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령화 가족
천명관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2월
평점 :
이 책을 선택해 읽게 된 이유는 사실 내가 의도하는 바가 아니었다.
고령화 사회로 치닫고 있는 우리 사회의 현실을 반영한 어둡고 무거운 현실을 직시하고 싶다는
현실 참여적인 자세로 이 소설을 선택했다.
이제는 소설을 읽을 때 괜한 스포일러에 김새지 않기 위해서 제목만으로 선택하게 되는 것이 거의 확정적인 나의 자세가 되었다.
이 책은 이런 나의 의도에는 전혀 걸맞지 않은 내용이었지만,
나는 이 책을 읽으며 적재적소의 절묘한 문장들 때문에 혼자 낄낄거리며 이 책을 보게 되었다.
이 이야기는 영화감독으로 실패를 하고 이혼도 했고, 알콜중독으로 살아갈 뻔 한 인모가
닭죽을 먹으러 오라는 엄마의 전화 한 통으로 집으로 들어오며 시작한다.
사실 이런 저런 이유로 모인 가족들은 어찌보면 사회의 쓴 맛을 보고 어쩔 수 없이 모이게 된 사람들이다.
강간죄로 교도소에 들어갔다 온 큰아들, 실패한 영화감독이자 알콜중독자 둘째 아들, 바람피워서 이혼당한 막내 딸과 그 딸,
그 파란만장한 삶들이 한 집안에 모여 티격태격 불협화음을 일으킨다.
알고보면 제각각, 배다르고 씨다른 자식들을 거두어 먹이면서 흐뭇한 표정을 짓는 어머니,
매일같이 고기를 먹이면서 제비새끼들 옹기종기 먹이를 받아먹는 듯한 모습에 오히려 행복함을 느끼는 그 모습에 인모의 생각이 압권이었다.
'엄마가 미쳤나보다.'
인모는 옛아내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싫어하면서도 자꾸 언급했다.
그녀를 '기내식'에 비유하며 이야기하던 장면은 정말 인상적이었다.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소재에 비유해서 표현하는 작가의 표현력에 완전 공감하며 동의한다.
인모의 생각과 행동에 어느덧 나도 공감하며 책장을 덮는다.
책의 마지막에는 인생 실패한 소심 오감독에게서 마음에 남는 이야기를 들으며 나의 인생에 대해서도 생각해본다.
나는 언제나 목표가 앞에 있다고 생각하며 살았다.
그 이외의 모든 것은 다 과정이고 임시라고 여겼고, 나의 진짜 삶은 언제나 미래에 있을 거라고 믿었다.
그 결과 나에게 남은 것은 부서진 희망의 흔적뿐이었다. (286p)
<고령화 가족>은 절묘한 언어의 마술, 기막힌 표현력을 느끼게 된 소설이었다.
그러면서도 哀而不悲(애이불비)가 느껴지는 절제의 미학이라고나 할까.
오랜만에 마음에 남는 소설을 읽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삼류막장드라마가 될만한 소재를 무겁지만은 않게 승화시켰다는 느낌이 드는 소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