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젊음의 나라
손원평 지음 / 다즐링 / 2025년 8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가제본을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솔직리뷰입니다.
초고령화사회가 되면 우리 아이들은 어떻게 되는 걸까?
우리 나이가 먹는 것도 걱정이지만, 내 아이와 다시 또 그 아이들이 살아가게 될 미래 사회는 얼마나 척박하고 힘들지 가히 상상하기도 힘들었다.
예전에는 노년에 대해 걱정하지 않을만큼 내가 젊다라고 생각해왔는데
하루하루 시간이 가고 아이가 커갈수록 나도 노년에 가까워지고 있다 생각하니, 더이상 머나먼 미래의 일만은 아니란 생각이 들었다.
지금은 아주 당연한 일들. 몸도 건강하고, 경제적으로도 아직은 지낼만 하고. 그런 것들이 나이들어서도 여전히 안정적으로 유지가 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시시때때로 들때마다 미래에 나이들었을때 내 주위에 사람들이 많지 않을때 어떻게 살아가야할까. 두려움이 엄습해오곤 하였다.
사실 그런 미래를 그려낸 영화들을 보면 끔찍하기도 하다.
지금의 노인들의 삶과는 또다를 미래의 삶이기에 더욱 상상하기 힘들기도 하다.
아몬드의 작가 손원평이 그린 미래의 한국은 절대로 일어나서는 안되는 이야기지만 일어날 수도 있는, 미래의 당신의 이야기가 되지 않기를, 하지만 또 되기를 바라는 이야기라고 되어 있었다.
미래에 노인들은 경제적 등급에 따라 유닛 A부터 F까지 등급이 매겨진 유카시엘이라는 정부지정업체 민간재단이 운영하는 수용시설에 들어가 살게 된다. 경제적 능력이 떨어지는 유닛 F의 노인들의 삶은 그야말로 척박하기 그지없다.
오늘날에도 실버타운이 생겨서 돈이 있는 노인들은 호텔과 같은 시설에 들어가 청소도 살림도 하지 않고 취미생활만 즐기면서 살아간다는데, 그 실버타운의 비용도 비용이지만, 건강하지 않으면 들어가기 힘든 시설도 있고, 자유도 어느 정도 제한되는 것들이 있어서 그곳에 들어가는게 좋은가 아닌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많이 고민해야할 부분이 아닌가 싶다. 무엇보다도 한달에 들어가는 비용도 꽤나 높으니 고민하려는 그 자체가 비용의 문제기도 하기도 하고.
미래에서는 그 경제적인 부분이 더욱 크게 작용하는 사회를 예측하고 있으니 지금 아이들을 키우는데 들어가느라 힘든 와중에 노후 대비, 그저 아플때 병원비 정도가 큰 비용이 아닌, 우리가 상상한 그 이상의 돈이 들어갈 수 있는 노후 사회가 될 수 있다 하니 더욱 암담해졌다.
게다가 절대다수 노인들에 비해 소수가 되어버린 젊은이들은 또 얼마나 상대적으로 힘든 삶이 되어버리는 것인가.
안 그래도 AI에 밀려 일자리를 잃게 되고, 주인공 나라의 가족이라곤 부모님밖에없는데 그 부모님에 대해서도 나라는 그다지 따스한 감정을 갖지 못하고 오로지 이모에 대한 좋은 기억이 강력하게 자리를 하고 있었다.
노인들의 계급을 경험하게 된 나라의 새로운 직업
절대다수의 노인 앞에 그들과 대척점이 될 수도 보듬을 수 있는 상황이 될 수도 있는 소수의 젊은이들.
나이를 계속 먹어가고 있다란 사실도 서글프고 앞으로 정말 우리 아이들에게 어려움이 되지 않고 내 앞날을 내 스스로 잘 헤쳐나갈 수 있게 똑바로 살아갈 수 있는 사회, 미래가 되어줄 수 있기를.
나 또한 그런 미래를 유지할 수 있게 정신 똑바리고 지금 잘 살아야함을 깨닫게 하는 소설이었다.
끝까지 따뜻한 인간성만은 잃지 않기를.
기계화가 계속되어도 사람과 사람사이의 감정만은 잊지않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