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 수컷은 필요 없어 ㅣ 지식여행자 5
요네하라 마리 지음, 김윤수 옮김 / 마음산책 / 2008년 8월
평점 :
품절
# 요네하라 마리의 반려동물 이야기
“고양이나 개도 좋지만, 자네는 그보다 빨리 인간 수컷을 키우도록 노력하게.
인간 수컷 말이네!“
무슨 말인가 했다.
처음에는 이 책의 처음을 장식한 이 이야기에 갸우뚱했다.
하지만 한 은사님께서 요네하라 마리 가족 수의 변화(고양이 몇 마리, 개 몇 마리. 사람 두 명)를 담은 연하장을 보고, 새해 첫날부터 전화를 걸었다는 이야기였다.
괜한 참견이라고 생각지 않는다는 말이 마음에 들었다.보통 사람들은 그런 참견을 하게 마련이니 말이다.
하지만 어쩌겠나? 사람이든 동물이든 인연이 닿아야 가족이 된다는 것을!
굳이 인간 수컷일 필요가 있을까?
이 책에는 요네하라 마리와 함께한 반려동물의 이야기가 나온다.
포유류 아홉 가족의 생활을 보며, 반려동물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게 되었다.
고양이 무리와 도리가 마리의 가족이 되던 과정, 중성화 수술 이후의 그들의 삶, 겐이 함께 하게 된 이야기, 러시아 애묘가 협회 회장의 행동, 페르시안 블루 새끼 고양이 타냐와 소냐가 러시아에서 도쿄까지 오게된 이야기 등 흥미진진한 이야기에 푹 빠져 이 책을 읽게 되었다.
# 동물을 직접 키우며 알게 되는 것들을 책을 통해 간접경험을 해본다.
역시 동물을 직접 키워보는 것과 주변에서 바라보는 것은 많이 다르다는 생각이 들었다. 많이 배우고 생각하고 깨달아본다.
내가 반려동물을 키운다면, 그래서 그런 일이 닥친다면, 나는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떻게 행동을 하게 될 지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다.
특히 예전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것들을 내 머릿속에서 정리해보는 유익한 기회가 되었다.
중성화수술에 대한 것도 나도 마리처럼 막연하게만 생각하고 있었다.
“자연스러운게 좋다고 생각하거든요. 태어나면 키울 각오는 하고 있어요.”
하지만 수의사 선생님의 이야기를 들으면 생각이 달라진다.
“뭐 1년 후에는 대략 64마리 정도 될까요. 다음 해에도 계속 늘어나겠죠. 그 정도 키울 각오가 있으시면 저는 전혀 말리지 않습니다.”
그 생각은 미처 하지 못했다.
고양이의 고급스런 식비를 대는 문제에 있어서 나보다 식비가 많이 들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도, 이 책에서 직접 보게 되니 현실적인 문제로 생각해보게 된다.
또한 고양이의 트라우마, 그 부분에 있어서는 내가 어떻게 대처하게 될 지,
고민에 고민을 거듭해보다가도, 직접 키우며 느끼는 행복에 다른 걱정들은 눈녹듯 싹 사라질거라는 생각이 들어버렸다.
# 나에게 반려동물이란?
예전에 동생이 러시안 블루 두 마리를 키웠다.
고양이 두 마리가 우리 집에서 살고 있었지만, 물론 나는 그저 가끔 ‘어머~ 귀여워.’라고 호들갑떨며 고양이들의 귀여움에 소리지르거나, 내게 시간이 있을 때 모처럼 고양이들과 놀아주려고 하지만 그럴 때에 얘들이 외면한다고 투정부리는 정도였다.
동생이 유학을 가면서 두 마리 다 데리고 갔고, 집안은 휑한 느낌이 들었다.
반려동물을 키워보면 어떨까?
진작부터 고양이를 키우고 싶다는 생각은 했지만, 동물만 집에 남겨두고 외출하거나 여행할 때 감당하기 힘들다는 생각이 들어서 거절했다.
하지만 정말 키울 뻔하던 때가 얼마 전에 있었다.
어머니께서 슈퍼에 다녀오시더니, “그 집 고양이가 새끼를 낳았는데, 너~~~~~무 예뻐. 얼룩말 닮았어. 데려가서 키워도 좋대. 우리 키우자.” 라고 말씀하시는 것이었다.
물론 나의 마음은 완전히 흔들렸다. 사실 여행을 갈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키우지 않고 있는 것이었지만, 지금까지의 상황을 보면 그렇게 여행을 떠나지도 않았으니 말이다.
나의 대답은 거의 ‘예’였지만, 일단 나는 일단 동생에게 물어보자고 했다.
고양이를 키우던 입장에서 의견이 어떤지!
사실 그랬다.
고양이를 키우니 너무 행복하고 좋다고, 한두 마리 키우면 인생이 달라질거라고......뭐 그런 이야기가 나오면 진짜 키우려고 했다.
하지만 동생의 답변은 달랐다.
“말리고 싶네^^; 나도 후회할 때가 많아.
맘 편히 훌쩍 떠나고 싶을 때가 종종 있는데 그러질 못해.
하루에 두번 밥주느라 매일 신경써야하고.
겉으로 보는 거랑 같이 사는 거랑은 너무나 달라.
밖에서 보기에는 참 이쁘지만 맨날 밥챙겨주고 똥치우고 게다가 자기 물건에 오줌이라도 싸면 정말 힘들다고.
얻는 것은 그렇게 매여 사는 생활 속에서 느낄 수 있는 어떤 섬세한 감정, 뭐 그런거.
나중에 여기 와서 우리 애들이나 봐주라.
며칠 합숙해보고 그래도 정말 야옹이랑 살고 싶다면 그땐 안말릴께.“
그 메일을 보고 고양이를 키우겠다는 꿈을 바로 접어버렸는데,
이 책을 보며 다시 키우게 되는 것,
내 마음은 중심을 못잡고 흔들리고 있다.
신중하자! 신중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