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부 유랑 - 서른 살 여자, 깡 하나 달랑 들고 꿈을 찾아 나서다
윤오순 지음 / 해냄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삶을 바라보는 두 가지 자세가 있다.
“어떻게 하고 싶은 일만 하고 살아?” 이 부류의 사람들은 일반적인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하기 싫은 일도 열심히 하면서 핑크빛 미래를 꿈꾼다. 그렇게 고진감래하며 살아가다보면, 미래는 좀 더 안정적인 여유를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다.
“하고 싶은 일만 하기에도 할 일이 정말 많은걸?” 이 부류의 사람들은 일반적인 시선으로 볼 때에는 책임감이 없을지도 모르겠다. 특히 고정관념에 휩싸여 자신의 생각만 옳다고 남을 비난하는 사람에게는 잘 걸려든 먹잇감이다. 하지만 인생의 기준은 자기 자신이다. 내가 행복하고 즐겁게 산다는데 다른 사람의 걱정을 들으며 속상할 필요는 없다.
나의 경우, 두 번째 이야기에 가까운 삶을 살고 있고, 그래서 내 인생은 그렇게 흘러가고 있다.
이 책을 읽고 싶었던 이유 중 하나는 지금껏 내가 살지 못한 삶이지만 20대의 내가 꿈꿔왔던 그런 삶을 책을 통해서 보고 싶었다. 어떤 이야기가 담겨 있을지 궁금했다. 막연하게 그렇게 살아보고 싶다고 생각만 했지만, 남들처럼 살아야한다는 생각에 포기해버렸던 그런 삶을 누군가는 이루었다는 것이 부럽기도 했다. 이 책의 앞에는 소설가 이외수의 추천사가 있다. “공부해서 남주자!” 흥미를 유발한다.
어쩌면 여행 따로 유학 따로 생각하기 쉬운 일이지만, ‘유학방랑기’라는 이름의 이곳저곳 유학기는 실로 재미있다. 공부라는 것이 책상 앞에 앉아있는다고 잘 되는 것만은 아닌데, 당연히 그런 줄로만 알았던 고정관념을 확~ 깨주는 통쾌한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왜 그 시절 어른들은 공부하라는 잔소리를 하면 아이가 공부를 할 줄 알았던 것인지, 학교 시험을 위한 공부만이 공부의 전부라고 생각했던 것인지, 책상 앞에만 앉아있으면 흡족했던 것인지! 물론 지금은 더 심하면 심했지 덜하지는 않지만 말이다.
우연히 가슴이 뛰는 일을 발견하고, 관심사가 넓어지며 연구하게 되는 분야도 다양해지는 등의 이야기를 따라 가다보면, 나에게도 식어가던 열정이 다시 불타오른다. 남들과 다른 길을 스스로 개척하고, 그런 열정에 운도 따라주니, 유학생활이 더욱 다채로워진다. 하지만 저자에게도 ‘하루하루 견뎌내던 시절’이 있었나보다. 그런 이야기도 함께 있어서 솔직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인생을 채워가는 당당한 모습에 부러움이 가득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