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새벽 4시 반 - 최고의 대학이 청춘에게 들려주는 성공 습관
웨이슈잉 지음, 이정은 옮김 / 라이스메이커 / 2014년 12월
평점 :
품절


책 제목만 들어도 임팩트가 상당하다! 4시반 좀 구라가 섞인감이 없잖아 있지만 이렇게 노력해야지만 성공한다는 것은 맞는 것 같다. 그리고 그들이 별반 다른 게 아니라 그들은 이렇게 노력했기에 그렇게 성공했다는 것에 공감한다. 하버드를 예찬하는 것이 아니라 나의 삶을 돌아보고 도전하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 제목만 들어도 임팩트가 상당하다! 4시반 좀 구라가 섞인감이 없잖아 있지만 이렇게 노력해야지만 성공한다는 것은 맞는 것 같다. 그리고 그들이 별반 다른 게 아니라 그들은 이렇게 노력했기에 그렇게 성공했다는 것에 공감한다. 하버드를 예찬하는 것이 아니라 나의 삶을 돌아보고 도전하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셋 리미티드
코맥 매카시 지음, 정영목 옮김 / 문학동네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맥 맥카시의 소설답게 처음부터 긴장감이 느껴진다. 한정된 공간 안에 딱 두인물이 주고 받는 희곡같은 분위기지만 소설의 느낌을 지울 수 없는. 뭐라 장르를 넘어서는 이 소설은 차라리 영화에 가깝다. 그의 소설이 영화화에 어울리는 이유는 긴장감 그리고 그에 대한 묘사와 전개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이 소설은 의외로 대화로만 이루어져서인지 그 이전에 작품들이 주었던 강렬한 느낌이 없었다. 이미 장면에 대한 묘사로 다가오는 벼랑끝에 선 느낌 같은게 없었다. 그리고 그것을 느끼게 만들어줄 어떠한 것도. 차라리 그래서 이건 희곡에 더 가까운 것 같다. 연극으로 완성되어야지 그 참맛을 알 수 있는 그런 작품.


어찌되었든 소재는 신선하다. 그러나 내가 느끼기에 그 둘의 첨예한 대립 속에 인물의 깊이가 결여되었다고 생각했다. 말로 자신의 사고를 모두 드러내기 때문인데 읽으면 읽을 수록 기독교인인 흑인과 무신론자 그리고 염세주의자에 가까운 이 백인의 논리가 그다지 깊지 않다는 생각만 들뿐이다. 흑인은 그저 그를 막아 설 뿐이고 백인은 그저 떠나려할 뿐이다. 서로에 대한 이해와 관계가 진전되는 모습은 없어 보인다. 그 관계가 엇갈리니 극이 지루할 수 밖에 없고 결론적으로는 겉도는 느낌이 든다. 왜냐면 결국 그들은 아무리 입장이 달라도 교감하거나 서로에 대해 영향을 주지 못하고 그것 자체로는 소설이 전개 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마지막에 흑인이 오열하는 장면은 약간 쌩뚱 맞기도 했다. <로드>를 보았을 때의 충격 같은 그런 것은 없었지만 내가 주의깊게 읽지 않아서 그런 것 같기도 하다는 생각과 함께 그러나 마치 <밀양>처럼 기독교의에 대해 깊이 들어가거나 그에 대한 고통을 독자들에게 전달하거나 극중인물들이 주고 받을 수 있었다면 그런 작품이었다면 이 작품을 긍정할 수 있지 않았을까 싶었다. 죽으려고 했던 이의 고통이 피상적이라는 생각밖에는 들지 않았다. 그리고 그 흑인이 안타까워하는 것은 진심일까 싶을 정도로 둘은 아무런 관계 없이 갈길을 가며 그냥 끝나버리는 것 같다. 그래서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뉴로코믹 - 뇌신경 그래픽 탐험기 푸른지식 그래픽로직 2
하나 로스 지음, 김소정 옮김, 마테오 파리넬라 그림, 정재승 감수 / 푸른지식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뇌는 아직 많은 것들이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 책을 읽으면 지금까지 연구되어 온 뇌 과학에 대해서 알 수 있다.

그 복잡하고 이미지 없는 뇌과학에 대한 글들과 몇년새에 바뀌어 버려서 현재 이론이라고 할 수 없는 부분들까지.

지금까지 기정사실화 되어 온 뇌에 대한 해석들을 간결하게 풀어 놓는다.

다만 아쉬운 것은 그 간결이 너무 간결하다는 것인데.

한 사람의 과학자가 연구해서 노벨상까지 받은 그 연구 결과를 어떻게 그렇게 짧게 담아낼 수 있겠냐만.

적절한 시각화를 통해 뇌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는 점에서 흡족한 성과를 거두었다.

뇌에 대해 알고 싶은 사람이라면 처음 입문으로 적합할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코맥 맥카시의 소설을 처음 읽은 것은 아마도 로드였을 것이다. 그 묵시록적이고 비관적인 세계관 속에서 희망이 교차하는 순간을 보며 묵직한 작가의 고뇌가 느껴졌다. 코엔 형제의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를 보았고 얼마전 리들리 스콧의 <카운슬러>를 보았다. 잔혹한 현실에 대한 묘사가 탁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 그가 신과 구원에 대해 논한다고 하니.. 꼭 한번 읽고 싶어졌다. 소설을 읽지 않은지 오래되었지만 묵직한 이 작품을 곧 읽어야겠다. 아니 꼭 읽을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