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의 스무 살을 사랑하라 - 20대 여자들을 위한 자기격려서
김현진 지음 / 해냄 / 2007년 10월
평점 :
’자기격려서’라는 표지의 글이 눈에 띄었다.
그래서 이 책은 20대가 아님에도 마음만은 청춘인 나의 손에 들어오게 되었다.
그런데 이 책, 읽어보니 생각 이상으로 매력이 느껴졌다.
"맞아~!"하며 공감하는 부분도 많았다.
그렇지 않았던 부분은 통과~!
그래도 꽤나 건질 것이 많았다.
20대 여자들을 위한 책이라는 선전때문에 자칫 읽지 않았으면 아까울 뻔했던 책이었다.
나의 20대는 참 불안하고, 어둡게 지나갔다.
그때는 그래도 책을 많이 읽었다고 생각했었는데, 사실은 흔히 말하는 교과서, 혹은 전공서적만이 내 독서의 전부였다.
하지만 혹시 그 때, 시간을 내어 독서를 했더라도 달라지지는 않았을 것이다.
무수히 나 자신을 채찍질하며 반성하고 죄책감에 시달리게 하는 자기계발서만 주로 읽었을테니까......
그래서 이 책을 보며 그런 생각이 들기도 했다.
세상을 바라보는 것이 미숙하고, 힘들고 버거운 현실에서,
나에게 이렇게 속시원히 대화할 수 있는 사람이 있었다면, 혹시 나는 현실을 외면만 하지는 않고 제대로 바라볼 수 있었을까?
가끔은 삶이 버겁기도 하고 힘에 겨운 느낌에 허덕이게 되는데,
이 책에서는 속시원히 말한다.
"인생이 원래 고되고 힘든 거랍니다."
힘들어 죽겠는데, "힘내"라고 말하는 것이 도움이 안될 뿐더러, 무심한 일이고, 잔인한 일이라는 표현도 솔직하게 한다.
’긍정의 힘~’ 이라는 것, 교육적이고 참 좋은 말이다.
하지만 가끔은 그렇게 세상의 밝은 면만 보고 살기에는 답답한 생각이 들 때가 있다.
그럴 때는 누가 옆에서 내 편이 되어서 이야기를 해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싫은 소리 듣기 싫어서 공허한 칭찬을 해대는 사람들을 보면 거리감을 느끼게 된다.
캔디처럼 외로워도 슬퍼도 안울고 꿋꿋하게 긍정적으로 어려움을 헤쳐나가는 것을 보면, 어떤 때에는 인간적이지 못하다는 생각도 든다. 그렇게 사는 것만이 정답은 아닌데, 이 사회에서는 점점 더 사람들을 사람이 아닌 완벽한 기계정도가 되기를 바란다. 그것이 부모의 욕심이든 개개인의 욕심이든 간에, 이건 아니라는 생각이 들 정도다.
이 책에서 가장 마음에 들었던 부분은 ’가족의 평화’에 대한 글이었다.
모두가 찰떡처럼 의견이 맞는 가족들의 평화란, 분명히 그 밑에 입 다물고 있는 약자가 있기 때문에 성립되는 거였습니다.
그리고 그 평화 속에서는 한없이 상처받는 사람들이 있는 법이고요.
그 약자는, 자신의 이야기를 하려 할 때 죄책감을 갖게 됩니다.
나 하나만 죽어지내면, 나만 조용하면 이 공동체는 평화로운것 아닐까.
이렇게 성립될 수밖에 없는 것이 ’가족의 평화’라는 생각이 든다.
가족 구성원이 많으면, 친척들까지 다 합치면, 정말 그렇다는 생각이 든다.
내가 그런 죄책감으로 살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이 책은 ’자기계발서’에 속하지만, 다른 자기계발서와는 다른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자기계발서를 읽으며 속이 후련한 느낌이 든 것은 실로 오랜만의 일이다.
아니, 어쩌면 처음인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