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프니까 청춘이다 - 인생 앞에 홀로 선 젊은 그대에게
김난도 지음 / 쌤앤파커스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그저 흔한 책인 줄 알았다.
이 책의 제목이 매력적이지 않았다면, 어쩌면 나는 이 책을 볼 생각도 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이 책의 내용이 매력적이지 않았다면, 나는 끝까지 읽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아프니까 청춘이다!!!
시간이 좀 흐르고 나니까 알겠다.
남들은 다들 굳건히 멀쩡하게 보내는 것처럼 보이는 시간을 나만 힘들게 보냈던 것은 아니었다.
나는 충분히 아팠고, 아프니까 청춘이었다.
왠지 위로받는 느낌이 들어서 이 책을 자세히 읽게 되었다.
그대의 인생은 몇 시인가?
이 부분에서 나는 정신을 바짝 차리게 되었다.
그대, 인생을 얼마나 산 것 같은가?
이 질문이 너무 막연하게 느껴진다면, 이렇게 물어보겠다.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를 24시간에 비유한다면, 그대는 지금 몇 시쯤을 살고 있는 것 같은가?
한번 계산기를 들고 셈해보자.
그대가 대학을 스물넷에 졸업한다 하고, 하루 중 몇 시에 해당하는지.
한국인의 평균연령이 80세쯤 된다 치면, 80세 중 24세는 24시간 중 몇 시? 아침 7시 12분.
생각보다 무척 이르지 않은가?
많은 사람들이 잠자리에서 일어나 하루를 준비하는 시각이다.
아침잠이 많은 사람이라면 아직 일어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그렇다.
대학을 졸업하는 스물넷이 고작 아침 7시 12분이다.
그렇다.
아직 많이 남았다.
아침 7시에 일이 조금 늦어졌다고 하루전체가 끝장나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나는 너무 늦었어!”라고 단정 지으려는 것은, ‘사실’의 문제가 아니라 ‘자기기만’의 문제다.
혹시라도 포기나 좌절의 빌미를 스스로 만들어서는 안 된다.
그대, 아직 이르다.
적어도 무엇이든 바꿀 수 있을 만큼은.
“인생에 너무 늦었거나, 혹은 너무 이른 나이는 없다.” - Part 1. 〈인생시계〉중에서
정신이 번쩍 들었다.
기나긴 인생, 너무 이른 시간에 지쳐 떨어져버렸던 것은 아닌지.
그래, 아침 7시에 일이 조금 늦어졌다고 하루 전체가 끝장나는 것은 아니지!
이런 식으로 이 책은 나에게 살아갈 힘을 주었다.
고루하지 않게, 무조건적인 격려 메시지가 아니면서 마음을 사로잡는 글!
그 글로 위로를 받는다.
힘들 때 절망적일 때, 무조건 힘내라는 말이 얼마나 마음을 더 나락으로 떨어뜨리는지 잘 안다.
’다 잘될거야.’ 등의 대책없는 긍정적 말도 얼마나 기운을 빼는 말인지도 잘 안다.
적어도 너무 힘들 때 말이다.
이 책의 저자는 그렇게 힘들고 지칠때 위로하는 방법을 잘 알고 있는 것 같았다.
그렇게 이 책을 읽으며 나의 아픔을 치유받는다는 생각이 들었다.
누군가 젊은 시절의 내가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에 지금의 성숙한 내가 있는 것이라고 말한다면,
나는 웃기지 말라고 말해주고 싶다.
그런거 안 해도 좋으니까 그런 어려움은 절대 다시 겪고 싶지 않다.
그런 시련일랑 나중에 조금 더 어른이 되어, 그런 종류의 문제를 처리할 수 있는 때가 됐을 때, 그때 맞아도 충분하니까. 92p
인생에 너무 늦었거나, 너무 이른 나이는 없지만,
이왕이면 보다 많은 청춘들이 이 책을 읽고 힘을 얻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