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의 고전 - 철학 고전을 이해하기 위한 길잡이
로베르트 짐머 지음, 이동희 옮김 / 문예출판사 / 2013년 9월
평점 :
절판


내가 철학에 관심이 생겼던 것은 아마 군대에 있었을 때였다.
삶이 힘들고 어려워지자 나는 누구인가? 이 세상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끊임없는 근원적인 물음에 대한 답을 얻고 싶어졌다.
그래야 내가 지금 살아가는 이 삶을 어떻게 살아갈 수 있을지 답을 내릴 수 있을 것이란 생각에서였다.
그래도 철학책이 손에 들리지는 않았었다.
나는 마음을 먹으면 시작하는 스타일이라 고전철학부터 근대철학까지 쭉 훑어 보리라 마음을 먹고 책을 읽기 시작했다. 시작은 플라톤이었다.
플라톤의 책을 꽤 많이 봤다. 아무런 사전 정보 없이 닥치는데로 읽었다.
라케스,뤼시스,알키비아데스,크리티아스,파이돈,프로타고라스,변명,향연... 그리고 국가정체까지. 분량으로 따지면 족히 20권쯤 되는 것 같았다. 새로운 세상이 열리는 것 같았고 그 논의의 과정들이 흥미로웠다. 하지만... 하지만... 아쉬운게 있었다.
작심하고 읽기 시작했지만 명확하게 이 사람의 생각을 정리할 수 없었다.
국가정체만 해도 며칠씩 집중해서 읽어야 다 읽을 분량이었는데...
남는게 없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
그때 읽기를 포기했다.
좋은 선생님이나 좋은 책이 있었으면 좋겠다 싶었다.
전반적으로 개론만 알려줘도 그 중심으로 생각하며 정리해갈텐데...
그러다 읽은 책이 철학의 고전이다.
이 책은 한 철학자에 대해 많은 양을 할애하지는 않지만
기본적인 컨셉이 마음에 들었다.
철학자의 핵심이 담긴 대표작을 중심으로 그의 사상과 생각을 간결하게 정리해주는 것이다.
저번에 읽었다. 지상최대의 철학쑈와는 또다른 맛이 있었다. 밝고 경쾌하고 생각을 북돋아주는 유쾌한 철학서임에 비해 진득하고 진지한 면이 부족했다고 치면 이 책은 지루한 면이 없잖아 있지만 시종일관 정석으로 고전과 사상을 정리해서 보여주려고 한다. 그리고 많은 철학자를 다루진 않지만 고전부터 현대까지 그 철학적 사상의 맥을 읽어낼 수 있어 좋았다.
다시 한명 한명의 철학자들을 깊이 만나기전에 그에대해 알고 다가갈 수 있도록 도와준 책이다. 그래서 유익하면서도 꼭 필요한 책이란 생각이 들어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광복저자 설명중 《처음 읽는 서양 철학사》등 그의 책 대부분은 강단의 철학이 아니라 삶으로서의 철학, 앎의 기쁨으로서의 철학을 목표로 대중 독자들을 향한 것이다. 지금껏 10종 이상의 책을 출간하며 20만 명의 독자들과 이러한 소통을 지소해왔다. 마지막 문장의 끝부분 지소해왔다->지속해왔다 http://www.aladin.co.kr/author/wauthor_overview.aspx?AuthorSearch=@1180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에피소드 한국사 : 근현대편 - 교과서에 나오지 않는 에피소드 한국사
표학렬 지음 / 앨피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피소드 한국사 조선편을 읽고 이 역사에피소드에 매력을 느꼈다.

복잡하고 장황하게 써내려가는 글보다는 짧고 재미있는 사실들을 서술해가는 식이다.

그래도 깊이가 없다고는 말할 수 없다. 한 챕터마다 새로운 생각거리를 던져주기 때문이다.

근현대편은 저번에 읽은 조선편보다 더 논란의 여지가 많았다. 조선의 역사에 논란이 있어봤자 어느정도의 틀 안에서 움직였지만 근현대사는 지금도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읽는 맛도 사유하는 맛도 있었다. 이 책에서 중점적으로 다루는 부분은 개화기때부터 일제강점기, 그리고 뒷부분인 대한민국 정부수립부터 거의 문민정부까지의 이야기들을 다루고 있다. 어찌 짧게 논할 수 있는 부분이겠냐마는 잊혀져가는 인물과 사건 그리고 새로운 해석과 관점, 그리고 따뜻하게 우리의 역사에서 우리가 관심을 기울여야할 부분이 무엇인지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이 책은 다른 역사책들처럼 딱딱하지 않아 좋았다. 그리고 거의 4-5장을 넘기지 않는 챕터를 통해 역사를 인식하는 방법, 그리고 우리의 개인사도 역사가 될 수 있다는 사실, 그리고 잊혀져 가는 역사의 중요한 부분이 무엇인지 돌아보게 만들었다. 심심풀이로 항상 가볍게 읽어내려가지만 읽고 나서는 근현대사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져야 하는 부분이 무엇인지, 그리고 우리가 공유해야하는 역사적 사실과 관점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었다. 나도 나이가 들어가나 보다. 후세들이 어떻게 우리의 역사를 바라보아야할지 걱정이 되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접근하는 시각을 무조건 옳다 할수는 없겠지만 건강하다라고 말할 수 있을 뿐더러 어렸을 때부터 바른 역사적인 시각을 갖을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요즘의 일베사건들이랄지 잊어버리고 있는 역사적 진실과 진실로 둔갑하는 거짓역사들이 난무하는 시대에 우리는 너무 역사를 소홀히 하지 않았는가 반성하게 된다.

재미있게 읽어라. 그리고 박터지게 사유하라. 그래야 우리에게 미래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블루레이] 이터널 선샤인
미셸 공드리 감독, 짐 캐리 외 출연 / 아인스엠앤엠(구 태원)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이터널 선샤인을 보면서 느낀 건
정교한 세계관과 매커니즘도 중요하지만 사랑같은 인간의 본질적인 감정요소를 건드려서 이끄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껴졌다.
그녀와의 모든 기억이 사라져 가는 그 과정에 관객들은 이미 동참하고 있다.
짐 캐리의 모습속에서 내 모습을 발견하는 것.(보다 적극적인 의미면 좋겠지만)
그리고 이들의 사랑의 향방이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한 궁금함.
앞부분의 이야기가 뒷부분의 이야기와 연결되는 것에 대한 신선한 발견.
그리고 어쨌든 그런 상처를 껴안고 살아가는 것이 우리의 사랑이라는 메시지 역시 와닿는다.
기억에 대한 것들을 사실적으로 시각적으로 재구성하려고 했다는 점이 장면 연결연결마다 새로운 만족감을 안겨주었으며
그 독특한 스타일과 이야기가 절묘하게 맞아 떨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블루레이] 오블리비언 : 일반판
조셉 코신스키 감독, 톰 크루즈 외 출연 / 유니버설픽쳐스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오블리비언의 메카닉 디자인과 텍스처는 훌륭하다.
마치 다이빙을 하는 선수같은 몸동작을 하는 비행선의 모습
구름 디테일, 부셔진 달-토성처럼 흩어놓은 고리.
화려한 미래가 아닌 상막한 미래공간의 무채색 계열이 잘 어울리는 것 같다.
다소 아쉬운 것은 전체적인 밸런스가 미래보다는 황무지처럼 느껴지는 장소가 있어 들쭉날쭉하다는 것 정도.

 

영화의 내용을 깊게 파면 무섭다.
기억이 정체성을 만들고 인간적 양심을 가지면 그것은 영혼을 가진 인간이라는 것.
복제나 인간 안에 기억을 주입한다면 그것은 그 기억의 주인이 새로운 개체가 되는 것이며
외형이나 복제된 인간이나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
약간 사이언톨로지의 외계인이 창조한 인간 그에 미치지 않지만
미래의 인간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보여준다.

창조된 고귀하고 유일한 개체가 아닌 인간 스스로가 창조한 개체 역시 인간이 될 수 있다라는 생각을 은연중에 보여주는 것이다. 다만 그 개체가 기억과 양심을 가지고 있다면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