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혈압, 목숨 걸고 편식하다 - MBC 스페셜
황성수. 정성후. 김은희 지음 / 쿠폰북 / 2010년 2월
평점 :
품절
예전에 어떤 책을 보다가 인상 깊었던 말이 있었다.
’사람이 평생 먹을 밥의 양은 정해져있는데,
그것을 몰아서 한꺼번에 먹든, 조금씩 길게 나누어서 먹든
정해져있는 그 양을 다 채우면 수명이 다하게 된다.’는 말이 있었다.
이 책을 보면서도 그런 생각이 들었다.
술, 야식, 폭식, 불규칙한 식생활이 야기하는 문제는 생각보다 클 것이다.
’먹는 것이 바로 그 사람!’ ’You are what you eat.’이란 말이 있듯, 사람은 무엇을 먹는가가 중요하다.
그런데 흔히 정크푸드라고 하는 쓰레기음식들, 조미료가 섞인 음식, 제대로 되지 못한 재료들로 우리 몸을 서서히 망가뜨리고 있다.
이 책에서 하는 말은 ’음식으로 못 고치면 의사도 못 고친다!!’
혈압약을 평생 먹어야 한다면 그것은 혈압을 낮추는 약이 아니다.
결국 고혈압을 낫게 하는 약은 없다는 소리라는 것을
이 책을 읽으며 다시 한 번 인식하게 된다.
이 책에는 현미 채식을 실천하는 네 명의 참가자가 나온다.
그들은 생활 습관과 식습관이 충분히 고혈압을 불러일으킬 만하다고 보인다.
그런데 그냥 다큐멘터리가 아니라 책으로 엮는 것이라면 좀더 다양한 사람들의 경험담이 실렸으면 좋았을거란 생각도 든다.
그리고 솔직히 마음 먹고 실천하고 있는데, 그것을 말리거나 약올리고 시험에 들게하는 친구들이 더 얄미웠다.
같이 좋은 방향으로 발전해나가는 것이 아닐바에야, 가만히 있어주지, 괜히 그 주변의 친구들이 야속해진다.
왜 사람들은 몸이 불편해지면 기존에 행해오던 식습관이나 생활 습관에서 변화를 주려고 하지 않을까?
그저 쉽게 약에 의존하거나, 몸에 좋다는 보양식을 먹고 위안을 받는다.
하지만 건강에 신호가 올 때, 무엇을 먹을까 고민하지 말고, ’무엇을 먹지 않을까’에 대해 생각해보아야 한다.
사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이 책에 나와있는대로 극단적인 편식을 실천하는 것은 어렵다고 본다.
책 중간에 ’병이 되는 음식과 약이 되는 음식’ 부분에서, 현미밥, 다양한 채소, 다양한 과일 빼고는 다 병이 되는 음식이라고 분류해 놓은 것을 보고, 우리 사회에서 실천할 수 있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 생각해본다.
하지만 이미 고혈압 진단을 받고 혈압약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그런 약보따리를 평생 먹을 지, 아니면 식생활을 바꿔볼지,
선택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사실 현대인의 병 중에서 많은 것이 식생활과 생활습관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많이 개선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책의 방법도 당연히 효과가 있을거라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