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운동이 내 몸을 망친다 - 국가대표 주치의 나영무 박사의 대국민 운동 처방전
나영무 지음 / 담소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날씨가 따뜻해지고, 두꺼운 옷이 얇아지는 계절이 오니
겨우내 찐 살이 드러난다.
사람들은 급한 마음에 산으로 들로 걷기 여행을 떠난다.
‘건강을 위해 운동을 한다?’
하지만 제대로 알고 운동하지 않으면 건강을 위한 것이 아니라,
없던 병도 생기게 하는 것이 ‘운동’이다.
‘과도하고 무리한’ 운동이 말이다.
특히 걷기 여행길이 우후죽순으로 늘어나고 있는 요즘,
밑의 신문 기사처럼 몸에 무리를 주는 일들이 심심찮게 일어나고 있다.
겨우내 급격히 불어난 살을 빼기 위해 2개월 전부터 파워 워킹을 시작한 직장인 이모(남/ 41세)씨.
결혼 후 10여 년 만에 다시 시작한 운동이라 몸 상태를 점검하지 못하고 달린 탓일까? 어느 날 아침, 회사에 출근하기 위해 침대에서 일어난 이씨는 발바닥 뒤꿈치 부분에 심한 통증이 느껴졌다. ‘금방 좋아지겠지’ 하는 마음에 운동을 멈추지 않았지만, 나중에는 걸을 수 없을 정도로 통증이 심해져 결국 병원을 찾았다.
이씨의 정확한 병명은 ‘족저근막염’이었다.
프라임경제 기사 (글_ 강북 힘찬병원 정형외과 서우영 과장)
|
우리는 건강을 위해 운동을 하는 것을 상식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무조건 열심히! 많이! 운동을 하는 것이 건강에 직결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이 오히려 몸을 해롭게 하기도 하고,
그렇게 해친 몸이 회복되는 데에 시간이 많이 걸리기도 한다.
그러면 어떻게 운동해야 건강에 도움이 될까?
이 책 <운동이 내 몸을 망친다>는 국가대표 주치의 나영무 박사의 대국민 운동 처방전이라고 한다.

이 책의 첫 부분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를 읽으며,
글의 내용에 공감하게 된다.
‘급한 마음과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억지로 운동을 해 오히려 몸의 면역력이 떨어지고 부상을 입기도 한다.’
운동 열풍에 건강을 되찾은 사람들의 이야기도 많이 있지만,
오히려 건강을 해친 사람들도 많이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운동을 해야만 한다는 강박관념을 가진 일반인들, 하루에 운동만 4시간 이상 하는 선수들은 과훈련증후군에 빠지기 쉽다.
이들의 증상은 늘 피곤하고, 마음의 안정이 안 되고, 슬럼프에 빠지며,
감기에도 잘 걸리고, 우울감이 있으며, 아침에 일어날 때 가슴이 벌렁벌렁하고,
만사가 귀찮으며, 잠도 푹 자지 못하고, 입가가 바이러스 감염으로 부르트는 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75p)
전문 운동선수나 평소 운동을 많이 하는 사람들을 진찰해보면 근육, 힘줄, 인대, 연골 등 여러 부위에 손상이 있는 것을 보게 되고,
뼈나 관절 등에 퇴행성 변화가 많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퇴행성이란 노화 과정 중의 하나이다.
뼈가 자라고 뼈 조각도 생기고 하는 것이다.
근육골격계뿐만 아니라 심장, 혈관, 폐, 간 등 장기에도 노화가 촉진될 수 있다.
따라서 전문 운동선수들의 수명이 짧은 것도 이 때문이 아닌가 추정하고 있다. (142p)
운동은 자신의 몸에 맞게 해야 하는데,
최근에 많이 출간되는 운동 관련 서적의 근육 빵빵한 사람들의 모습에 막연히 동경을 가지고
무리한 운동을 하다가 탈이 난다.
자신에게 맞지 않은 운동을 무리해서 욕심내서 하다가 몸을 상하지 말고,
이 책의 경고를 냉정하게 받아들이고,
적당한 운동과 휴식, 물과 음식 섭취는 기본이고,
내 몸에 꼭 맞는 운동을 찾아서 건강한 삶을 유지해야겠다.
특히 이 책에서 ‘내가 가지고 있는 정체불명의 운동상식 8’ 부분을 인상적으로 보았다.

운동은 아파야 효과가 있다?
근육통은 운동으로 풀어야 한다?
눌러서 아픈 곳은 아픈 게 아니다?
마라톤 하기 전 스프레이는 만병통치약?
딴딴한 근육이 건강한 근육이다?
테이핑 하면 무조건 안전하다?
여자가 근력 운동을 하면 몸매를 망친다?
배고파야 운동이 잘된다?
이 중 상식적으로 알고 있던 이야기가 있다면
이 책을 읽고 그 상식을 바꿔보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특히 운동으로 인한 통증은 그냥 시간이 흐르면 괜찮아질거라 생각하며 흘려넘겼는데,
이 책에 있는 운동으로 인한 통증 해소법으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화장도 하는 것보다 지우는 것이 중요하고,
운동도 하는 것보다 운동 후에 통증 관리나 회복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여러모로 이 책은 유익한 정보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