시리즈가 이렇게 많이 나와있는 줄 한동안 모르고 있었다.
<파페포포 투게더>로 기억되는 그 책을 읽고, 
만화에 많은 이야기가 담겨있어서 정말 맘에 들어했으며,
생각할 여운을 주는 책이어서,
친한 친구에게 선물을 했던 기억이 난다.
바쁜 일상에서 글자가 많은 책을 읽는 것은 부담스럽겠지만, 
이런 류의 책은 여유가 생길 때 조금씩 읽어도 되니 
책을 별로 챙겨읽지 않는 사람에게도 크게 부담이 없으니 말이다.

이번에 <파페포포 레인보우>가 새로 나왔다는 이야기를 듣고, 바로 읽어보게 되었다.
가슴이 따뜻해지고 뭉클해지는 이야기, 그리 무겁지도 않으면서 일상 속에서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는 이야기,
이 책에도 그런 작고 소소한 이야기들이 담겨있다.
그래서 이 책이 참 좋다.

이 책은 참 따뜻하다.
그림과 짧은 문장 만으로도 생각할 거리가 많아지는 이런 류의 만화가 참 좋다.

이 책에서도 '처음'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나도 어쩌면 20대때 파페포포를 처음 읽었던 그 '처음'의 마음을 잊고 있었나보다.

책을 주문할 때에는 몰랐는데,
이 책의 부록으로 함께 받은 2010년 탁상 달력을 보니, 벌써 2010년이 다가오고 있다는 것이 느껴졌다.
시간은 그렇게 흘러가고, 언젠가 먼 훗날 오늘의 나를 떠올리는 시간도 올 것이다.
한참 시간이 흘러 다시 이 책을 보았을 때 나의 느낌은 어떻게 달라져있을지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짧은 귀 토끼 모두가 친구 1
다원시 지음, 심윤섭 옮김, 탕탕 그림 / 고래이야기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동동이는 귀여운 토끼이다.
하지만 남들과 다른 외모에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다.
남들과는 다르게 짧은 귀를 가졌다는 점이 동동이는 못마땅했다.
다른 토끼들과는 다르게 귀가 짧은 것이 동동이는 부끄러웠다.
빨래집게로 매달려보기도 하고, 물을 주기도 했는데, 여전히 짧은 귀는 동동이를 움츠러들게 만든다.
하지만 이야기는 그렇게 끝나지 않는다.
그저 열등감을 느끼며 그저그런 토끼로 끝나는 것이 동화의 모든 내용은 아니다.
그 열등감을 극복하게 된다.

토끼귀 빵집을 열어 온갖 동물들로 문전성시를 이루는 이야기의 이 책은 
귀여운 동동이를 잘 표현한 그림이 돋보이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아이들은 조금씩 자신의 열등감에 눈을 떠가기 시작한다.
'왜 나는 남들과 다르지?' '왜 나는 이렇지?' '이상한것 아닐까?'
열등감이라는 것은 평생을 따라다니며 괴롭히는 것이지만, 잘 극복하면 이 책 속의 동동이 처럼 좋은 계기가 될 수 있다.

이 책은 대만 작가들의 동화책이다.
다원시라는 이름이 생소해서 검색을 해보니,
저자 다원시는 <요괴의 숲妖怪森林>으로 1996년 대만 유력 일간지 ‘민생보民生報’ 선정 ‘가장 아름다운 동화상’을, 
<아인슈타인 사랑하기愛因斯坦>로 1999년 ‘가장 아름다운 그림책 상’을 받았다고 한다.
그림을 그린 탕탕은 대만의 일러스트레이터다.
이 두 사람의 글과 그림이 어우러져서 더 눈에 띄는 작품이 되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