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 뜨거운 기억, 6월민주항쟁
최규석 지음 / 창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가슴이 먹먹해지며 불편해지는 마음이 느껴진다.
가벼운 마음으로 이 책을 손에 쥐고, 무거운 마음과 미안한 생각으로 이 책을 덮는다.

내가 대학생이 될 무렵, 학교에서는 점점 투쟁의 기미가 사라지고 있었다.
점점 시간이 흘러갈수록 투쟁은 시험보기 싫은 학생들의 치기 정도로만 여겨지며, 
대외적인 관심은 개인적인 문제로 전환되었다.
학비, 학점, 취직 등등 현실의 문제도 우리에게는 버거운 일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금은 다들 먹고 살기에 바쁘다는 이유로 정치 분야는 관심을 두지 않고 살고 있었다.
그런데 잊고 있던 불편한 기억을 떠올리듯, 이 책은 나에게 잊고 지내던 민주주의에 대한 생각을 떠올리게 했다.

우리 애는 착해서 절대 그런 짓 안한다고 믿으시는 영호 어머니, 
그 당시에도 얌전히 공부 잘하다 착실히 회사 다니는 것이 부모들이 바라는 자식들의 모습이었을 것이다.  
조금은 답답하기만 한 처음의 모습이 그대로 유지되었다면 답답함만 느꼈을텐데,
변화하는 모습을 보니 든든하기도 하고 미안하기도 하고 고맙기도 하고 마음이 아프기도 하다.

어쩔 수 없는 현실 속에서 마음과 행동을 일치시킬 수 없었던 영진, 
장남이라는 위치때문이라도 자기자신 하나만 생각할 수 없는 현실이 안타까웠다.
하지만 동생에게 응원의 말을 건네주고, 학생들에게 따끔하게 이야기할 때에는 영진같은 사람도 세상에 많겠구나!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무엇보다도 이 책의 제목인 100도씨에 대한 글이 나왔을 때에 마음에 와닿았다.

물은 100도씨가 되면 끓는다네.
그래서 온도계를 넣어보면 불을 얼마나 더 때야 할지 언제쯤 끓을지 알 수가 있지.
하지만 사람의 온도는 잴 수가 없어.
지금 몇 도인지, 얼마나 더 불을 때야 하는지,
그래서 불을 때다 지레 겁을 먹기도 하고 원래 안 끓는 거야 하며 포기를 하지.
하지만 사람도 100도씨가 되면 분명히 끓어. 
그것은 역사가 증명하고 있네. (92p)

더 나아지는 세상, 태평성대를 바라는 꿈, 그것은 과연 꿈이기만 한 것인가?
민주주의의 역사가 짧기 때문에 우리 속에 더 깊게 자리잡기 위해서는 아직은 더 많은 희생이 필요한 것인가?
역사는 좀 더 나은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일까, 아니면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내지 못하고 반복되는 것일까?
생각이 많아지는 시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의 행운을 빕니다 - 사랑을 가장 먼저 배우는 티베트 아이들 이야기
정희재 지음 / 샘터사 / 2007년 1월
평점 :
품절


책을 읽으며 모르던 세상을 보게 된다.
나 자신을 바라보는 시야가 넓어지기도 한다.
좋은 책을 읽으면 마음도 편안해지고 기분도 좋아진다.
이 책을 선택하여 읽게 된 것도 소중한 인연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저 티베트에 대한 궁금함, 그리고 '사랑을 가장 먼저 배우는 티베트 아이들 이야기'라는 부제만 보고 아무 기대 없이 이 책을 펼쳐들었는데, 이 책을 보며 많은 것을 배운 느낌이 들었다.
많이 생각하고, 많이 배우고, 내 마음이 채워지는 느낌이 든다.

티베트에 대해 사실 잘 모른다.
인도에 티베트 망명 정부 다람살라가 있다는 것 정도가 거의 다일 정도이고, 
왜 그들이 그렇게 티베트를 넘어와서 다른 곳에 정착하고 있는지,
어떤 문제가 있는지,
더 깊이 알려고 하지 않았다.
이 책은 여행작가 정희재 님이 티베트 어린이 마을에서 그들과 함께 지내며, 그들의 이야기를 담아낸 것이다.
가볍게 집어든 책이지만, 눈을 뗄 수 없는 이야기들에 금세 빨려들어가게 된다.

그들의 생각이나 행동이 낯설게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마음에 와 닿는다.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현대 사회를 살아가면서 내 마음은 풍요롭지 않고 요동치고 있는 것을 느낀다.
어쩌면 내 마음 속에서도 이미 '이 정도면 충분해.'라고 외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행복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때로 인생은 신비하고 낯선 환상처럼 다가오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되풀이되는 풍경들이다. 
누군가 이 지구별에서 배워야 할 학습지를 여기저기 돌리고 있는 게 아닐까? 
달라이 라마가 티베트 어린이 마을 학생들에게 했던 말이 떠오른다.
"한 사람이 지식과 경험 면에서 뛰어난 성취를 얻는 기간은 그의 인생을 통틀어 가장 힘든 시기이기도 합니다. 
이 어려운 과정을 통해 여러분은 내면의 힘과 문제에 맞서는 결단력과 용기를 기를 수 있습니다." (50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화 대학 서울대 선정 만화 인문고전 50선 23
허경대 글, 이주한 그림, 손영운 기획 / 주니어김영사 / 200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대표적인 유학 서적, 사서(四書) 중에 대학(大學)은 기본 중의 기본이 된다.
대학교에서도 <대학>을 기본적으로 익히고 시험을 본다.
"대학지도는 재명명덕하고 재신민하고 재지어지선이니라. 大學之道 在明明德 在新民 在止於至善."
수학 공부할 때 ’집합’부터 시작하면서 공부의 의지를 다졌던 것처럼
한문을 공부할 때에는 주로 ’대학’으로 시작을 많이 하게 된다.
그래서 주니어 김영사의 만화 고전시리즈 중 '사서'를 다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했고,
그 중 <대학>을 먼저 읽게 되었다.

과거에는 경전을 읽고 싶어도 한문으로 쓰여 있어 관심조차 가지기 어려웠습니다.
그러나 이제 <논어>를 비롯하여 <맹자> <중용> <대학> 외에도 많은 유가의 경전들이 알기 쉽게 번역되어 있습니다.
그 중 가장 먼저 <대학>을 읽으십시오. 그런 다음 <논어> <맹자> <중용>을 차례대로 읽으십시오.

대학의 문장은 단순하고 짧고 기본적인 것이다.
그래서 문장은 많이 외우고 여러 번 접하기는 했지만,
볼 때마다 이해의 폭이 달라진다.
문장만 읽고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재미있는 이야기로 설명을 들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었는데,
이 책 <만화 대학>에서 그 부족함을 채워줬다는 생각이 들었다.

알찬 구성, 이해하기 쉬운 설명, 그림과 함께 폭넓은 배경 설명 등등 정말 알차다는 생각이 들었다.
초등학생 뿐만 아니라, ’대학’ 강독 전에 한 번 넘겨보며 <대학>의 큰 틀을 이해하는 수단이 되어도 좋을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화 법구경 서울대 선정 만화 인문고전 50선 45
전재성 글, 마정원 그림, 손영운 기획 / 주니어김영사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아이들은 참 좋겠다.’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모든 부분에 있어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이렇게 다양한 매체를 통해 고전을 접할 수 있는 점을 볼 때 그런 생각이 든다.

어렵게만 생각되는 고전,
지루하기 짝이없는 구성,
그런 고리타분함은 탈피했다.
만화로 구성한 법구경, 
꼭 읽어야할 인문고전을 향한 접근성이 이렇게 좋아졌다.
세월이 흘러도 가치가 변함없는 것이 고전이다.
그런 고전에 대한 접근성이 점점 좋아지는 것은 
좋은 이야기가 널리 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아주 긍정적으로 느껴진다.
이럴 때 보면 세상이 많이 좋아졌다고 생각된다.

이 책은 초등학교 전학년 용으로 구성된 만화지만,
중고등학생은 물론, 어른들이 보기에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깔끔하고 명료한 구성이라고 생각된다.
종교를 떠나서 기본적으로 알고 넘어가야 할 <법구경>
이 책을 통해서 진리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또한 이 책의 마지막에는 ’불교 바로 알기’라는 글이 있는데, 
불교의 핵심 가르침인 네 가지 거룩한 진리, 불교에 대한 일문 일답 등이 담겨있다.
불교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많이 되었다.

세살 먹은 어린 아이도 알지만, 여든 살 먹은 노인도 행하기 힘들다는 것,
부처님의 큰 뜻!
<법구경>에 담긴 이야기도 마찬가지다.
누구나 알고 있는 이야기겠지만, 평생을 두고 행해야 할 것이다.
간단하고 쉽게 담긴 만화 속의 이야기를 주기적으로 꺼내 읽으며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53일의 겨울 사거리의 거북이 10
자비에 로랑 쁘띠 지음, 김동찬 옮김 / 청어람주니어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늘 같은 환경에서 비슷비슷하게 생활하며 같은 일들을 반복하며 사는 것?
참 매력없는 삶이라는 생각이 든다.
어쩌면 작가 자비에 로랑 쁘띠도 그런 생각을 했던 것일까?
이 책은 늙은 바이타르와 소녀 갈샨이 몽골 평원에서 보낸 겨울 153일을 담고 있다.

갑작스레 생활 환경을 바꿔야하는 갈샨,
몽골로 가야하는 갑작스런 상황이 당황스럽다.
그것도 바이타르 할아버지에게!!!
'미친 늙은이'라며 싫어하는 기색을 역력히 내비친다.
하지만 몽골에서의 153일이 갈샨의 인생에서는 중요한 경험이 될 것이다.
도시에서는 볼 수 없는 것들, 보이지 않는 것들을 하나하나 배워가는 소중한 시간이 되니 말이다.
학교에서는 배울 수 없는 소중하고 값진 경험이 갈샨의 마음에 평생 담길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처음에 엄마 아빠를 떠나 있어야 하는 갈샨의 불안한 마음에 나도 걱정스러웠지만,
갈샨은 생각보다 더 잘 지냈고, 
더 많이 깨달았을 것이다.
책을 읽으며 엄마의 말이 인상적이었다.

'있어보면 알거야, 딸아. 내사랑아.
네 생각보다 시간은 훨씬 빨리 간단다.' (53p)

흐르지 않을 듯 불안하고 답답한 시간은 어느새 휙 지나버리고,
몽골에서의 153일은 갈샨에게 어떤 의미를 남길지......
도시 속에서 온실 속의 화초로 자라는 아이들에게 이런 경험이 커다란 의미로 남을 수 있을 거란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