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페이 산보학
김경하 지음 / 스토리나무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대만은 나에게 가깝고도 먼 나라였다. 다가갈 기회는 충분히 있었지만, 결국은 뒤로 밀리고 제외되었던 것이 미안해지는 곳이다. 중국과 수교하기 전, 중국어를 공부하던 사람들에게는 어학연수지로 대만을 생각하던 때가 있었다. 나도 그곳에 갈 뻔했지만, 결국 다른 나라로 가게 되었고, 그렇게 대만은 나에게서 멀어졌다. 나중에서야 여행지로 가게 되었지만 그것도 중간 경유지로 잠깐 들르는 정도였다. 그곳만을 향해 간 적은 없었고, 본격적인 다른 곳 여행을 위한 중간지 역할을 했던 곳이다. 그런데 그렇게만 갔다 와도 나에게는 충분히 매력적인 곳이었다. 좀더 시간이 있으면 더 많은 곳을 보고 싶은 곳이고, 또 기회가 된다면 가고 싶은 곳이다.


 

 지금껏 내가 찾아본 바로는 타이페이에 관한 책이 그리 많이 나오지 않았다. 수많은 여행 책자가 출간되는 요즘인데도 아직은 그곳에 대한 이야기를 다양하게 볼 수 없다는 것이 안타깝다. 그래서 이 책을 발견하고 뿌듯하고 급한 마음으로 읽어보게 되었다.

<타이페이 산보학> 이라는 제목으로 보았을 때, 그곳 거리를 어슬렁어슬렁 걸어다니며 호기심 많은 눈길로 이리저리 구경하는 것을 상상했다. 물론 이 책의 저자는 그런 마음으로 이 책을 쓰고 그렇게 산보를 하고 다녔을 것이다. 문제는 나와 취향이 많이 다르다는 생각이 들었고, 내가 느끼기에는 뭔가 아쉬운 느낌이 들었다는 것.


 

 그래도 마지막 ‘단수이’에서의 마지막 석양을 엄마와 함께 보는 장면에서는 나의 여행과 오버랩되면서 ‘나의 여행’을 생각하는 시간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그곳은 소소한 매력이 있어서 뭐라 한 마디로 이야기하기 힘든 곳이라는 것도 공감한다. 그곳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보게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7년의 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제5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내 심장을 쏴라> 작가 정유정의 신작 장편소설이다. 예전부터 이 소설이 출간되었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지만 제목과 표지에서 풍기는 음침한 느낌때문인지 손쉽게 손이 가지 않았던 책이라는 것을 먼저 이야기하고 싶다. 그렇게 미루기만 하다가 무슨 이유에서인지, 드디어, 갑자기, 읽어보게 되었다. 그런데 일단 책장을 열어보았을 때, 나는 멈출 수가 없었다. “나는 내 아버지의 사형집행인이었다. (6p)” 라는 강렬한 문장으로 이 소설은 시작된다.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이지?’ 궁금한 마음에 책장을 넘기는 손길이 빨라졌다.

 이 책을 보며 ‘진실과 사실 사이’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해보게 된다. 객관적이고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라는 것이 진실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이 이렇게 소름끼치도록 무서운 일이 될 수 있다는 것. 그것이 진정으로 몸서리치게 슬픈 일이고, 서러워지는 느낌이다. 살아간다는 것, 이토록 처절하고 무서운 일이었던가.

 이 책은 상당히 두껍다. 500 페이지가 넘는다. 왠만한 매력이 없으면 긴 소설을 끝까지 읽지 않고 중도포기 하는 나에게 이 책은 꽤나 매력있는 소설이었다. 세상 모든 일이 다 그렇듯이, 내가 알고 있는 사실이 다 진실은 아닐 수도 있다는 것, 충분히 왜곡될 수 있다는 것, 그런 부분에 대해 생각을 많이 해보는 시간이 된다. 작가의 다음 작품이 나오면 그 때에는 제일 먼저 찾아 읽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나라수마나라 3 - 완결
하일권 지음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권에서 마술사는 강도사건에 연루된다. 나일등이 그 시각에 마술사와 함께 있었다며 알리바이를 대지만 사람들은 믿지 않는다. 어른들의 눈에는 나일등에게 사춘기가 늦게와서 반항하는 것으로만 보인다. 그러면서 나일등은 현실을 깨달아간다.

 

이제 알았다.

마술사는 미치지 않았다.

미친 놈으로 만들어져가고 있는 거다

어른들이 만든 그 빌어먹을 틀에 맞춰지지 못했기 때문에

 

 

 가벼운 마음으로 이 만화를 읽기 시작했는데, 마술사 ㄹ이 경찰들에게 잡혀가는 순간, 윤아이가 마술을 믿는다고 이야기하던 때, 나도 마술을 믿는다고 이야기하고 싶었다. 그런데 경찰들의 이야기를 들으니 마술사가 이상한 사람 같기도 하고......혼란스러웠다. 그렇게 나는 이 이야기에 몰입해서 빠져들어있었나보다.

 

 

 만화 속에서 세상의 현실을 보며 만화를 읽어가는 시간이 흥미롭기도 하고 안타깝기도 하다. 특히 요즘 아이들은 치열한 현실 속에서 동심을 잃어가고 만화 속 주인공 ‘나일등’ 처럼 아스팔트의 저주에 걸린 채로 무조건 달리는 듯하여 안타까움이 더한다. 그런 현실을 잘 반영한 글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정말 어떻게 사는 것이 잘 사는 것일까? 윤아이도, 나일등도, 마술사 ㄹ 류민혁도, 답답해보이기만 하는 현실을 어떻게 해야할까? 사는 건 정말 그런 것일까? 꽤나 혼란스러워지는 시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나라수마나라 2
하일권 지음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권에서는 윤아이가 본격적으로 마술사에게 마술을 배우기 시작한다.

 

윤아이: 아저씨 왜 그렇게 철이 없어요. 아저씨처럼 하고 싶은 것만 하면서 살수는 없어요.

마술사: 하고싶은 것만 하라는게 아냐. 하기 싫은 일을 하는만큼 하고 싶은 일도 하라는거지. 그게 사는거잖아.

 

마술을 배우는 윤아이의 표정은 행복하다. 하고 싶었던 일을 하기 때문인가보다.

 

돈 때문에 일부러 두 세 문제 더 틀리면서 성적을 유지해야하는 기분 나쁜 현실이 있고

영악하지만 밉지 않은 앵무새와 바보같지만 밉지 않은 마술사에게서

그토록 하고 싶었던 마술을 배우는 두근거리는 현실이 있다.


 

 그 모습을 지켜보던 나일등은 속이 상한다. 하지만 나일등, 전교 1등의 수재, 능력있는 부모님이 제시해주는 길로 따라만 가면 탄탄대로인 것을 보면 사실 아무 문제없어 보이지만, 사실 아스팔트의 저주에 걸린 딱한 인생. “그 쭉 뻗은 아스팔트 길을 달리다보면 그 끝엔 뭐가 있어? 그 길은 끝이 없어. 거기서 내려와야 비로소 푸른 하늘을 볼 수 있거든. 내려오면 여기는 꽃밭이야.” 마술사 ㄹ의 이야기에 마음이 흔들린다.


 

 앵무새 ‘미녀’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마술사 ㄹ의 마음은 아프고, 그 모습을 바라보는 윤아이의 마음도 아프고, 그들을 바라보는 내 마음도 아프다. 아스팔트 길의 저주에 걸린 나일등도 알고 보면 딱한 인생이다. 무거운 현실을 느끼게 되는 만화다. 어서 3권을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나라수마나라 1
하일권 지음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마술을 믿습니까?’

 

어린 시절 산타할아버지의 존재를 믿을 때처럼, ‘마술’도 그렇다. ‘산타할아버지가 사실은 엄마 아빠더라!‘ 라는 지극히 충격적인 사실을 듣고 나서 한 뼘 더 어른에 가까워졌던 것처럼, 사람을 자르는 마술이나 공중부양, 사라지는 마술 등을 보면서 경이로움이 사라졌다. 철이 들고 어른이 되어갈수록 눈앞에서 일어나는 일인데도 믿을 수 없다. 트릭이 쓰인다는 것을 알고 다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면서 보는 것이 마술이었다. 그러면서도 가끔은 어린 시절 동심의 세계로 돌아갈 수 있도록 매개물이 되어주는 마술, 그런 ‘마술’에 관한 이야기가 담겨져 있는 만화를 읽었다.

 

 

 <안나라수마나라 1> 속에 등장하는 주인공 윤아이, 이름은 아이지만 어른보다 더 현실을 챙겨야하는 소녀 가장이다. 빚쟁이에 쫓겨 사라져버린 아버지 대신에 동생까지 보살피며 둘이 살아가야 하는 학생이다. 현실은 너무도 힘들다. 학업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해야 하고, 돈이 없어 물로 배를 채우고, 구멍 난 스타킹을 신고 다녀야 하는 신세다. 아르바이트를 해서 만 원이 생겼는데 쌀을 살 지 스타킹을 살 지 고민해야 하는 그런 아이다. 그런 아이는 사람들이 미쳤다고 수근대는 마술사를 우연히 만나게 된다. 그러면서 마술같은 이야기가 펼쳐진다. 2권에는 어떤 이야기가 마술처럼 펼쳐져 있을지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