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고반점 - 2005년 제29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한강 외 지음 / 문학사상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선작 몽고반점은 이미 그 연작을 다 읽었으므로 자선작인 <아기 부처> 때문에 읽은 것과 다름없다.

아기 부처는 어떤 의미가 있었나?
그리고 그들은 어떻게 될까 ?

소설 이후의 삶이 궁금해지는 등장인물은 참 오랫만이다.

한강 작가 너무 좋다. :):):)

천운영, 박민규의 단편도 :)

2015. Jan.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물선 2015-01-22 09: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시 찾아 읽어야겠.... (그러나 책박스안에 들어갔을것 같은 불길한 예감이)

hellas 2015-01-22 09:10   좋아요 0 | URL
한강작가의 책들은 아껴가며 읽고있어요:) 아직 안읽은게 많아 더 즐겁다능:)
 
사물 판독기 - 미술평론가가 본 사물과 예술 사이
반이정 지음 / 세미콜론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연상의 잡학사전같은 책.

짧은 글 모음이라 휘리릭 읽을 수 있다는 장점?

전혀 모르던 사건사고에 대해 알수있다는 점? -이동식 살인사건 같은...-

뭐 그런 점들이 모여있다.

2015. Ja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설주의보 - 1982 제6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민음 오늘의 시인 총서 18
최승호 지음 / 민음사 / 199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물들을 추적하는 시인의 시선.

생명과 죽음, 죽음이 드리우는 찰나를 시어로 포획하는 시인.

끊임없이 등장하는 탄광 이미지 때문인지, 시리고 추운겨울 탄 냄새를 잔뜩 들이마신 기분.

2015. Ja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든 것은 빛난다 - 허무와 무기력의 시대, 서양고전에서 삶의 의미 되찾기
휴버트 드레이퍼스 외 지음, 김동규 옮김 / 사월의책 / 2013년 6월
평점 :
절판


우주는 우리에게 무관심하다 라는 소제목이 책 말미에 나오는데, 난 다 읽어가는 시점이 되어 가자 이 책에 무관심해져버려서 그저 활자를 읽는데 치중 했다.

분명 내용은 유의미한 것들인데 내 관심영역과는 영 포인트가 맞지 않아 초반에 느꼈던 약간에 흥미로움은 ˝급˝ 사라지고 말았다.

˝지루한 글이라도 일단 펼치면 끝까지 읽고야 만다 라는내 독서 신념을 지켜야 하나˝까지 고민... 결국 읽기는 했다. 매우 힘들게......

˝오래된 것들은 찬란하기 그지 없다. 그리고 뭐... 요즘의 것들도 잘 보면 그럴만한 것들이 많다˝로 읽히니 분명 나의 오독일테지만...
바로잡기 위한 재독은 못하겠다.

2015 ja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좋은 사람은 찾기 힘들다
플래너리 오코너 지음, 정윤조 옮김 / 문학수첩 / 2014년 8월
평점 :
절판


한번 리뷰 날려 먹고 다시 쓰는 중....;ㅅ; 이런...

좋은 사람은 찾기 힘들다라는 제목. 적절하달까.

표지 디자인만 보고 이런 저런 코멘트를 듣기전에는 뭔가 유쾌한 블랙 유머인가? 싶었는데..
그게 아니라 디자인이 뒤통수임.. 마음에 든다.

표제작인 <좋은 사람은 찾기 힘들다>.
이미 예방 주사를 맞듯이 정보를 좀 들은 후 읽기 시작해서, 뒷목을 잡는 대반전~ 이런건 없겠거니 했다.
그러나 그와 비슷한 무게의 서늘함이 무겁게 내려앉는다.

뭘까.. 이 썩을 놈의 세상, 하나부터 열까지 엉망진창! 정도의 마인드로 쓴건가..

등장인물 누구에게도 친절하지 않은 작가. 그런 시선으로 자신의 고통에도 마주했을까 싶다.

다만 전반적으로 깔려있는 기독교인으로서의 종교적인 배경은 딱히 내 취향이랄수는 없지만.
이야기 속에서 그런 플래너리 오코너의 종교관이 부정적인 작용을 하는지,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지는 솔직히 애매하다.
신랄한 비판이 분명 존재하는데도, 순수한 믿음 역시 공존하고 있다는 느낌.

두번째 단편 <강>에서도 역시 해피앤딩은 없다.
순간에 미혹되어 비극으로 마무리되는 아이가 있을 뿐.
그러나 그 아이가 살아갈 세상이 이야기 속의 미심쩍은 목사와 같은 이들로 채워져 있다면 차라리...라고 생각하게 되는 점도 있고.
서늘하다 서늘해.. 이런 단편이 끝없이 나오는 거겠지?하는 즐거운(?) 마음으로 읽게 된다.

예상은 충분히 가능하지만 그럼에도 도리없이 당하는 심정. 그런 면이 플래너리 오코너의 괴물같은 면이겠다.

<뜻밖의 재산>에서는 여성의 몸에 대한 생각이 꼬리를 문다.
임신에 대한 공포, 자신의 몸에 주체적이지 못한 여권, 뭐랄까 노골적이라긴 애매하지만 강요되는 모성 같은 것들...
이런 점들에 각성하는 것이 나란 인간이 원래 그렇게 생겨 먹어서 그런 것인지, 이 사회가 그런 환경을 조장하고 있기 때문인지는 헷갈린지 이미 오래...

가장 좋았던 단편은 <망명자>.

미지의 영역에 대한 불안 공포는 누구나 가질수 있는 것이지만,
무지에서 비롯된 편견이라는 것의 영향력이랄까.

모르기 때문이라는 하찮은 변명은 결국 모두에게 칼날처럼 되돌아 오는 것 아니겠는가.
이 복잡하고 어려운 세상을 두눈 똑바로 뜨고 직시하고 알려고 하지 않는 태도가 불러오는 재앙.
그런 것들에 대한 단상으로 머릿속이 어지럽다.

플래너리 오코너는 진정 고딕의 작가..
다른 단편집도 읽어봐야 겠다.

˝닥쳐, 바비 리.˝ 미스핏이 말했다. ˝진정한 즐거움은 이 세상에는 없어.˝ - p. 42, 좋은 사람은 찾기 힘들다 중.

2015.Jan.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물선 2015-01-21 07: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표지 뭐예요.....ㅋ

hellas 2015-01-21 07:38   좋아요 0 | URL
좀더 고딕분위기였다면 더 맘에 들었을듯해요. :)