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점 - 나를 가슴 뛰게 하는 에너지
마커스 버킹엄 지음, 강주헌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먼저 이 책을 읽을 때에는 고정 관념을 버리고 시작해야 한다.
’강점’이라는 것이 ’잘하는 것’, ’장점’이라고 생각한다면, 이 책을 읽으며 마음에 와닿지 않는 부분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강점’은 바로 제목에서처럼, ’나를 가슴뛰게 하는 에너지’다.
우리는 흔히 생계를 위해 무언가를 직업으로 하며 살아가고 있지만,
살아가면서 마음이 편치만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무언가를 하며 내 마음이 뛰고 힘을 얻는 것이 점점 힘들어지게 된다.
그러면서 ’지금 나는 먹고 살려고 하니 어쩔 수 없이 이 일을 해야해. 하지만 난 사실 다른 일을 했어야 해. 하기 싫어도 어쩔 수 없이 이 일을 하며 살아야 해.’ 그런 저런 생각으로 하루하루를 버틴다.
혹은 사실은 원하던 일이 아니면서도 ’이 일이라도 하게 되어서 다행이야. 지금은 좀 힘들어도 언젠가는 여유롭고 행복해질거야.’라고 생각하며, 현실의 자신을 부정하게 된다.
사람에게는 누구나 강점과 약점이 있다.
지금껏 우리는 약점에 집중하게 되는 교육을 받고 살아왔다.
생물 시간에 배웠던 ’최소율의 법칙’에서 처럼,
우리의 삶도 가장 못하는 것에 지배를 받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시험을 준비할 때에도 마찬가지였다.
잘 하는 것은 더하고 싶어도 적당히 끝내야 하고, 뭇하는 것에 더욱 시간 투자를 하여 성적을 끌어올려야 했다.
사실 학창시절이 아닌 그 이후에는 또 다른 기준으로 강점을 강화시켜야 하는데,
우리는 그저 습관처럼, 못하는 것에, 부족한 것에,
집중하게 된다.
이 책은 그런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강점의 힘을 가르쳐준다.
이 책을 보며 ’나는 강해진 기분이다.’를 생각해볼 때, 딱 떠오르는 것이 없었다.
’나의 약점은?’ 이라는 질문을 나 자신에게 던지면, 답변이 여러 가지가 나오는데 말이다.
역시 나 자신도 강점이 아닌 약점에 집중하며 살고 있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나만의 생각을 담은 ’나만의 강점 선언’을 수첩에 메모해 두었다.
나중에 다시 수첩을 꺼내볼 때면, 혹시 잊고 지냈더라도 기억을 살려낼 수 있을 것이다.
강점을 쉽게 떠올릴 수 없다면, 일단 강점이 우리에게 보내는 신호들에 집중해 보아야 한다.
일단 이 책에서는 네 가지 요소를 이야기 해준다.
네 가지로 정리되는 SIGN이다.
Success 성공을 넘어선 무엇
Instinct 본능이 일깨우는 것
Growth ’성장’은 집중을 불러일으키는 것
Need 욕구에 충실한 것
이 네 가지를 기준으로 다시 곰곰이 생각해보면,
보다 구체적으로 자신의 강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나’를 가장 잘 아는 것은 자기 자신일 것이다.
그런데 어떤 면에서 우리는 자기 자신을 가장 잘 모른다.
자신의 내면의 소리에 귀기울이지 않고, 무감각하게 하루하루를 살아가기도 하기 때문이다.
내가 무엇을 하면 행복한지, 무엇을 하면 가슴뛰는 희열을 느끼는지 잘 모르고 살고 있다.
그저 상황에 맡겨 아무 생각없이 흘러가며 불평불만을 토로하며 답답하게 살기도 한다.
쿵쾅쿵쾅 뛰는 심장, 우리 몸 구석구석을 흐르는 혈액, 매일매일 세포 분열을 하며 새로운 내가 되는 모습, 의식하지 않는 동안에도 계속 숨을 쉬며 우리는 살아가고 있다.
그것은 기적이며 경이로움이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이 잘 하는 것은 부러우면서
나 자신도 충분히 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는 것을
우리 자신은 모를 때가 많다.
그저 약점에 집중하면서 말이다.
누구에게나 가슴뛰게하는 에너지를 주는 일이 있다.
그것을 조용히 생각해보고, 기억해야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저 ’그렇구나!’ 하면서 읽는 것은 책을 잘 활용하지 못하는 것이다.
나만의 노트를 준비하여 두고, 조용히 명상하며 자신의 강점을 생각해보자.
그 노트가 미래의 나를 강하게 할 것이다.
당신이 자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가
당신의 운명을 결정한다.
-헨리 데이비드 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