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
신경숙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5월
평점 :
다시는 방황하지 않으리
-바이런
이렇게 밤 이슥토록
우리 다시는 방황하지 않으리
마음 아직 사랑에 불타고
달빛 아직 빛나고 있지만
......
|
나의 20대를 생각해보면, 이 시가 사무치게 마음에 와닿아 밤잠을 못이루었던 때가 있었다.
지금도 방황은 끝나지 않았지만, 그때만큼 방황한 세월은 없었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그 시절의 나는 이 시가 마음에 들었다.
나는 이 시가 불안한 청춘을 잘 나타낸다고 생각했다.
방황할 수밖에 없고, 온전할 수 없으며, 끝이 안 보이는 터널을 계속 걸어가는 막막함을 느끼게 되는 나이. 청춘.
그냥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살아 내야하는 것이 힘에 겨웠던 청춘이라는 시간,
방황하지 않겠다고 다짐하면서도 결국 또 방황하던 그 시절,
신경숙 님의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를 읽으며,
그 시절을 끄집어내어 기억의 조각을 맞춰보는 시간을 가졌다.
아프다.
마음이 아파온다.
이 책을 읽는 시간이 나에게는 송곳처럼 찌르는 듯 아파오는 시간이었다.
신경숙 님의 책을 읽으면 나와 상관없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읽다가도 결국에는 나 자신과 연관해서 생각하게 하는 면이 있다.
이들의 이야기를 보면 나 자신이 정윤이 되어 내 주변의 사람들을 보는 느낌이 든다.
나 자신이 정윤이 되어
‘너는 나를 사랑하지 않잖아.’의 외사랑 단이의 사랑이 되어보기도 하고,
아픔을 가득 담은 윤미루의 친구 윤이 되어보기도 하고,
함께 있으면 아픔이 될거라고,흉측하게 될거라며, 마음 아파하는 명서의 사랑이 되어보기도 한다.
또한 같은 모습이진 않지만 단, 미루, 명서의 모습을 보며 떠오르는 사람들을 생각해보게 된다.
그래서 결국 내 안에 잠자고 있던 기억, 켜켜 묵은 먼지가 뽀얗게 쌓여버린 젊은 날의 기억을 꺼내 퍼즐의 조각을 맞추듯 기억을 되살리는 시간이 아픔이 된다.
되돌릴 수 없는 시간이기 때문에 아름답기만 한 것이 청춘이 아니라,
멈춰버린 기억을 되살려보니 그때는 알지 못했던 의미를 깨닫게 되는 것이 고통이다.
이제야, 너무 늦게!!!
이 책을 읽고 나니 생각나는 단어들을 나열해본다.
‘기억, 상실, 청춘, 꿈’
꿈을 쫓아가지만 도달할 수 없어 상실감에 막막한 청춘, 애써 아픔을 묻어버리고 현실을 살아내다가 그 끝자락에 가서야 깨닫게 되는 그 시절의 의미.
그 의미를 되살려주는 책을 읽게 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청춘 그 자체였던 시절보다는 그 이후의 사람들이 읽으면 좋을 책이다.
청춘의 끝자락에서 잊고 지내던 그 시절을 들춰보는 것이 이 책을 읽는 묘미일 것이다.
이 책을 보며 특히 명서의 갈색노트를 곱씹어보며 반복해서 읽게 되었다.
그와 함께하지 않아도 괜찮아지기 시작하면서 봉인해두었던 상자 속에 있던 명서의 갈색 노트, 그 노트에 담긴 글을 보며 나도 까마득히 멀게만 느껴지는 과거의 시간 속 기억을 더듬어본다.
왜 그때 그러지 못했나, 싶은 일들.
살아가면서 순간순간 아, 그때! 나도 모르게 터져나오던 자책들.
그 일과는 상관없는 상황에 갑자기 헤아리게 된 그때의 마음들,
앞으로 다가오는 어떤 또다른 시간 앞에서도 이해가 불가능하거나 의문으로 남을 일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