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왜 개는 사랑하고 돼지는 먹고 소는 신을까 - 육식주의를 해부한다
멜라니 조이 지음, 노순옥 옮김 / 모멘토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얼마전 <고기 먹을수록 죽는다>라는 책을 읽고
공장식 농장에서 길러지는 육류의 현실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예전에 읽은 책 <우리가 먹고 사랑하고 혐오하는 동물들>을 떠올리게 되었다.
그 책을 읽으며 인간으로서 동물을 대하는 심리에 대해 깊이 생각하는 시간을 가졌다.
허점과 모순투성이, 이중적인 잣대로 동물을 대하는 인간의 모습을 바라보게 되었다.
이번에는 제목은 약간 다르지만, 비슷한 주제를 생각하게 되는 책을 보게 되었다.
우리가 먹는 고기는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정도......
문화에 따라 그 종류는 다르다.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도구를 ‘정신적 마비’라고 이 책에서는 이야기한다.
정신적 마비는 어떤 경험으로부터 우리를 정신적, 감정적으로 단절시키는 심리적 과정이다.
그런 정신적 마비 덕분에 사람들은 애완동물이 아닌, 식품으로 유통되는 ’고기’를 먹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육식주의 시스템의 주된 방어 수단은 보이지 않음, 즉 비가시성이다.
식탁에 오르는 대부분의 육류는 생산 과정을 볼 수 없다.
어쩌면 그것때문에 우리가 육류를 섭취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이 책은 어렴풋이 생각하던 문제들을 명료하게 정리해주는 면이 있었다.
일종의 ’정리본’같은 느낌이 들었다.
막연하던 생각들을 정리해주고,
귀에 쏙쏙 들어오도록 요점정리를 잘해놓았다는 느낌이 들었다.
이 책에서 가장 도움이 되었던 것은 ‘단백질 신화’ 부분이었다.
“그럼 단백질은 어떻게 섭취하지요?”
채식주의임을 밝히면 너무도 당연히 묻는 질문,
하지만 과다한 단백질 섭취는 골다공증, 신장 질환, 요로결석, 그리고 일부 암과 연관이 있다고 한다.
단백질을 충분하되 과다하지는 않게 섭취하는 방법은 동물성 식품을 끊고 곡류, 채소, 콩류와 과일을 먹는 것이다.
다양한 식물성 음식을 체중 유지에 필요한 만큼 먹는 한 단백질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나도 그동안 ‘단백질 신화’ 때문에 상당히 골치 아팠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그와 관련된 자료를 찾아보려하지 않았던 것은 나의 게으름때문이었는지도 모른다.
이 책을 계기로 소극적이었던 나의 행동도 변화시켜보겠다는 의지를 갖게 된다.
사실 이 책에 대한 서평을 어떻게 써야할 지 잘 모르겠다.
육식은 정상적이라고 생각하는 사회 분위기,
오히려 육식을 하지 않으면 까탈스러운 사람이 되어버려 사람들과 어울릴 수 없는 그런 사회에 살고 있어서인지도 모르겠다.
아무리 잔혹한 일이라도 그게 관습이라면 사람들은 용인하게 마련이다.
-조지 버나드 쇼 (영국의 극작가)
이 책은 우리가 비가시성에 가려 바라볼 수 없었던 사실을 보게 해준다.
그래서 많이 불편하다.
육식을 꼭 해야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는 이 책을 권하고 싶지 않다.
하지만 약간 줄여도 상관없는 사람들이라면 이 책을 읽고 함께 그 생각에 동조했으면 좋겠다.
나와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꼭 읽어보라고 하고 싶다.
무시한다고 해서 사실이 사라지지는 않는다.
-올더스 헉슬리 (영국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